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공-직종 일치도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 : The Major Degree-Occupation mismatch and its impact on income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 일치도 비교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규창

Advisor
이철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공 직무 불일치객관적 전공-직무 불일치도업무 특화 전공전공-직종 일치도Horizontal Mismatch객관 주관적 지표 비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3. 2. 이철희.
Abstract
There are many research results about overeducation and its income penalty, so-called vertical mismatch. However, in recent years, labor economists actively research about the mismatch between types of education and details of occupational tasks, and its income penalty (so-called horizontal mismatch). In past, to explore this horizontal mismatch, many researches generally relied on subjective survey results to measure the major
degree-occupation mismatch. However, recently, the objective measure of the mismatch gradually appears. This paper revisits three hypothesis of John Robst(2007a), and tests the impact of major degree-occupation mismatch and its impact on income,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 This paper finds that more occupation specific major degrees are relatively more correlated with major degree-occupation match;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 of major degree-occupation match follows this result. Secondly, major degree-occupation match of objective major predicts 14.9% rise in income, whereas subjective major degree-occupation match predicts 8.5%. Controlling both matches, impact on income of the objective match
decreased from 14.9% to 13.8%, whereas the subjective match decreased from 8.5% to 4.4%. This finding indicates that past results may underestimate the impact of major degree-occupation match on income premium, by using the subjective match. Lastly, as major degree and occupational tasks matches, occupation specific major degrees face larger income premium.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objective measure may control the occupation specificity of major degree of subjective measure.
기존에는 교육년수가 부족하거나 불필요하게 많았을 경우 업무에서 받는 임금의 하락을 측정하는 연구가 많았다. 이른바 수직적 불일치(Vertical Mismatch)에 의한 임금 효과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교육년수 보다는 전공에서 가르친 지식과 업무내용과의 일치도를 측정하여 일치도를 산정하고, 임금과의 상관관계를 보는 수평적 불일치(Horizontal Mismatch)를 보는 연구가 활발해졌다. 과거 수평적 불일치 연구에서는 주관적인 자가 답변 방식의 답변을 변수화하여 전공-직무 일치도를 측정하였다. 더욱 최근으로 올수록 전공-직종 일치도를 측정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해졌다. 이 연구들에서는 위의 주관적인 일치도를 산정하는 방식 말고도 전문가가 산정한 객관적인 일치도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을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와 한국고용정보원의 학과정보-진출가능직업 자료를 활용하여, 객관적인 전공-직종 일치도를 산정하였고, 이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인 전공-직종 일치도를 가지고 수평적 불일치 연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John Robst(2007a)의 세 가지 가설을 검정하여보았다.
첫 번째 가설은 직업특화성격을 띠는 전공일수록 전공-직종 일치도와 더 큰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분석이었고, 이를 위해 로짓분석을 진행한 결과, 문과에서는 교육 > 사회 > 인문 대분류 전공 순으로 전공-직종 일치도를 추정하였고, 이과에서는 의약 > 공학 > 자연 순으로 전공-직종 일치도를 추정하였다. 두 번째 가설은 전공과 직종이 일치하였을 때 임금이 더 높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임금을 독립변수로 두고 두 가지 전공-직종 일치도를 통제한 선형 회귀모형을 사용한 결과, 객관적 전공-직종 일치도가 일치할 경우 14.9%포인트 정도 더 높은 임금을 받았고, 주관적 일치도의 경우 일치할 경우 8.5%포인트 정도의 임금을 더 받았다. 그리고 두 일치도를 통제한 결과, 객관적 일치도의 임금 효과는 14.9% 포인트에서 13.8% 포인트로 낮아졌고, 주관적 일치도의 임금 효과는 4.4% 포인트로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가설은 직업특화 전공일수록 전공-직종이 일치할 경우 임금 프리미엄이 높았다. 그리고 분석 결과 객관적 일치도를 교차하였을 때 문과는 교육 > 사회 > 인문 순으로 각 27%, 16%, 12% 포인트 정도, 이과는 의약 > 공학 > 자연 순으로 21%, 17%, 11%포인트 정도 임금 프리미엄이 있었으며, 각 일치도를 통제하였을 시, 객관적 일치도는 업무 특화된 전공일수록 더 임금 통제효과가 컸고, 주관적 일치도는 일반적인 통제효과가 나타났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2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5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