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차원 빈곤 관점에서 살펴본 기초연금의 대상 효율성과 차별적 효과(의료비 지출) 분석 : A study on the target efficiency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differential effect (medical expense) of the basic pens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만수

Advisor
권혁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초연금보편주의 복지정책대상 효율성노인 의료비 지출차별적 효과의료경제학노인 소득노인 자산만성질환 수앤더슨 개인 결정요인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3. 2. 권혁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target efficiency of the basic pensio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analyze the differential effect focusing on the medical expense.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the target efficiency analysis aims to confirm whether the vulnerable elderly receive the basic pension by analyzing how many poverty/non-poverty groups receive the basic pension each. In previous studies, target effici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income and assets. In this study, however, the poverty dimension was expanded to eight categ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he target efficiency analysis was conducted centering 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Second, the differential effect was analyzed through the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whether the increase in income due to the recipient of basic pension leads to the medical expense depending on the income and asset poverty line, and health(a number of chronic diseases).
First of all, the universal welfare policy was discussed for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arget efficiency.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current basic pension payment method is not following the concept of universal welfare policy that refrains from looking at all the elderly (or most of the elderly people) collectively, but acknowledges personal diversity and complexity and providing welfare benefits at a level that can overcome social risks. Universalism can also pursue universalism through selectivism, and this concept of universalism is a living concept that can change according to the political, economic, diplomatic, security, and social situations of the countr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fine it as one.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sm,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arget efficiency pointed out the problems with the payment method of the basic pension and argued that it should be more efficiently operated. Nevertheless, the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was that the target efficiency was analyzed only in terms of income and assets. Hence, in this study, the target efficiency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n eight categories (income, assets, consumption expenditure,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housing, family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Because if the poverty rate in other poverty dimension (not income and assets) is 70% or higher,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basic pension recipient and operation method are appropriate. On the contrary, non-poverty group receives large portion of the basic pension in other poverty categories as the previous studies, there is room for rethinking goals and payment methods of the basic pen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basic pension recipients, the number of non-poverty elderly group compared to poverty elderly group was at least 1.8 times higher (income poverty category) and up to 11 times (friend/neighbor/acquaintance poverty category) in seven poverty categories excluding physical health poverty. The poverty line used in previous multidimensional poverty studies was applied. To be specific, it is about 4 times higher on average, which means there are 20 poor elderly and 80 non-poor elderly in 100 elderly people. It was found out that the elderly with average annual income of 23.55 million won or more, business income of 8.91 million won or more, net assets of 550 million won or more, annual living expenses of 24.77 million won or more, and living in a house with 7 rooms are receiving the basic pension. In other words, when looking at various poverty line standard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non-poverty elderly among basic pension recipients, and their income or property does not differ much from that of the working age group(20-60 years ol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target efficiency of basic pension is not high.
The theoretical discussion in the second part focused on the budget line and income consumption curve from health economics.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income increases, medical expenses and living expenses also increase.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atio of medical expenses and living expense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health (utility), as the ratio of medical expenses is high but the ratio of living expenses is low when the health is poor, while the ratio of living expenses is high but the ratio of medical expenses is low when the health is good. Medical expenses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o that we apply Andersen's individual determinants which classify them into predisposing components, enabling components, and need(illness level) components. In this study, Andersen's individual determinants were basically used to analyze the differential effect of medical expens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basic pension. Also, living expenses and savings (disposable income minus living expenses) through additional theoretical discussions were included.
In previous studies, there were many studies of medical expenses due to the introduction (whether or not the basic pension was paid) or expansion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mount of pension) of the basic pension. The study of the difference in medical expen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basic pension amount (increase in income), however, was not conducted.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academically significant as there has been no analysis of the effect of differential medical expenses according to the income, asset poverty line and a number of chronic diseases. In addition, both the amount and ratio (natural logarithm) of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is medical expenses, were analyzed to examine.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basic pension amount on medical expenses demonstrat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This result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s discussed in the target efficiency analysis above, basic pension recipients include the elderly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s well as income and assets. Taking income as an example, if the income level is low, receiving the basic pension may not have a substantial income increase effect, and if the ratio of social security systems payment such as the basic pension in total income is large, medical expenses may be reduced. Conversely, if the income level is high (ratio of private transfer income or public pension income is high), not only medical expenses but also various consumption expenditures can be made causing no direct correlation with medical expenses, and thereby showing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basic pension amount and medical expenses. In other words, when analyzing all basic pension recipients, because the recipients we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oor group, but to 70% of the elderly, so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economic circumstances, timing, and preferences of each individual.
