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프레데릭 쇼팽의 <4개의 마주르카, 작품번호 24번>에 나타나는 유기적 연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Organic Correlations in <4 Mazurkas, Op. 24> by Fryderyk Franciszek Chopi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대인

Advisor
주희성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마주르카프레데릭 쇼팽유기적 연관성<4개의 마주르카Op. 24>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2. 주희성.
Abstract
본 논문은 프레데릭 쇼팽(Fryderyk Franciszek Chopin, 1810-1849)의 <4개의 마주르카, Op. 24>에 대한 연구로, 각 곡의 유기적 연관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쇼팽 음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성악과 민속음악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4개의 마주르카, Op. 24>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구조, 반주 패턴, 악센트 패턴, 페달 기법, 선율동기의 형태, 음계의 사용 등에서 각 곡들은 유사성과 차이점을 보였다.
1, 2번과 3, 4번은 페달의 사용과 반주패턴, 선율동기의 사용에 있어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보인다. 1번과 2번은 전통적 페달 기법 사용과 반주패턴에서 첫 번째 박에 강한 베이스 음이 생략된 모습을 보이며, 연속적인 3도 하행도약의 특징을 갖는 선율동기를 사용하였다. 이에 반해 3번과 4번은 실험적인 페달 기법으로 다양한 음향적 효과를 유도하고, 춤곡의 전형적인 반주패턴과 전위된 3도 도약의 특징을 갖는 선율동기를 사용한다.
1번과 3번은 각각 후행하는 곡에서 나타나는 음계와 페달 기법을 예비하는 성격을 가지며, 2번과 4번은 선행한 곡들에서 예비된 요소가 확장되어, 조성에서 벗어난 음계가 나타나거나 론도형식이 사용된다. 이는 1, 2번과 3, 4번이 특징상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곡의 규모가 1번에서 4번으로 갈수록 확대된다는 점, 곡의 종결을 의미하는 거대한 코다가 4번의 끝에 배치되었다는 점은 곡 전체의 유기성을 강화한다.
<4개의 마주르카, Op. 24>는 이와 같은 특징들이 유사, 대비, 확대의 관계를 가지며 긴밀하게 연결되고 있다. 이는 4개의 곡이 독립적인 작품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지닌 일련의 작품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rganic association of each piece in Four Mazurkas, Op. 24, by 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 Based on the influences of folk music and vocal music on Chopins music, this analysis show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tructure, accompaniment figures, rhythm, pedaling, melodic motives, and use of scales among 4 mazurkas.
No. 1 and 2 employ traditional pedal techniques, an accompaniment figure without a strong bass note on the first beat, and a melodic motive that consists of continuous descending thirds. On the other hand, No. 3 and 4 feature experimental pedal techniques which arouse various acoustic effects, a typical dance-like accompaniment figure, and a melodic motive with inverted thirds.
No. 1 and No. 3 anticipate the scales and pedal techniques that appear in the following pieces, while No. 2 and No. 4 elaborate on the elements introduced in the preceding works, by escaping tonality and using a rondo form. This shows the parallel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wo and the last two pieces. The correlation of the complete set of Mazurkas, Op. 24, is strengthened by the expanding structures towards the later pieces of the set and by his placement of an expansive coda, which indicates the end of the piec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pieces in Op. 24 is demonstrated by similarities, contrasts, and expansions. This implies that the four pieces should be understood as a whole, structural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not as independent work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1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0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