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루트비히 판 베토벤 (L.v. Beethoven) 삼중 협주곡 다장조 작품번호 56의 분석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f L.v. Beethoven Triple Concerto in C Major, Op. 56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승희

Advisor
김다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베토벤삼중 협주곡고전주의주제리토르넬로소나타 형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2. 김다미.
Abstract
This paper is an analytical study of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s , who was a German-born composer, conductor, pianist and organist.
was composed in 1804, the second period (1803-1812) of Beethovens composition. It was a time when Beethoven began to pursue his own original musical language, breaking away from the influences of two great composers, Franz Joseph Haydn (1732-1809) and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The triple concerto was dedicated to Prince Joseph von Robkowitz (1772-1816), a patron of Beethoven.
A work in the form of a triple concerto was first composed by Beethoven. Prior to Beethoven, concerto genres for a number of solo instruments included concerto grosso in the Baroque period and sinfonia concertante in the Classical period.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se ensemble concertos.

Beethoven used the Baroque-era ritornello form in the first movement of the triple concerto, but did not follow the Baroque-era framework perfectly. For example, in the sonata forms tonal relationship, it broke the framework that had been established since the Baroque period and made changes. In addition, it also shows a new attempt by the solo cello to start almost every theme throughout the entire movement. In the Classical era, the cellos role in piano trio was relativel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cellos leading role is especially prominent in this work. In the first and third movements, various subjects appear in the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parts compared to other works in the general sonata form, among them including Hungarian and Polonaise rhythms.

Beethovens various new attempts, such as presenting various subjects, make the entire work feel long and colorful, and it is an element that shows that this triple concerto is as enterprising as Beethovens other works. However,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is work in Korea at present, so I felt the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this work. Therefore, this paper is to make a pioneering study of Beethovens triple concerto and present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through musical analysis.
본 논문은 독일 태생의 작곡가이자 지휘자, 피아니스트, 오르가니스트인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의 분석 연구이다.
은 베토벤의 작곡 시기에서 제2기(1803-1812)에 해당하는 1804년에 작곡되었다. 이 시기는 베토벤이 두 명의 위대한 작곡가인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과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영향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어법을 추구하기 시작했던 시기였다. 삼중 협주곡은 베토벤의 후원자였던 요제프 폰 롭코비츠 공작(Prince Joseph von Lobkowitz, 1772-1816)에게 헌정되었다.
삼중 협주곡이라는 형식의 작품은 베토벤에 의해 최초로 작곡되었다. 베토벤 이전에 다수의 독주 악기군을 위한 협주곡 장르로는 바로크 시대의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 고전주의 시대의 신포니아 콘체르탄테(sinfonia concertante)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합주 협주곡의 변천 과정과 공통점 및 차이점을 살펴볼 예정이다.

베토벤은 삼중 협주곡 1악장에서 바로크 시대의 리토르넬로(ritornello) 형식을 사용했지만, 바로크 시대의 틀을 완벽하게 따르지는 않았다. 예컨대 소나타(sonata) 형식의 조성적 관계에 있어서, 바로크 시대부터 정립되어 온 틀을 깨고 변화를 주었다. 또한 전 악장을 통틀어 거의 모든 주제를 독주 첼로가 먼저 시작하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다. 고전주의 시대에 들어와서 피아노 트리오 작품에서의 첼로의 역할이 이전에 비해 비교적 늘어나긴 했으나, 이 작품에서는 특히 첼로의 주도적인 역할이 돋보인다. 그리고 1악장과 3악장에서는, 일반적인 소나타 형식의 다른 작품과 비교했을 때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안에서 다양한 주제가 등장하며, 그 중에는 헝가리안 리듬이나 폴로네이즈 리듬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주제 제시와 같은 베토벤의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는 작품 전체의 길이가 길고 다채롭게 느껴지게 하며, 이 삼중 협주곡 이 베토벤의 다른 작품들 못지않게 굉장히 진취적인 작품임을 알 수 있게 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이 작품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필자는 이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삼중 협주곡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작품에 대한 선구자적 연구를 시도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20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