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튜브의 이용 리듬 분석 : Rhythm Analysis of YouTube: Comparison of Media Platform Log Data by Media Generation
미디어 플랫폼 로그 데이터에 대한 미디어 세대별 비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성인

Advisor
이재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유튜브미디어 플랫폼미디어 세대미디어 매트릭스흐름리듬분석미디어 이용 리듬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3. 2. 이재현.
Abstract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 이용이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미디어와 차별되는 미디어 이용 관습이 형성되고 있다. 여러 미디어 플랫폼 중에서도 유튜브(YouTube)는 이용자들의 문화적 실천에 의해 탄생한 독특한 콘텐츠 장르와 양상을 제시하고, 콘텐츠를 탐색하고 콘텐츠를 매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과 알고리즘 문화로 전통적인 미디어와 다른 미디어 이용 관습을 이끌어내고 있다.
유튜브로 인한 미디어 이용 관습의 변화에 따라 유튜브에 관한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발견할 수 있다. 선행 연구는 유튜브가 새로운 미디어로서 콘텐츠 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야기했으며, 이용자들이 이러한 콘텐츠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 연구는 유튜브를 통해 나타나는 새로운 이용 관습을 산업적인 용어로 규정하거나, 전통적 TV나 SNS 중심 관점에서 이용 행태를 설명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유튜브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이용 행태를 이론화하는 작업이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이용 관습의 변화가 곧 미디어 이용 시간성의 변화라고 보아, 이러한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개념으로 흐름(flow) 개념에 주목한다.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가 제안한 흐름 개념은 텔레비전 체제에서 공급자의 전략에 의해 이질적인 요소들을 하나의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경험을 의미했다. 하지만,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서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 플랫폼에서 경험하는 흐름은 다른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흐름 문화를 설명한 제이 볼터(Jay Bolter)의 논의를 근거로 흐름이 리듬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흐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전체 이용량이나 중복 시청과 같은 하나의 총합적인 수치로 환원하여 흐름을 측정했다. 하지만, 이는 흐름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시간성을 제거한 방법으로, 본 연구는 흐름의 개념을 행위로 회복시키고, 흐름에서의 시간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봤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흐름이 곧 리듬이라는 전제 하에, 르페브르와 레귤리에(Lefebvre & Régulier, 1986/1996)의 리듬분석(rhythmanalysis) 을 방법론적 관점으로 채택했다. 리듬분석은 미디어 이용 행태를 분석하는데 있어 아직 생소한 접근 방식이지만, 리듬은 기본적으로 지속성을 갖는 개념으로, 미디어 이용의 시간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이용 행태들을 포착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봤다.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서의 흐름 개념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리듬분석을 근거로 미디어 이용의 리듬을 이용의 장단, 이용의 집중, 그리고 이용의 반복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했다. 이용의 장단은 미디어 이용이 장단의 맥락에서 긴 패턴으로 집중되는 양상을, 이용의 집중은 미디어 이용이 하루 중 특정 시간대로 집중되는 양상을, 그리고 이용의 반복은 미디어 이용이 동일한 시간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규칙성을 갖는 양상을 의미한다. 미디어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이 세 가지 이용 리듬의 차원들은 미디어 플랫폼 마다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튜브의 독특한 이용 행태가 보편적인 현상인 것처럼 간주되고 있지만, 사회의 모든 집단에서 이용이 동일한 패턴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는 미디어 이용 패턴을 결정짓는 과정에서 여러 수준의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유튜브 이용은 인구사회학적 집단 별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본 연구는 그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 중에서도 미디어 세대라는 새로운 세대 개념에 주목한다. 이 개념에 따르면, 청소년기에 주로 이용한 미디어가 무엇이냐에 따라 지각, 이해, 경험과, 상호작용 방식에서 집단별 차이가 발생한다고 본다. 이를 근거로, 이용자를 TV 세대, PC 세대, 모바일 세대로 구분했다.
본 연구는 객관적인 미디어 이용 행태 자료인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했다. 우선,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유튜브를 실제로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기본적인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했다. 그 다음으로 이론적 논의를 근거로 제시한 유튜브 이용의 리듬에 대한 세 개의 지표를 활용하여 지표 값을 도출하고, 유튜브의 이용 리듬이 다른 미디어 플랫폼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미디어 세대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공변량 분석으로 통계적으로 검증했다.
