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패션 이미지에 표현된 포스트휴먼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Expressed in Fashion Imag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서영

Advisor
하지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포스트휴먼포스트휴머니즘트랜스휴머니즘패션 이미지신체 이미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3. 2. 하지수.
Abstract
패션은 인간과 주변 환경 간의 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다변적 관점에서 인간의 신체를 표현하고 매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패션에서의 신체 표현이 다양화되는 경향이 보이고 있는데, 기술과 디지털 공간으로의 확장을 통해 새로운 표현 방식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현실과 다른 새로운 가상의 이미지나 인간과 동식물, 기계와의 결합 등으로 인한 새로운 표현 방식이 나타나며, 이러한 흐름에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표현방식과 내적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시각을 통한 고찰이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된다. 패션에서의 이러한 사회문화적 해석은 환경과 인간을 중심으로 한 인류세적 관점과 함께 거론되는 포스트휴먼적 관점으로도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으며, 사용자로서의 인간과 자원으로서의 자연이라는 인간 중심적인 이원적 사고에서 벗어나 모든 종은 평등하다는 가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과거의 이분법적인 휴머니즘에서 벗어나 인간이란 존재를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며 인간 의미에 대한 재정의 혹은 재발명이 촉구되며(Pepperell, 1995), 이에 따른 새로운 차원의 신체 이미지가 출현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선행 연구는 포스트휴먼의 개념을 트랜스휴머니즘적 관점으로 한정시키고 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휴먼의 제반적인 논의를 통해 신체 이미지에 대해 사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패션 이미지의 표현 특성을 포스트휴먼적 관점으로 분석한 후 변화된 사회에서의 새로운 신체 이미지의 내재적 의미를 밝혀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패션 이미지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의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패션 이미지의 포스트휴먼적 표현에 내재한 의미와 가치를 정의 내린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포스트휴먼을 다룬 서적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포스트휴먼 개념과 신체 이미지의 사적 변화를 고찰하고, 예술 분야에서 드러난 포스트휴먼적 표현 특성을 파악 한다. 인류세 키워드가 급증한 2016년부터 2022년 현재 까지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된 독립패션잡지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포스트휴먼을 다룬 서적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포스트휴먼 개념과 신체 이미지의 사적 변화를 고찰하고, 예술 분야에서 드러난 포스트휴먼적 표현 특성을 파악 한다. 인류세 키워드가 급증한 2016년부터 2022년 현재 까지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된 독립패션잡지(, , , ,, , ), 패션 필름 전문 사이트인 쇼스튜디오(Show Studio), 그리고 Vogue와 WGSN에서 posthuman, posthumanism, transhumanism을 키워드로 도출해 낸 이미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패션 필름 전문 사이트인 쇼스튜디오(Show Studio), 그리고 Vogue와 WGSN에서 posthuman, posthumanism, transhumanism을 키워드로 도출해 낸 이미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포스트휴먼적 표현이 드러난 패션 이미지의 분석에 앞서 포스트휴먼 담론은 인간의 신체를 매개로 하고 있으므로 예술작품에서 표현된 인간의 신체 이미지의 변천 과정을 사적으로 고찰하였으며, 1990년대 이후 포스트휴먼적 표현이 나타난 예술작품을 유형화 하고 내적 의미를 밝혔다.
포스트휴먼은 이러한 사상적 휴머니즘에서 중시하던 가치에 대한 변화된 시선을 담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은 각각이 사상적으로 휴머니즘에 대한 탈피인지, 휴머니즘에 대한 계승인지에 따른 근본적 차이가 존재하지만, 두 가지 입장 모두 시각적으로 변화된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이렇게 두 입장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인간 형태를 모두 포스트휴먼이라고 칭하며 인간 개념의 확장과 경계의 허물어짐을 기본으로 한 포스트휴먼의 특성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5가지로 분류되었다. 종 내 • 종 간의 탈경계화, 탈인간중심화,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의 공진화, 인간 개념의 탈체화, 종 내 • 종 간의 횡단성이 분류된 특성이며, 이를 기반으로하여 예술 작품에서 이와 같은 특성이 드러난 작업을 펼쳐온 현대 미술가 11명의 주요 작품을 분석하였다. 휴먼과 포스트휴먼의 신체 이미지를 분석 및 비교한 결과 신체를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신체의 미적 기준, 신체를 응시하는 관점, 신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가치에서 차이를 보였다. 휴먼의 신체 이미지에서는 이상적인 조화와 비례, 또는 미적인 표현을 위해 과장된 비율, 남성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여성 신체를 특징으로 가졌으며, 작가의 개인적 관점 표현을 위한 매개체로서 신체를 사용하였다. 반면 포스트휴먼의 신체 이미지에서는 미의 통념을 벗어나는 신체를 표현하거나,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비판하는 것을 통해 이질적 요소가 결합된 이미지, 상상으로 구현된 새로운 이미지와 같이 휴먼으로 여겨지지 않은 존재까지 관심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었다.
