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유아 어머니의 이유식 지식수준 및 간편이유식에 대한 소비자 인식 : Mother's Knowledge Level of Complementary Food and Consumer Perceptions of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주유정

Advisor
윤지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이유식아이어머니설문조사데이터마이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2023. 2. 윤지현.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mothers knowledge of complementary foods and consumer perceptions of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s. In this paper,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s are complementary foods that can eat right away or can be prepared easily by heating. As the first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aged 20–49 years who had a child aged 4 months and preschool enrolled. A total of 438 people responded, and the main result were based on respondents who had purchased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s. Converting 5 points per question for 20 questions, the mean score of respondents' complementary food knowledge was 58.8 points out of 100.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low: <55; mid: 55–70; high: ≥70 points out of 100) based on their knowledge of complementary foods.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the knowledge level of complementary fo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alth (p=0.002), Variety (p=0.039), and Sanitation (p=0.041) among the factors considered when purchasing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s. The high-knowledge group considered appropriate nutritional balance (p=0.022), country of origin labeling (p=0.023), and sanitary cooking (p=0.010)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roups when purchasing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s. A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mportance of factors when purchasing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s and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complementary food industry. Responders perceived most items of Sanitation, Health and Price need to be improved, and most items of Convenience ware making excessive efforts. As the second study, posts on social media (Naver, Daum, and YouTube) were analyzed by text mining. As a result o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analysis, words related to weaning stage, purchase, menu, storage and child's preference were importantly mentioned. Based on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CONCOR) 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1st weaning stage was associated with words about free experience and comparison of brands. Additionally, 2nd weaning stage was associated with words about the size of baby food particles, storage and packaging. 3rd weaning stage was associated with words about purchase, delivery, parenting and child's reaction. 4th weaning stage was associated with words about bab, nutrition, and cafe. After analyzing the topic model, the extracted topics were largely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Menu, Storage, Recommendation, and Purchase. In both Recommendation and Purchase, there were many references to convenience and price, and were difficult to find references to health and sanitation. In conclusion, in the first study, responders complementary food knowledge was not high, and the knowledge level of complementary fo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considered when purchasing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s. And responders perceived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 industry is performing less in health, sanitation, and pri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complementary food education to improve mothers complementary food knowledge, and the complementary food industry should focus on marketing strategies centered on sanitation, price, and health. In the second study, consumers mentioned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s under the themes of menu, storage, recommendation, and purchase. However, there was little mention of health and sanitation overal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education related to health and sanitation of complementary food for consumers, and suggests that the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 industry should efficiently provide information on sanitation of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 and the impact of convenience complementary food on the health of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어머니의 이유식 지식수준 및 간편이유식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간편이유식의 경우 완제품의 형태를 지녀 바로 섭취하거나 가열 등 간단한 조리과정을 거쳐 먹을 수 있는 이유식으로 정의하였다. 첫 번째 연구로 국내에 거주하며 4개월 이상의 미취학 자녀가 있는 20∼40대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38명의 응답자 중 간편이유식 구매 경험이 있는 어머니(n=378; 86%)의 응답을 토대로 주요 결과를 기술하였다. 20개 문항에 대하여 1문항당 5점씩 총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이유식 지식점수는 평균 58.8점이었으며, 지식점수에 따라 저점수군(55점 미만; n=115), 중점수군(55점 이상 70점 미만; n=166), 고점수군(70점 이상; n=97)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어머니는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85.2%)를 통해 이유식 지식을 습득하고, 이유기 단계별 이유식 종류(72.2%)에 대한 지식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식 지식수준에 따른 간편이유식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요소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 다양성, 위생, 편리성, 맛, 가격 중 건강(p=0.002), 다양성(p=0.039), 위생(p=0.041)이 지식수준에 따라 중요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이유식 지식수준이 높은 군이 적절한 영양균형(p=0.022), 재료의 원산지(p=0.023), 위생적 조리(p=0.010)를 간편이유식을 구매할 때 더 중요하게 여겼다. 수정된 IPA (importance–preference analysis) 결과, 위생, 가격, 건강의 경우 기업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편리성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른 요소에 노력을 집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로는 네이버, 다음, 유튜브의 게시글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하였다. TF-IDF (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 분석 결과, 소비자는 이유기 단계, 구매, 메뉴, 보관 방법, 아이의 기호도와 연관된 단어를 간편이유식과 관련해 중요하게 언급했다. CONCOR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분석 결과, 이유기 초기는 무료체험, 브랜드 비교에 대한 단어와 연관되었으며, 이유기 중기는 입자크기, 보관, 포장에 대한 단어와 연관되었다. 이유기 후기는 구매, 배송, 육아, 아이의 반응에 대한 단어와 연관되었고, 이유기 완료기는 밥, 영양, 이유식 카페에 대한 단어와 연관되었다. 토픽모델 분석 결과, 주제는 재료, 후기단계, 보관, 외출, 브랜드, 무료체험, 초기단계, 구매·배송, 입자크기, 가격으로 나타났으며, 주제를 크게 간편이유식의 메뉴, 보관, 추천, 구매로 범주화하였다. TF-IDF 분석과 토픽모델 분석 모두에서 건강과 위생에 대한 언급은 찾기 힘들었다. 결론적으로 첫 번째 연구에서 어머니의 이유식 지식점수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식 지식수준에 따라 간편이유식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요소 중 건강, 다양성, 위생의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식수준이 높은 군이 간편이유식을 구매할 때 건강과 위생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어머니는 건강, 위생, 가격에 있어서 간편이유식 기업의 수행이 낮다고 인식했다. 그러므로 영유아 어머니가 간편이유식을 구매할 때 건강과 위생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기 위해, 이유식 지식 교육을 통해 영유아 어머니의 이유식 지식수준을 향상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산업계에는 건강, 위생, 가격에 초점을 맞춘 간편이유식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두 번째 연구에서 소비자는 주로 메뉴, 보관, 추천, 구매를 주제로 간편이유식을 언급하고, 전반적으로 위생과 건강에 관한 언급은 적었다. 그러므로 간편이유식이 아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간편이유식의 위생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지식 교육과, 산업계에서는 건강과 위생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7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