Next, the relationship medical expenses with the basic pension amount were examined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depending on the income poverty. In theoretical discussion, in the case of low-income elderly, even if they receive social security benefits, medical expenses can be reduced due to living expense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in the case of income poverty. But the significance level was higher than 0.05, so that it was rejected. This results were the same for both the amount and ratio(natural logarithm) of medical expenses. Contrary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ose in the income poverty group who received a high basic pension could spent a little more on medical expenses showing their potential to spend living and medical expenses to a certain exten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lderly, it is un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ose with income poverty is unconditionally a vulnerable class. Nevertheless, 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though, it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final result.
In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depending on the asset poverty, a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at a significant level. Contrary to the income poverty, both the amount and ratio of medical expenses were low when the basic pension amount was high in the asset poverty group. As we have touched upon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people with less asset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edical expenses, even if the basic pension amount is high, medical expenses in the asset poverty group are low. In other words, the elderly group with low net assets such as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can not change their real income enough to pay for medical expenses even if they receive a lot of basic pension. So even though the basic pension amount is high, it is not enough to cover both living and medical expenses, resulting in only living expenses being spent. For instance, even if the income of the asset poverty group elderly increases from 700,000 won to 1 million won by receiving the full amount of the basic pension, this means that medical expenses will decrease from 70,000 won to 60,000 won, also decreasing from 10% to 6% with the percentage. The biggest reason for the decline in both the amount and ratio of medical expenses of the asset poverty group was the effect of housing expens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ve their home ownership.
Nex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depending o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turned out to be negative(-) relationship, but unlike the previous analysis results,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amount of medical expenses, but the result of the rati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In other words, among the unhealthy elderly group with many chronic disease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pension amount and the absolute amount of medical expenses, but the percentage of medical expenses(natural logarithm) was negatively related. Therefore, the discussion could be centered on the ratio of medical expens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elderly group with no or one chronic disease, the higher the basic pension amount, the higher the medical expense ratio went on. On the contrary, an elderly person with three or more chronic diseases receives a full basic, the ratio of medical expenses was reduced. An elderly person with three or more chronic diseases receives a full basic pension of 300,000 won and has his income rises from 700,000 won to 1 million won, for example, his medical expenses increase from 70,000 won to 90,000 won making the total medical expense ratio rather decreased from 10% to 9%. In turn, the ratio of living expenses increases(90% → 91%). Because this group already has many chronic diseases, unlike the asset poverty group, they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maintain or increase their medical expenses, but the key point is that the ratio of their medical expenses out of total consumption expenses decrease. The higher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medical expenses ar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being in a low-income class and overburdening medical expenses is. And the current basic pension scheme has limitations for this group to overcome it.
In summary, even if the increase of income thanks to the high basic pension amoun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medical expenses. It was confirmed that so-called vulnerable groups including the asset poverty group and the group with many chronic diseases increased their living expenses, but decreased the amount or ratio of medical expenses. In other words, the basic pension is not sufficient for a stable life in the elderly group who have to maintain or increase the proportion of medical expenses due to unhealthiness and economic vulnerabi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non-poverty group and the healthy elderly group, as examined in the theoretical discussion, medical expenses increased resulting in differential results in terms of an amount of the basic pension.
These results provide supporting evidence that the current basic pension payment method and pension amount calculation method are not suitable for the asset poverty elderly group and the elderly group with many chronic diseases. The difference in basic pension amount according to asset poverty is 10,000 won per month(130,000 won per yea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group without chronic diseases and the elderly group with three or more is 15,000 won per month(170,000 won per year). The difference in net assets, however, is 150 million won(Approximately 7 times), and the difference in medical expenses between the elderly without chronic diseases and the elderly group with three or more was 60,000 won per month(780,000 won per year), or about 3 times more. The difference in basic pension amount does not make up for the difference in each medical expense of each poverty status. The vulnerable elderly group may not be able to pay the necessary expenses for each household need, such as medical expenses as well as housing expenses, through the basic pension. On the contrary, non-poverty, and healthy group would be able to pay all sorts of expenses incurring differential effect.
