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남창가곡의 가야금 반주선율 연구 : A Study on the Gayageum Melody of Namchang Gagok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도희

Advisor
이지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남창가곡가야금 반주선율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2. 이지영.
Abstract
In this thesis, I compare the melod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yageum accompaniment with those of the song so as to find out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yageum accompaniment of Namchang Gagok. In addition, I examine the types and structures of the Gayageum accompaniment, focusing on several melodies which recur in individual or several pieces, hoping to comprehend the melodic connections an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tudied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Namchang Gagok Ujo and Gyemyeonjo, the melodic connection between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can be found in both Chosudaeyeop and Isudaeyeop, but differences in terms of vocal melodies and Gayageum accompaniment can be found in pieces which are performed after Samsudaeyeop as the tempo of the piece itself increases. Most of the vocal melodies in the second and third movement of Samsudaeyeop are similar to Isudaeyeop, or slightly modifi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Isudaeyeop melody, but it can be seen that the melodies of the Gayageum accompaniment either consist of independent versions or are comprised of melodies influenced by Dugeo. Furthermore, in the piece Soyong of Ujo and Gyemyeonj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elodic composition of the song and accompaniment varies in Chodu and Idu of the fourth movement, as well as Idu of the fifth movement. Moreover, in Urong and Urak, in terms of vocal melody,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each Idu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movement, while the Gayageum accompaniment shares an identical melody in both pieces. Similar patterns may be found in the first movements of Pyeongnong and Gyerak in Gyemyeonjo.
Second, in the Gayageum accompaniment melody of Namchang Gagok, the melodic association between Chosudaeyeop and Isudaeyeop tends to appear more frequently in Ujo than in Gyemyeonjo. It can be seen that Gyemyeonjo Isudaeyeop has more parts composed of its own unique melody than Ujo, and among the pieces of Isudaeyeop series, the variation of Dugeo appeared commonly in all movements except for the fourth in both Ujo and Gyemyeonjo. Also, in the Gayageum accompaniment melodies of Ujo and Gyemyeonjo, melodic correlations commonly appear in the second and third movements of Dugeo and Samsudaeyeop. On the other hand, the pieces Long and Lak seems to have their own distinct melodies, borrow each other's melodies within the piece, or share the melody of the original song (Wongagok), which composes the melody of the Gayageum accompaniment.
Third, the types of Gayageum accompaniment melodies of Ujo and Gyemyeonjo, which were analyzed focusing on melodies that repeatedly appear in both individual and several pieces, appear as 8 and 7 typical melody types, respectively. The 太-(黃)-㑲-㑣 type (melodic type C②) appearing in Ujo and the 仲-黃-㑣-僙(黃) type (melodic type c①) appearing in Gyemyeonjo are found in the original Gagok and Long and Lak series except Soyong, and they mainly appear in a fixed position, have a consistent rule of descending melody, and show the aspect of playing the role of the final melody of a phrase or movement. Meanwhile, the 㑣-㑲-黃 type (melodic type B①) of Ujo Chosudaeyeop, the 仲-仲 type (melodic type E③) of Urak, and the 南-潢-南 type (melody type G②) of Soyong are repeated as a melody only within one piece of music, showing no correlation with other pieces of music. In Gyemyeonjo, it can be seen that at least two pieces share the same melody type. There are melodic patterns that mainly appear in Samsudaeyeop and Soyong, which are the 南-汰-潢 type (melody type G①), the 南-潢-南 type (melody type G②), the 汰-南-林-潢 type (melody type H①), and the 汰(潢)-南-林-仲 type (melodic type H②) in Ujo. On the other hand, in Gyemyeonjo, the 潢-㳞-汰 type (melodic type g) appears, and it can be said that the unique melodic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progressing to the high register are well displayed.
