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령 중기 아동의 외로움 : Loneliness in Middle Childhood: Interaction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Patterns of Self-disclosure
또래관계와 자기노출 유형의 상호작용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대웅

Advisor
이강이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집단관계 외로움양자관계 외로움또래 수용도친한 친구 수단짝관계 질자기노출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3. 2. 이강이.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peer relationships and self-disclosure in loneliness during middle childhood. This study (a) explored the linear and curvilinear associations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loneliness, (b) categorized the patterns of self-disclosure and compared relationships between those patterns and loneliness, and (c) examined the self-disclosure patterns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loneliness.
The participants were 514 children in 4th grade recruited from 7 elementary schools in Seoul, South Korea. The children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peer relationships, self-disclosure and loneli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4.2.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e in three children felt above moderate level of loneliness. Girls were more likely than boys to have feelings of loneliness, and children living with a single parent felt lonely more than children living with two parents. Agreeableness, emotional stability,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oneliness.
Second, while peer network loneliness in middle childhood was linearly associated with number of friends and best friendship quality, a curvilinear association were observed between the peer network loneliness and peer acceptance. Children with low levels of peer acceptance, small number of friends, and low levels of best friendship quality were more likely to feel peer network loneliness. However,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eer acceptance tended to report more peer network loneliness than those with moderate levels of peer acceptance.
Meanwhile, peer dyadic loneliness had a significant curvilinear association with peer acceptance, and best friendship quality. Children with low levels of peer acceptance and low levels of best friendship quality were more likely to feel peer dyadic loneliness. However,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eer acceptance tended to report more peer dyadic loneliness than those with moderate levels of peer acceptance. The low levels of best friendship children were comparable in dyadic loneliness to the moderate levels of best friendship children.
Third, self-disclosure patterns in middle childhood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straightforward group was characterized by high levels of depth, and moderate levels of amount, accuracy, and positiveness. The devious group reported the highest levels of positiveness, and moderate levels of amount, accuracy, and depth. The passive group was characterized by low levels of amount and depth, moderate levels of accuracy, and slightly high levels of positiveness. The passive group tended to feel be lonelier than the other two patterns of children, and the devious group tended to feel less lonely than the other two patterns of children.
The curvilinear relationships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loneliness in middle childhood differed by self-disclosure patterns. The devious group and the passive group with high peer acceptance tended to report more peer network loneliness and peer dyadic loneliness compared to those with moderate peer acceptance, while the straightforward group did not. Also, in all three self-disclosure profiles, children with low best friendship quality were more likely to feel peer dyadic loneliness, but the degree of association of two variables between the three profiles was different. The straightforward group reported the lowest association between best friendship quality and peer dyadic loneliness among three patterns.
In sum, this study examined the linear and curvilinear associations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loneliness in middle childhood. Moreover, children's self-disclosure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patterns; straightforward, devious, and passive. Loneliness of children differed by those self-disclosure patterns.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patterns of self-disclosure were a moderator for the association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lonelines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loneliness could be felt not only by children with low peer acceptance and low best friendship quality. These findings broached the necessity of differential intervention plans based on each self-disclosure patterns to alleviate children's loneliness.
이 연구는 학령 중기 아동의 외로움을 설명하기 위한 또래관계와 자기노출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또래관계와 외로움의 선형 관계, 그리고 비선형 관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아동의 자기노출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외로움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노출 유형에 따라 또래관계와 외로움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아동 514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성격, 또래관계, 자기노출, 외로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4.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 검정, 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 중기 아동의 세 명 중 한 명은 중간 이상의 외로움을 느꼈다. 다섯 명 중 한 명은 중간 이상의 집단관계 외로움을 느꼈으며, 네 명 중 한 명은 중간 이상의 양자관계 외로움을 느꼈다. 여아가 남아보다 더 외롭고, 양부모와 함께 거주하지 않는 아동이 함께 거주하는 아동보다 더 외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우호성, 외향성, 유연성이 낮은 아동이 더 외로운 경향이 있었다.
둘째, 학령 중기 아동의 집단관계 외로움은 친한 친구 수, 단짝관계 질과 선형 관계가 있었으며, 또래 수용도와 비선형 관계가 있었다. 또래 수용도가 낮고, 친한 친구 수가 적으며, 단짝관계 질이 낮은 아동이 집단관계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다만, 또래 수용도가 매우 높은 아동이 중간인 아동보다 집단관계 외로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학령 중기 아동의 양자관계 외로움은 또래 수용도, 단짝관계 질과 비선형 관계가 있었다. 또래 수용도가 낮고, 단짝관계 질이 낮은 아동이 양자관계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다만, 또래 수용도가 매우 높은 아동이 중간인 아동보다 양자관계 외로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경향이 있었으며, 단짝관계 질이 낮은 아동과 중간인 아동이 느끼는 양자관계 외로움은 유사하였다.
셋째, 학령 중기 아동의 자기노출 유형은 솔직형, 꾸밈형, 소극형으로 구분되었다. 솔직형 아동은 자기노출 개방성이 다소 높고, 풍부성, 정확성, 긍정성이 중간인 특징이 있었다. 꾸밈형 아동은 긍정성이 높고, 풍부성, 정확성, 개방성이 중간인 특징이 있었다. 소극형 아동은 풍부성, 개방성이 낮고, 정확성은 중간이며, 긍정성이 다소 높은 특징이 있었다. 소극형 아동은 다른 두 유형의 아동보다 외로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경향이 있었으며, 꾸밈형 아동은 다른 두 유형의 아동보다 외로움을 더 적게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학령 중기 아동의 또래관계와 외로움의 관계는 자기노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래 수용도가 매우 높은 아동이 중간인 아동보다 집단관계 외로움과 양자관계 외로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경향은 꾸밈형 아동과 소극형 아동에게 나타났지만, 솔직형 아동에게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단짝관계 질이 낮은 아동이 높은 아동보다 양자관계 외로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경향은 세 유형에게 모두 나타났지만, 연관 정도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령 중기 아동의 또래관계와 외로움의 선형 관계 및 비선형 관계를 밝혔다. 또한, 아동의 자기노출 유형이 솔직형, 꾸밈형, 소극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형에 따라 아동이 느끼는 외로움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노출 유형에 따른 또래관계와 외로움의 관계의 차이를 밝혔다. 이 연구는 또래 수용도가 낮고, 단짝관계 질이 낮은 아동만이 집단관계 외로움과 양자관계 외로움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아동의 외로움 경감을 위하여 자기노출 유형에 따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9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5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