포스트휴먼적 표현이 나타난 패션 이미지 26건을 분석한 결과, 예술 작품에서 나타난 휴먼과 포스트휴먼 신체 이미지, 그리고 기존의 패션 이미지와 달리 성별 뿐 아니라 인간 종 내에서 위계화 된 시각을 거부하고자 하는 표현이 두드러졌으며, 이와 연관 지어 신체를 더욱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표현 특성과 인간이 아닌 존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비인간 존재를 인간화하거나 패션 아이템을 착용시키는 등 패션화된 비인간의 모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가상 현실과 메타버스, 3D로 구현된 패션 이미지 등의 기술이 발전함과 동시에 가상 이미지로서 자유롭게 변형하여 다양한 신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양상이 드러났다. 이를 기반으로 4개의 특성을 도출하였고, 시선에서 권력 없애기, 더 노출시키기, 패션화 된 비인간 존재, 가상 이미지와 테크노 다형주의로 명명 된 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분류하였다. 시선에서 권력 없애기는 데카르트적 이원론과 원근법주의에 기반한 남성적 응시와 권력으로서의 시선을 대체하며 기술적, 탈이원론적 시선으로 극복한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상적으로 다뤄지는 신체 비율이나 익숙한 비례가 아닌 신체의 한 부분이 과장되거나 생략되며 패션 이미지에서 주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정,측,후면이 아닌 다른 각도에서의 표현되는 형식이 드러났으며, 계몽주의적 휴머니즘 관점에서 바라보았던 이상적 신체 비율과 타자화 된 시선으로 관찰된 몸으로부터의 탈피를 내적 의미로 가진다. 패션 이미지에서 더 노출시키기는 섹슈얼리티가 아닌 다양한 신체 형태 표현을 통한 이원론적 사고 극복을 위한 포스트휴머니즘적 관점에서의 포스트휴먼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남성과 여성이 정형화된 성별로 구분된 복식을 착용하지 않거나 성별의 전복이 발생하며 신체 노출을 섹슈얼한 시선이 아닌 신체의 일부분으로서 표현하거나 오히려 섹슈얼리티를 더욱 강조하여 주체적 표현을 추구하여 이상적으로 여겨지는 신체 이미지의 모델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몸 존재가 있음을 드러나는 이미지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는 이상적인 신체에 대한 획일화된 사회적 기준이 아닌 다양한 기준이 받아들여지는 신체 긍정주의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분법적으로 우위에 있었던 존재의 시선으로부터 바라본 신체 이미지가 아닌 각자의 몸 자체의 특성에 기반한 표현을 강조하고 위계적 경계를 허물면서 패션에서의 성별과 주체에 관한 헤게모니를 탈피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패션화 된 비인간 존재는 인간과 기계적 존재, 생물학적 유기체 사이의 본질적 차이나 절대적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주체로서 재배치하고자 하는 의의를 가진다. 이는 비인간의 인간적 표현과 인간의 비인간적 표현의 두 가지로 나눠졌는데, 기계 혹은 로봇, 사물을 인간 모델을 대체하여 사용하거나, 식물과 동물에 패션 아이템을 착용 시켜 인간처럼 표현하는 특징을 가지고 인체의 파편화, 기계와 결합한 인간, 부분적 해체와 재조합, 해부학적 표현을 통해 인간을 인간의 형상이 아닌 분절된 사물과 같이 인식되도록 보여주며 이러한 신체에 패션 아이템을 결합하여 인간을 비인간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인간 외 존재와 인간의 경계를 허물고 패션에서 사용자로서의 인간, 배경과 자원으로서의 자연과 사물이라는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술로서 인간의 생물학적 신체를 극복하여 신체의 속박에서 벗어나고자 하거나, 인간과 기술의 구별이 없어지며 인간의 구성 자체가 기술적 구성임을 인식한다는 내적 의미를 지닌다.