Fourth, in various pieces of music except for Samsudaeyeop and Soyong of Ujo and Gyemyeonjo, the same cadence melodic pattern commonly appears in the Idu of each movement, and these melodic patterns show the form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Exceptionally, in the beginning (Chodu) of the first movement (beats 7 to 11) and the middle of Idu in the fifth movement (beats 6 to 13), the melodies in the form of half-cadence descending to 㑣-㑖-僙 in Ujo and 㑣-㑖-僙 or 㑣-僙 in Gyemyeonjo appear. In this wa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ieces in terms of the cadence melody of the Gayageum accompaniment, which accounts for a large part of the piece, it can be divided into two melodic types, and these could be referred to as the melodic type of Chosu, Isudaeyeop series and Long and Lak, which shares the same or similar cadence form, and the melodic type of Samsudaeyeop series, which features an independent cadence melodic form.
Fifth, most of the Gayageum accompaniment melodies of Namchang Gagok are composed of repetitive melodies, but there are also independent melodies that are not repeated. The independent melodies tend to appear at a specific location for each series of music. In Chosudaeyeop of Ujo and Gyemyeonjo, the independent melodies commonly appear in the first, third, and fifth movements, and it can be seen that distinct melodies are added to existing repetitive melodies in order to show various aspects of change. Most of the music in the Isudaeyeop series consists of repetitive melodies, and several independent melodies can be found in the Daeyeoum or thethird movement in Isudaeyeop and Junggeo. In the songs of Soyong, Long, and Lak including Samsudaeyeop, in which the tempo accelerates, the independent melody appears in common in the Daeyeoum and the first movement (Chojang).
Sixth, among the various pieces of Ujo in Namchang Gagok, it can be seen that Chosudayeop, Soyong, Urong, and Urak employ similar or identical melodic forms in Gayageum accompaniment in the second and fourth movement, whereas in Gyemyeonjo, it appears that Chosudaeyeop, and Soyong, Unlong, and Gyerak are those. Meanwhile, in the Isudaeyeop series of Ujo and Gyemyeonjo, the second and third movements are all composed of variations of the melodic patterns from the first movement, and thus I can conclude that they are distinct from other pieces in terms of melodic structure. In short, it can be seen that the Gayageum accompaniment melody maintains connectivity and unity by repeatedly appearing or transforming the same melodic pattern within the piece, resulting in a piece of music composed in an organic relationship.

So far, I have compared the composition of songs and Gayageum accompaniment melodies of Namchang Gagok, studied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Gayageum accompaniment melodies, and looked into the melodic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ayageum accompaniment melodies are composed of individual melodies, transformations of original songs, adopting melodies from other music pieces, and by sharing the same melodic form, which contributes to the pieces having a sense of relevance and thus forming a suite.

keywords : Namchang Gagok, Gayageum, melodic composition, melodic type, melodic structure
본 논문은 남창가곡 가야금 반주선율의 구성과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노래와 가야금 반주선율의 구성을 비교하고, 개별 악곡 또는 여러 악곡에서 반복하여 출현하는 선율을 중심으로 가야금 반주선율의 유형과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창가곡 우조와 계면조의 노래와 가야금 반주선율에서 초수대엽과 이수대엽의 선율적 연관성이 드러났으나, 삼수대엽 이하의 곡들에서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삼수대엽의 2장과 3장의 노래선율은 이수대엽 선율의 영향을 받아 이수대엽과 유사하거나 변형된 선율이 나타나지만, 가야금 반주선율은 독자선율로 구성되거나 두거의 영향을 받아 선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우조와 계면조 소용의 4장과 5장 이두에서 노래와 반주선율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우롱과 우락 2, 3, 4, 5장 이두의 노래선율은 두 악곡 간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지만, 가야금 반주선율은 한 가지의 동일한 선율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평롱과 계락의 초장 초두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남창가곡의 가야금 반주선율에서 초수대엽과 이수대엽의 선율적 연관성은 계면조보다 우조에서 더욱 많이 나타나며, 계면조 이수대엽은 우조보다 독자선율로 이루어진 부분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이수대엽 계열의 악곡 중에서 두거의 변주 현상은 우조와 계면조에서 4장을 제외한 모든 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거와 삼수대엽의 2장과 3장에서 두 악곡 간 동일한 선율 진행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두거와 삼수대엽의 선율적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롱과 락은 각각 상당 부분 독자선율로 이루어져 있거나, 롱과 락 내에서 서로의 선율을 차용하기도 하고, 원가곡의 선율을 공유하며 가야금 반주선율을 구성하고 있다.