분석 결과, 유튜브는 다른 미디어 플랫폼 및 전통적 TV와 모든 이용 리듬의 차원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미디어 세대별로 유튜브 이용의 리듬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각 미디어 세대별로 유튜브가 일상 속에서 점유하는 위치가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용의 장단 측면에서 유튜브는 다른 미디어 플랫폼보다 상대적으로 긴 리듬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용자들은 유튜브에서 이용 가능한 독특한 형식의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긴 리듬을 유지한다. 또한, 유튜브의 조작적 경험과 알고리즘으로 긴 리듬을 유지한다. 하지만, 이용의 장단 차원에서 미디어 세대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리듬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미디어 각자가 갖는 자율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용의 집단 측면에서 유튜브는 심야 시간대에 이용의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미디어 플랫폼에 의해 새로운 프라임타임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지만, 이는 미디어 세대별로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특히, TV 세대는 사회적 시간과 분리하여 유튜브를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미디어 환경 변화가 가져온 다양한 미디어 이용 행위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TV 세대에게 시간 전이는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용의 반복 차원에서 유튜브는 콘텐츠의 장르가 다양하고 콘텐츠의 공급이 매우 분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미디어임에도 불구하고, 반복의 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유튜브 이용자들은 개인의 일상적 리듬에 맞게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새로운 미디어 리듬의 규칙성을 만들어가고 있다. 또한, 모바일 세대에게 유튜브는 콘텐츠 이용 외에 소통의 수단으로 유튜브를 이용하고 있어 반복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유튜브는 전통적 TV의 리듬이나 SNS의 리듬과 다른 제 3의 리듬을 보이며, 하나의 미디어 연속체를 구성했을 때, 그 속에서 혼종적 미디어로서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이용자들의 유튜브 이용의 리듬은 한 곳으로 동질적으로 집합되어 있기보다 넓게 분포되어 있는 이질적인 리듬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유튜브의 리듬이 다면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유튜브는 일상적 리듬을 새롭게 구조화 하는 힘이 있으며, 알고리즘과 같은 기술적 속성을 물질적으로나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는 유튜브의 이용 리듬이 삶의 리듬을 어느 정도 지배하고 있는가와 같은 문제와도 직결된다. 선행 연구에서는 실제로 알고리즘과 같은 유튜브의 기술적 속성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매개하는가는 실증적으로 밝히기 어려웠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리듬 분석은 유튜브를 포함한 미디어 플랫폼의 리듬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조화 되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리듬의 관점을 통해 오늘날 이용되는 대표적인 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의 이용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고, 유튜브가 우리 사회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 해석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하면 그것의 특수성에 주목함으로써 그 미디어의 이용 행태가 과대 해석될 수 ㅇ있는 경향이 유튜브 이용에 관한 일반적인 담론이나 선행 연구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본 연구는 리듬의 관점에서 미디어 이용의 시간성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유튜브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계기로 변화하는 미디어 이용 관습의 시간성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길 기대한다.
Increased use of media platforms on mobile media is forming new media practices that break away from conventional TV viewing practice. Among various media platforms used today, YouTube is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with its unique content genres and forms created by users. On the consumption side, YouTubes algorithmic culture enables users to endlessly explore, consume, and interact within its content database. Prior studies on YouTube focus on the socio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use of YouTube. However, they were unable to define and theorize how YouTube, as a medium, is causing such change to the society.
This study considers the changes brought by YouTube as a change in media temporality. The concept of flow,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Raymond Williams, was reexamined to set a theoretical foundation to explain the change in media temporality. The concept was originally introduced to observe the continuity of heterogeneous elements experienced in traditional TV. The concept now has a different meaning in the digital era, where media use is highly fragmented into diverse time frames. This research reflects on Jay Bolters definition of flow, which was used to describe a state of continuity that is maintained through repetition of media events, which is mediated by media platforms. Although the concept fundamentally encompasses temporality of media use, it was observed with a single aggregate figure such as the amount of total media usage or the size of duplicated audience. In order to make an empirical observation of flow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as defined by Bolter, a new methodological framework is needed.
This study focused on presenting a new methodological framework to restore temporality to flow, using concepts suggested in Lefebvre and Réguliers rhythmanalysis. Although rhythmanalysis is a relatively new approach to analyzing media use, rhythm is defined as patterns of repetition and duration, and enables researchers to detect and observe temporality. Rhythm was conceptualized into three dimensions, and indices were constructed for each of the dimension: length, concentration, and repetition.
This study used media log data to observe patterns of YouTube rhythm. Ranked ANCOVA was conducted for each rhythm dimension to see how YouTube rhythm differs from that of other media platforms. The same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platform to observe differences by media gene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YouTubes rhythm differed from other media platforms and traditional TV. Further analysis found that the meaning of YouTube was different for each media generation.
In terms of length, it was confirmed that YouTube has longer rhythm than other media platforms. Users maintained a long rhythm by taking advantage of the unique format of contents available on YouTube. In addition, YouTube's diverse functions and algorithm were found to induce users to experience longer rhythm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three media generations, which shows the affect of media autonomy in determining rhythm length. In terms of concentration, YouTube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rhythm during late night hours, which shows the formation of a new prime time. However, this new prime time was limitedly applied to certain media generations. Specifically, PC and mobile generations were likely to use YouTube throughout the day and during new prime time hours, while TV generation tended to use YouTube in separation from social time. Despite the possibility of various media use behaviors brought about by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ime transfer is limitedly applied to the TV generation. In terms of repetition, YouTube showe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repetition despite it being a medium with a very dispersed supply of content. YouTube users were creating a regular rhythm that fits to the needs of their daily rhythm. For the mobile generation, the degree of repetition appeared higher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because YouTube was also being used as a means of daily communic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YouTube occupies a position as a hybrid media in the media continuum, showing a 'third rhythm' that diverges from TV or SNS rhythm. As a hybrid media, YouTube displayed heterogeneous rhythms that are widely distributed inside a length-concentration-repetition rhythm cube. Expressing rhythm in such method showed that YouTube rhythms are multifaceted and are moving in unpredictable directions. This implies that YouTube is deeply infiltrating our lives with diverse rhythms, and has the power to restructure our daily rhythms without materially or directly revealing its technological properties.
The indice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enable researchers to objectively examine the diverse dimensions of media temporality. Although there were methodological limitations in the past in revealing how technical properties such as algorithms were mediating our lives, rhythm analysis is a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how media platforms such as YouTube are mediating our liv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7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