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과적 이유-민감성과 부재 인과 : Causal Reasons-Sensitivity and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모현

Advisor
한성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유의지결정론양립가능론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23. 2. 한성일.
Abstract
프랑크푸르트 유형 사례(Frankfurt(1969))는 행위자가 실제 행위와 다르게 선택할 여지가 없더라도 자유롭게 행위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 사례의 귀결이 옳다고 받아들이면, 다르게 선택할 여지가 아닌 실제 이뤄진 행위에 자유의지가 근거한다고 볼 수 있다. 이유-반응성 이론은 자유로운 행위의 원천을 행위자가 이유에 따라 행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유-반응성 이론들을 프랑크푸르트 유형 사례에 대입하면 문제가 생긴다. 반사실적 상황에서는 이유에 따라 행위할 수 없는 행위자가 실제 상황에서 자유롭다고 설명하지 못하는 것이다. 사토리오가 세운 실제-인과적 연쇄(ACS) 이론(Sartorio(2016))에 따르면, 자유로운 행위가 있다면 그 행위의 인과적 연쇄에서 자유가 비롯된다. 이 시도가 성공적이라면 인과적 결정론과 자유의지는 양립한다. 기존 이유-반응성 이론의 대안으로 사토리오는 인과적 이유-민감성(CRS) 이론을 제시한다. 사토리오는 하지 않을 이유의 부재 또한 이유와 마찬가지로 행위를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한다. 인과적 이유-민감성에 따르는 행위자는 다르게 선택할 여지가 없더라도 자유롭다고 설명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토리오는 자신의 이론에서 부재 인과를 그 내용의 중요한 토대로 삼고 있다. 부재 인과는 사건의 부재가 인과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사토리오의 이론은 부재 인과가 어떻게 성립할 수 있는지 설명이 부족하다. 필자가 보기에, 부재 인과는 반사실적 설명을 전제해야 한다. 부재 인과를 설명하려면, 반사실적 인과를 받아들이거나 부재 인과를 유사-인과로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유사-인과는 반사실적 상황에서 일어났을 인과가 실제 상황에서 일어나지 않았을 때, 부재가 원인이나 결과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Dowe(2001)). 본고에서 필자는 사토리오의 이론이 인과에 대한 반사실적 설명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토리오는 원인이 결과에 차이를 만든다는 차이-생성(difference-maker) 인과를 제안하기도 하고, 부재 인과를 유사-인과로 받아들이는 가능성 또한 열어둔다. 하지만 어떤 시도를 해도 결국 부재 인과에 대한 반사실적 설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부재 인과에 대한 반사실적 설명을 받아들였을 때, 사토리오의 이론이 프랑크푸르트 사례에서 다르게 선택할 여지가 없는 행위자가 자유롭다는 것을 보이지 못함을 논증한다. 부재 인과를 밑바탕으로 한 사토리오의 이론은 결국 자유의지와 인과적 결정론의 양립을 보이는 데 실패한다.
The Frankfurt-type example (Frankfurt(1969)) shows that the agent can act freely even if it is impossible for the agent to choose to do otherwise. If so, free will is grounded in the actual action, not in the alternative choices available. Advocates of the reasons-responsiveness theory claim that the resource of free action is the way in which the agent acts responsively to reason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reasons-responsiveness theory to the Frankfurt-type example is objectionable. It cannot explain the case of an agent who would not act for reasons in counterfactual scenario is free in the actual situation. According to the actual-causal sequence theory(ACS; Sartorio(2016)), the source of a free action is in the causal sequence leading to the action. If this strategy is successful, then causal determinism and free will are compatible. The causal reasons-sensitivity theory(CRS), which Sartorio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previous reasons-responsiveness theory, insists that the absence of reasons not to do an action a is as important as the reasons to do a. According to CRS, an action is free even if the agent has no alternative choice. Sartorio sets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as an important foundation of her theory. By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we are referring to the cases where absences of events are relata of causation. However, Sartorios theory does not explain how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is possible. In my opinion,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needs to be explained by counterfactual explanation. This is because one needs to accept either counterfactual causation or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as species of quasi-causation in order to explain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Quasi-causation means, if causation happens in counterfactual situation but not in actual situation, absence seems to work as a cause or an effect. (Dowe(2001)) In this article, I insist that Sartorios theory must accept the counterfactual explanation for causation. Sartorio suggests difference-making causation, and she opens up to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as a species of quasi-causation. However, both strategies require counterfactual explanation for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Finally, I demonstrate that once we accept a counterfactual account of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Sartorios theory fails to show that Frankfurt-type actions are free. Hence, Sartorios theory which rests on causation involving omission fails to establish the compatibilism between free will and causal determinis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9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2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