While the basic pension system cannot play an absolute role in stabilizing normal life in old age and improving health,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method of selecting beneficiaries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basic pension under the current basic pension system given that the policy must be implemented with limited budget resources, that it must be efficiently paid to the elderly who need it more, and that the elderly recipient should make necessary expenditures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excluding income factor when setting the criteria for the basic pension amount and selecting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in the vulnerable class. In the short-term, one of the policy alternatives could be to exclude the 20 percent reduction of the basic pension for the vulnerable elderly couples. This can be said to be in line with the universal welfare policy discussed in the literature review. If so, I believe it will be a basic pension system that can more practically permeate the lives of the elderly, rather than a basic pension system that is tied to the poverty ratio of old.
The practic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basic data and material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basic pension scheme by exploring the basic pension recipient and differential effect according to the basic pension amount. This research expects that this thesis will be able to start discussions on the recipient selection method and pension amount calculation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다차원 빈곤 관점에서 기초연금 대상 효율성을 살펴보고, 의료비 지출을 중심으로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체적으로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첫 번째, 대상 효율성 분석은 비빈곤 및 빈곤 집단에서 각각 기초연금을 얼마나 수급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과연 취약 계층 노인이 기초연금을 얼마나 받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소득과 자산 중심으로 대상 효율성 분석이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8가지의 다차원 빈곤 관점으로 확대하여 진행하였다. 대상 효율성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두 번째, 차별적 효과 분석은 소득 및 자산 빈곤 여부, 그리고 건강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 집단별로 기초연금 수급에 따른 소득 증가가 의료비 지출로 이어지는지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대상 효율성의 이론적 논의를 위해 보편주의 복지정책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현재 기초연금 지급은 보편주의 복지정책 개념인 모든 노인(또는 다수의 노인)을 일괄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다양성‧복잡성 등을 인정하고 그러한 가운데 사회적 위험을 극복할 수 있는 수준의 복지급여를 제공하는 것과는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편주의 내에서도 선별주의를 통해 보편주의를 추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편주의 개념은 어느 하나로 규정하기 힘들 정도로 그 국가의 정치‧경제‧외교‧안보‧사회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살아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대상 효율성 관련 선행연구는 기초연금의 지급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보다 효율성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대상 효율성을 소득과 자산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8가지(소득, 자산, 소비지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주거, 가족관계, 친구이웃지인관계)의 다차원 빈곤 관점에서 대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소득‧자산 외 다른 빈곤 차원들에서 빈곤율이 70% 이상 나오면 현재 기초연금 수급 목표와 운영방식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지만, 반대로 다른 빈곤 차원에서도 선행연구 결과처럼 비빈곤 집단이 기초연금을 많이 수급한다면 기초연금의 수급 목표와 운영방식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기초연금 수급자 중 신체적 건강 빈곤을 제외한 7가지의 빈곤 차원에서 빈곤 대비 비빈곤 노인 수가 최소 1.8배(소득 빈곤 차원), 최대 11배(친구이웃지인관계 빈곤 차원) 많았다. 여기서 빈곤선은 다차원 빈곤 연구에서 활용되는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평균적으로 약 4배 정도 높아 예를 들어 기초연금 수급 노인이 100명이라면 빈곤한 노인이 20명, 비빈곤 노인은 80명이 되는 것이다. 더불어 연간 평균 근로소득이 2,355만원 이상, 사업소득이 891만원 이상, 순자산이 5억 5천만원 이상, 연간 생활비 지출이 2,477만원, 집에 생활하는 방이 7개가 있는 노인도 기초연금을 수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양한 빈곤선 기준으로 살펴봤을 때, 기초연금 수급자 중 비빈곤 노인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또한 소유하고 있는 소득이나 재산이 근로 연령층(20세~60세)과 비교했을 때도 큰 차이가 나지 않아 대상 효율성이 높다고 할 수 없다.