마지막으로는 가상 이미지와 테크노 다형주의로 분류할 수 있는데,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자유롭게 변형되는 신체와 환경, 인간의 통제 하에 세계가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되거나 교환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가상 패션 이미지들은 가상 신체를 통한 향상된 인간상을 그리며 물리적 요소 또한 극복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상적으로 요구되는 신체 프로포션과 형태 뿐 아니라 나이, 성별, 인종 등의 구분이 없는 인간의 모습을 가상 이미지를 통해서 구현하거나 이미지 촬영에 적용되는 원근법, 빛과 그림자, 반사와 입체와 같은 기본 원리들이 디지털 기술을 통해 전복되며 물리적 환경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표현 규칙들이 사라지고 왜곡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통해 생명연장, 노화 과정의 지양을 목표로 하는 인간의 발전을 추구할 뿐 아니라 현실에서 추구하는 이미지를 가상 세계에 반영함으로써 생물학적 신체의 속박이 극복 되며, 경계가 모호한 이미지 표현을 통해 이원론적 휴머니즘에 기반한 인간상을 거부하는 관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환경을 인간의 지식과 기술로서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가상 세계, 사이버공간, 우주 공간 등으로 진출하면서 인간 능력의 확장이나 자유로움을 제약하는 생물학적 신체의 극복과 연관되며 궁극적인 인간의 향상을 의미하고 있음이 도출되었다.
패션 이미지에서 기술의 발전과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 공간으로의 확장을 통해 새로운 표현 방식의 가능성이 제시되며 현실과 다른 새로운 가상의 이미지, 인간과 동식물 혹은 인간과 기계와의 결합 등 새로운 표현 방식이 나타나고 있다. 남성 권력 위주의 전통적 응시 방식이 아닌 응시 주체의 다변화, 인간과 환경의 관계 변화가 오랜 시간 발생하고 계속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인간에 대한 탐구와 패션 이미지 내의 신체 이미지 분석이 함께 이루어진 내용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인 현재, 변화된 신체 양상을 현재 대두되고 있는 포스트휴먼적 분류로서 패션 이미지를 탐구하여 객관적 틀을 마련하고 이미지 유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급변하는 패션 이미지에 대한 다각적 접근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패션 산업에서 이미지 표현의 다양한 양상은 새로운 조형성으로 패션커뮤니케이션에서 활발히 활용되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양상을 현재 사회적으로 대두되는 인류세와 제반적인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단순한 인간 향상 혹은 사이보그적 관점에서 논의되었던 포스트휴먼과 패션에 관한 논의를 확장 시켰다는 점과 전통적 휴머니즘 사고를 벗어난 패션의 의미 체계를 재규명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가상 이미지와 물리적 요소가 극복된 이미지는 가상 공간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미지 창작자의 표현 의도를 파악하고 새로운 이미지에 대한 제안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되며, 이미지의 횡단성과 다중적 응시는 과거에 존재하던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현대 패션산업에서 새로운 문화적 해석을 시도하고 실무적 활용에 있어서 새로운 제안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의의로 가진다.
Fashion expresses and mediates the human body from a multilateral perspectiv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s. Recently, body expression in fashion tends to be diversified through technology and expansion into digital space, and new expression methods appear due to new virtual images or combinations of humans, animals, and machines, and it is time to consider the newly formed expression and internal meaning. This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f fashion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from the posthuman perspective, which is discussed along with the environment and human-centered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nd is moving toward pursuing the value of equality of all species. Breaking away from the dichotomous humanism of the past, human beings are thought of in a different way from the past, and redefinition or reinvention of human meaning is urged, so a new dimension of body image is emerging.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 concept of posthuman is limited to a transhumanistic perspe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vately examine the body image through the general discussion of posthuman, analyz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images from a posthuman perspective, and reveal the intrinsic meaning of new body images in a changed society.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thuman is theoretically conside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appearance in fashion images are derived. Second, it defines the meaning and value inherent in the posthuman expression of fashion imag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books dealing with posthuman and previous studies, we examine the historical changes in posthuman concepts and body image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expression revealed in the art f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books dealing with posthuman and previous studies, we examine the historical changes in posthuman concepts and body image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expression revealed in the art field. The period from 2016 to 2022 when the Anthropocene keyword surged was selected as the data collection period. Images were searched from independent fashion magazines (Dansk), , , , , , ), fashion film site Showstudio, Vogue and WGSN, and posthuman, posthumanism, transhumanism were selected as keywords. Among the derived images, appropriate data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expert verification. Prior to the analysis of fashion images revealed by posthuman expressions, posthuman discourse is a medium of the human body, so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human body images expressed in artworks was personally reviewed, and the internal meaning was revealed after the 1990s.