셋째, 개별 악곡 또는 여러 악곡에서 반복하여 출현하는 선율을 중심으로 분석한 가야금 반주선율의 유형은 우조와 계면조에서 각각 8개, 7개의 대표 선율형으로 나타난다. 우조에서 나타나는 太-(黃)-㑲-㑣형(선율형 C②)과 계면조에서 나타나는 仲-黃-㑣-僙(黃)형(선율형 c①)은 소용을 제외한 원가곡과 롱·락 계열에서 출현하고, 주로 악구나 악장의 종지부에 위치하여 하행 진행하며 종지선율의 역할을 한다. 한편, 우조 초수대엽의 㑣-㑲-黃형(선율형 B①)과 우락의 仲-仲형(선율형 E③), 소용의 南-潢-南형(선율형 G②)은 한 악곡 내에서만 반복되는 선율형으로써 다른 악곡과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계면조에서는 최소 두 개 이상의 악곡에서 동일한 선율형을 공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삼수대엽과 소용은 우조에서 南-汰-潢형(선율형 G①), 南-潢-南형(선율형 G②), 汰-南-林-潢형(선율형 H①), 汰(潢)-南-林-仲형(선율형 H②)이 주로 나타나고, 계면조에서는 潢-㳞-汰형(선율형 g)이 출현하여 고음역에서 진행하는 악곡의 선율적 특징이 잘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삼수대엽과 소용을 제외한 여러 악곡의 가야금 반주선율은 각 장의 이두에서 공통된 종지선율형이 나타나며 확대 및 축소 형태를 보인다. 예외적으로 초장 초두(제7박∼제11박)와 5장 이두의 중간 부분(제6박∼제13박)에서 우조는 㑣-㑖-僙, 계면조는 㑣-㑖-僙 또는 㑣-僙으로 하행하는 반종지 형태의 선율이 나타난다. 종지선율 측면에서 악곡 간 상관성을 살펴보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종지 형태를 갖는 초수대엽·이수대엽 계열·롱과 락의 선율형과 독자적인 종지선율의 형태가 나타나는 삼수대엽 계열의 선율형으로 나눌 수 있다.
다섯째, 남창가곡의 가야금 반주선율은 대부분 반복선율로 이루어져 있지만, 반복되지 않는 독자선율도 존재하며 그 선율은 악곡의 계열별로 특정 위치에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우조와 계면조의 초수대엽에서는 초장, 3장, 5장에서 공통으로 독자선율이 나타나며, 기존의 반복선율과 함께 독자선율이 더해져 다양한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수대엽 계열의 악곡은 대부분 반복선율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수대엽과 중거의 대여음 또는 3장에서 독자선율을 일부 찾아볼 수 있다. 삼수대엽을 포함하여 속도가 빨라지는 소용, 롱과 락의 악곡에서는 대체로 대여음과 초장에서 독자선율이 나타난다.
여섯째, 남창가곡 우조의 여러 악곡 중에서 2장과 4장의 가야금 반주선율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선율형을 갖는 악곡은 초수대엽, 소용, 우롱, 우락으로 볼 수 있으며, 계면조에서는 초수대엽, 소용, 언롱, 계락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조와 계면조 이수대엽 계열의 악곡은 공통으로 2장과 3장이 초장의 선율형을 변화하여 구성하고 있어 다른 악곡과는 선율구조의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가야금 반주선율은 악곡 내에서 동일한 선율형이 반복되어 출현하거나 변형하여 구성됨으로써 연계성 및 통일성을 가지며,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악곡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으로 남창가곡의 노래와 가야금 반주선율의 구성을 비교하고, 가야금 반주선율의 유형과 구조를 살펴 선율관계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가야금 반주선율은 독자선율을 비롯하여 원곡의 변형, 다른 계열 악곡의 선율 차용 등을 통해 악곡이 구성되고, 동일한 선율형을 공유함으로써 악곡 간 관련성을 가지며 모음곡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요어 : 남창가곡, 가야금, 선율구성, 선율형, 선율구조
학 번 : 2013-30524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7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