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도전의 『불씨잡변』 연구 : A Study on Jeong do-jeons Bul-Ssi-Jab-Bye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윤혜

Advisor
김병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도전불씨잡변도덕적 이치불교 비판도덕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3. 2. 김병환.
Abstract
본 논문은 정도전의 『불씨잡변(佛氏雜辨)』에 나타난 정도전의 성리학 사상과 그 의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불씨잡변』에 나타난 이기론과 심성론을 분석하고, 여기에서 도출되는 도덕철학적 함의를 현대 도덕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한다.
지금까지 정도전 사상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정치적 측면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철학적 측면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분석되지 않았다. 그러나 정도전은 당대 사회를 바로잡으려는 의식 하에 기존의 불교 사상을 비판하고 불교를 대체하는 도덕적 질서를 세우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성리학을 주체적으로 수용‧해석하여 자신의 이론적 기초로 삼았다. 따라서 연구자는 정도전의 불교 비판을 중심으로 정도전의 성리학 내용 전반을 살펴보고, 정도전이 정초한 도덕적 이치의 의의를 논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 전개를 위해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 논점을 갖는다.
먼저, 『불씨잡변』의 사상사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불씨잡변』은 이론적‧사회적 측면을 아우르는 불교 비판을 전개하여,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성격을 띤다. 또한 이 과정에서 불교에 대응하는 성리학 이론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것이 불교를 유학의 합리적 도덕으로 대체하려고 하는 정도전의 목적의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본문에서 살펴본다.
다음으로, 존재론과 심성론의 차원에서 『불씨잡변』에 나타난 불교 비판의 내용과 의의를 파악하고자 한다. 『불씨잡변』에서 제시되는 성리학 이론 체계는 도덕적 이치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정도전은 세계의 구성이 불교의 윤회설 등 정해진 원리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기의 변화에 의해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합리적인 도덕적 이치를 밝힘으로써 기의 치우침을 극복‧방지하고, 세계가 지속적으로 변화·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개인의 내적 측면에서도, 인간의 마음은 불교 이론에서처럼 본성과 동일한 것이 아니라, 기로 구성되어 외부 자극에 쉽게 감응하는 성격을 갖기에, 본성에서 궁구한 이치로 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불씨잡변』에 나타난 정도전의 사상을 현대 도덕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살펴본다. 『불씨잡변』은 유학적 관점에서 불교 이론을 비판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었다. 이러한 비판의 과정은 사고 습관에서 비롯된 도덕적 직관이나 주어진 관습의 오류를 바로잡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도덕적 이치를 실제 현실에 적용하여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세계의 발전을 돕는다는 점에서, 정도전은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도덕 주체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이 『불씨잡변』에 나타난 도덕교육적 의의를 분석하고, 이를 현장 수업에서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mainly to analyze Jeong do-jeon(鄭道傳)'s Neo-Confucian thought and its significance as shown in Bul-Ssi-Jab-Byeon(『佛氏雜辨』) of Jeong do-jeon. This thesis analyzes the theory of li-qi(理氣) and the theory of mind shown in Bul-Ssi-Jab-Byeon, and considers some ways to apply the moral philosoph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to modern moral education.
So far, research on Jeong do-jeon's thought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olitical aspect. And the philosophical aspect has not been analyzed in depth. However, Jeong do-jeon criticized the existing Buddhist thought and tried to establish a moral order to replace Buddhism in order to correct the contemporary society. For this, he subjectively accepted and interpreted Neo-Confucianism and made it the theoretical basis of his argument. Therefore, I examine Jeong do-jeon's thoughts as a whole, focusing on his criticism of Buddhism,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his moral principles. To develop such a discussion, this thesis has three points.
Firstly, I 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Bul-Ssi-Jab-Byeon. Bul-Ssi-Jab-Byeon developed a criticism of Buddhism from the theoretical and social aspects, which is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In this process, it logically presents the Neo-Confucian theory corresponding to Buddhism. I examine that it stems from Jeong Do-jeon's purpose to replace Buddhism with the rational morality of Confucianism.
Next, in the dimension of ontology and mind theory, I try to grasp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the criticism of Buddhism in 『Bulssijabbyeon』. Bul-Ssi-Jab-Byeon's theory system of Neo-Confucianism revolves around the concept of moral principle. Jeong do-jeon believ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world does not follow a fixed principle such as the Buddhist theory of reincarnation, but happens by chance due to the change of qi(氣). Therefore, we must overcome and prevent the bias of qi by revealing rational moral principles. We must also ensure that the world continues to develop. On the inner side of the individual, the human mind is not identical with nature as in Buddhist theory, but composed of qi and is easily responsive to external stimuli. Therefore, we must control it with the principle, li(理) we have sought in our nature.
Lastly, I examine how to apply Jeong do-jeon's ideas in Bul-Ssi-Jab-Byeon to modern moral education. Bul-Ssi-Jab-Byeon is described in a way that criticizes Buddhist theories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This process of criticism is absolutely necessary to correct the errors of moral intuition and customs derived from thinking habits and to think rationally. In addition, by applying moral principles to reality, we solve common problems and help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In this respect, Jeong do-jeon proposes a moral subject who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community. In this thesis, I analyze the significance of moral education shown in Bul-Ssi-Jab-Byeon as above and discuss concrete ways to realize it in clas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5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7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