Posthuman contains a changed perspective on the values that were valued in the ideological humanism. Posthumanism and transhumanism have a fundamental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each is ideologically a breakaway from humanism or inheritance to humanism, but both position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embody a visually changed human appearance. In this way, both human forms that are ultimately to be pursued are called posthum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based on the expansion of human concepts and the breaking of boundar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is, 11 major works of modern artists who have been working on thes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comparing human and posthuman body imag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esthetic standard of the body, the perspective of staring at the body, and the value to be expressed through the body. The human body image featured a female body viewed from a male's perspective, with an exaggerated ratio for ideal harmony and proportion, or aesthetic expression, and used the body as a medium for expressing the artist's personal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Posthuman's body image was characterized by expanding attention to beings that are not considered human, such as images combined with heterogeneous elements and new images embodied by imagination, by expressing bodies beyond conventional wisdom or criticizing women as sexual obj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26 fashion images with posthuman expressions, unlike the human and posthuman body images and existing fashion images, expressions to reject hierarchical views within human species as well as gender were highlighted. In addition, as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metaverse, and fashion images implemented in 3D have developed, various body images have been expressed by freely transforming into virtual images. Based on this, four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nd imag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named as Eliminating power from the gaze, Further exposure, fashioned non-human existence, virtual images and techno-polymorphism. Eliminating power from the perspective has the meaning of overcoming it with technical and de-dimensional perspectives, replacing masculine gaze and gaze as power based on Cartesian dualism and perspective. A part of the body, not the ideal proportion or familiar proportion, is exaggerated or omitted, and the fashion image reveals a form that is expressed from an angle other than the front, side, and back, and has an internal meaning of the ideal proportion of the body viewed from the Enlightenment perspective and the otherized gaze. Further exposure in fashion images could be interpreted not as sexuality, but as posthuman from a posthumanistic perspective to overcome dualistic thinking through various body shape expressions. In addition, men and women do not wear formalized gender-separated clothing, gender subversion occurs, and physical exposure is expressed as a part of the body, not a sexual gaze, or rather a subjective expression, showing that there are various forms of body, not an ideal body image. It means that by breaking down hierarchical boundaries, it is intended to break away from the hegemony of gender and subject in fashion.
Fashionized non-human existence has the significance of relocating it as a new subject that does not have an essential or absolute distinction between humans, mechanical beings, and biological organisms. I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on-human expression and human non-human expression, using machines, robots, and objects as a replacement for human models, or wearing fashion items on plants and animals to express them like humans. This means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non-human beings and humans, overcoming the human-centered thinking of human as a user, nature and objects as a background and resource in fashion, and trying to overcome the human biological body as a technology, or recognizing that human composition itself is a technical composition.
Finally, it can be classified into virtual images and techno polymorphism, which means the body and environment that are freely transform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the form in which the world is implemented or exchanged in various forms under human control. Virtual fashion images portray improved human image through virtual body and overcome physical elements. Ideally, human beings without age, gender, race, etc. are embodied through virtual images, and basic principles such as perspective, light and shadow, reflection and stereoscopic are overthrown and distorted regardless of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this, it not only pursues human development aimed at prolonging life and avoiding aging processes, but also overcomes the binding of the biological body by reflecting the image pursued in reality in the virtual world, and can be understood as rejecting the dualistic human image through ambiguous image express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control the environment as human knowledge and technology i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human capabilities or the overcoming of the biological body that restricts freedom as it enters the virtual world, cyberspace, and even outer spaces.
The possibility of new expressions is presen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rom fashion images and expansion into virtual spaces such as metaverse, and new virtual images different from reality, and new expressions such as combining humans and animals or humans and machines are emerging. At a tim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for a long time rather than the traditional male-oriented gaze method, there is a lack of content research on human exploration and body image analysis in fashion images.
In the fashion industry, various aspects of image expression are actively used in fashion communication as a new formative feature,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s the discussion of posthuman and fashion from a simple human improvement or cyborg perspective and helps to re-examine the meaning system of fashion outside of traditional humanism.
In addition, images that overcome virtual and physical element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expression of image creator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with suggestions for new images, and transversal interconnections as the attention to non-human existence and multiple perspectives from which power has been removed can provide new cultural interpretation and practical use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01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