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 요소 탐색 : Exploring the Support Elements for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특수학급 교사 인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다정

Advisor
김동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발달장애성인기 전환개념도 연구특수학급특수교사 인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2023. 2. 김동일.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support elements for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ly, the concept mapping method is used to confirm the dimension, cluster, and impotance of support elements necessary for the transi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dultho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 preliminary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clarify the questions for interview, and the three experts reviewed the suitability and confirmed the focus of the question. Second,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preliminary interviewee, participated in interviews and provided idea statements. Third, in the statement integration and feedback stage, 8 experts separated, edited, and integrated the extracted statements. After the final review, 61 statements were determined. Fourth,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final 61 statements, 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sked to perform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 rating tasks. Afterwards,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lete the concept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of support elements necessary for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wo dimension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The first dimension of the x-axis was interpreted as learner-centered – provided-cent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rget of support, and the second dimension of the y-axis was interpreted as school-closed – society-conn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ype of support.
Second,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four clusters and seven sub-clusters have been drawn. Each was named counterclockwise from the first quadrant. Cluster 1 is implementation of the students tailored curriculum for the transition, which includes subgroups 1-1 reconstruction curriculu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1-2 establishment of a tailored transitional education plan. Cluster 2 is competency reinforcement of school-centered support system, which includes 2-1 improvement of teacher and parents professionalism, and 2-2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for education player. Cluster 3 is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 which includes subgroups 3-1 establishment of system and cooperation system and 3-2 accompaniment of the local community for field-oriented education. Cluster 4 was named practical education that strengthens students competency.
Third,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rating of the support elements necessary for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average score was 4.49. Special education teachers judged the overall support elements as important. The statement, which teacher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support element, was 8. Financial education is needed, followed by 11. Field-oriented direct instruction is needed on how to use community facilities and institutions, 56. Parents should constantly develop their childrens transition competency in their daily lives, indicating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value practical educational support that strengthens students competency as a necessary support elements for transition. As for the importance of each cluster, field-oriented education appeared the highest, which coincided with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of each subgroup. Next,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 was followed by competency reinforcement of school-centered support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the students tailored curriculum for the transition. In the importance of each cluster including sub-groups, the cluster for field-oriented education support was rated the highe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support elements for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argeting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s emphasized, the role of special class teachers has become important in a situation where a significant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receiving an inclusive educ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upport needs centering on special class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derives support element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pecial class teachers who supported the transi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dulthood. Thus, the results can be used as data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field. In addition, the need to subdivided the social support necessary for the transition period to adulthood is discovered.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ocial support system should be subdivided into support to solidify the transition support system and support to help the actual education field. Moreo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presents basic data to develop a field-oriented transition support manual by focusing on the support elements necessary for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개념도 방법을 적용하여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 요소에 대한 차원과 군집 및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2인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인터뷰를 실시하여 초점질문을 명확히 하고, 3인의 초점질문 개발 참여자들이 적합성을 검토하여 초점질문을 확정하였다. 둘째, 예비인터뷰를 포함해 특수교사 15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셋째, 8인의 진술문 통합 및 피드백 과정 참여자가 추출된 진술문을 분리하고 편집 및 통합하였으며,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61개의 진술문을 결정하였다. 넷째, 최종 61개 진술문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특수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후 다차원척도 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 요소에 대한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차원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원 X축은 지원 대상(Target of support)의 관점에서 학습자 중심-공급자 중심으로 해석되었으며, 2차원 Y축은 지원 과정(Type of support)의 관점에서 학교밀착형-사회연계형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 요소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과 7개의 하위군집이 도출되었다. 각 군집은 1사분면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명칭하였다. 군집 1은 학생 맞춤형 전환교육과정 운영으로 하위군집 1-1 장기적 관점에서 교육과정 재구성과 1-2 맞춤형 전환교육계획 수립이 포함된다. 군집 2은 학교중심 지원체계 역량강화로 하위군집 2-1 교사 및 학부모 전문성 향상과 2-2 교육주체를 위한 교육청 지원이 포함된다. 군집 3은 사회적 지원 시스템 구축으로 하위군집 3-1 제도 및 협력체계 기반 마련과 3-2 현장중심 교육을 위한 지역사회의 동행이 포함된다. 군집 4는 학생역량을 강화하는 현장중심 교육으로 명명되었다.
셋째,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 요소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 평균 4.49점으로 특수교사들은 전반적인 지원 요소에 대하여 중요하게 판단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8. 금융교육이 필요하다.를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였다. 이어 11. 지역사회 시설 및 기관 이용방법에 대하여 현장중심의 직접 교수가 필요하다., 56. 학부모는 일상생활 속에서 꾸준히 자녀의 전환역량을 길러주어야 한다.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특수교사들은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요소로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실제적인 교육 지원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이 나타났다. 군집별 중요도는 학생역량을 강화하는 현장중심 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하위 군집별 중요도 결과와 일치한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원 시스템 구축이 두 번째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이어서 학교중심 지원체계 역량강화, 학생 맞춤형 전환교육과정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군집을 포함한 군집별 중요도에서 학생역량을 강화하는 현장중심 교육지원에 대한 군집이 가장 높게 평정되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 지원 요소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통합교육 환경이 강조됨에 따라 상당수의 장애 학생이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만큼 특수학급 교사를 중심으로 지원 요소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지원한 특수교사의 경험을 토대로 지원요소를 도출하였으므로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성인기 전환 시기에 필요한 사회적 지원을 세분화할 필요성을 발견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원 시스템을 전환지원체계를 견고히 하기위한 지원과 실제적 교육현장을 돕는 지원으로 세분화하여 편향되지 않게 지원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개념화를 시도함으로써 현장 맞춤형 전환지원 매뉴얼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8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