두 번째 파트의 이론적 논의는 의료경제학의 예산선 및 소득소비곡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소득이 증가하면 의료비 지출과 생활비 지출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강이 나쁘면 의료비 지출 비중은 높지만 생활비 지출 비중은 낮고, 반면 건강이 좋으면 의료비 지출 비중은 낮은 만큼 생활비 지출 비중이 크게 나타나 건강(효용) 차이에 따라 의료비와 생활비 지출 비중 차이가 나는 것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의료비 지출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이를 앤더슨의 개인 결정요인을 통해 살펴보면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기본적으로 앤더슨의 개인 결정요인을 활용하여 기초연금액에 따른 의료비 지출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생활비 지출, 저축액도 포함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초연금의 도입(기초연금 수급 유무) 또는 확대(연금액의 큰 상승)에 따른 의료비 지출 분석이 다수였기 때문에 기초연금액 증가(소득의 증가)에 따른 의료비 지출 차이 분석은 진행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소득 및 자산 빈곤의 유무, 건강 상태에 따른 차별적 의료비 지출 효과 분석은 진행된 바가 없어 학술적으로도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종속변수인 의료비 지출은 금액, 비율(자연로그) 모두 분석하여 의료비 지출 금액 차이, 비율 차이가 어떻게 변하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먼저 기초연금액이 의료비 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앞서 대상 효율성 분석에서 논의했듯이 기초연금 수급자는 소득, 자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특성을 가진 노인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소득을 예로 들면, 소득수준이 낮으면 기초연금을 수급해도 실질적 소득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기초연금과 같은 사회보장급여의 비율이 소득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의료비 지출이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소득수준이 높으면 의료비 지출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비지출을 할 수 있어 의료비 지출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기초연금액과 의료비 지출 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즉, 전체 기초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수급자가 특정 빈곤층을 대상으로 지급되지 않고 노인 70%에게 지급되었기 때문에 개인마다 경제적 상황, 시기적 상황, 선호 등이 달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차별적 효과 분석을 위해 먼저, 기초연금액에 따른 의료비 지출을 소득 빈곤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론적 논의에서 저소득층의 경우는 사회보장급여를 수급하더라도 생활비 지출 때문에 의료비 지출이 낮아질 수 있다고 하였지만,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소득 빈곤의 경우 오히려 계수의 방향은 정(+)의 방향으로 나타나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유의수준이 0.05보다 높아 기각되었다. 이 결과는 의료비 지출 금액과 비율(자연로그)에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선행연구 결과와는 달리 소득 빈곤 집단에서 높은 기초연금액을 수급하면 의료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느 정도 생활비와 의료비 지출을 할 수 있는 집단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래서 노년층의 경우 소득 빈곤이 무조건 취약 계층이라고 단정 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렇지만 분석 결과가 유의하지 않아 결과로서 채택할 수는 없었다.
자산 빈곤 여부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유의한 수준에서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소득 빈곤 여부와는 반대로 자산 빈곤 집단의 경우 기초연금액이 높으면 의료비 지출 금액과 비율 모두 낮게 나타났다. 자산이 낮으면 의료비 지출에 부정적이다는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봤듯이 기초연금액이 높더라도 자산 빈곤 집단이면 의료비 지출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부동산, 금융 등의 순자산이 낮은 노인 집단은 기초연금액이 더 높더라도 의료비 지출을 할 만큼 실질 소득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초연금액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생활비와 의료비를 모두 커버할 수준이 되지 않아 생활비만 지출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산 빈곤 노인 중 기초연금 전액을 수급하여 소득이 70만원에서 100만원 증가하더라도 의료비는 7만원에서 6만원으로 감소하고 그 비율 역시 10%에서 6%로 감소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자산 빈곤 집단에서 의료비 지출 금액과 비율 모두 감소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자가 소유 여부에 따른 주거비 지출 영향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만성질환 수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결과는 부(-)의 영향으로 나타났지만 앞선 분석 결과와는 달리 의료비 지출 금액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의료비 지출 비율에서 유의한 결과(p<0.01)가 나타났다. 즉, 만성질환이 많아 건강하지 않은 노인 집단 중, 기초연금액과 의료비 지출 금액과는 관련이 없지만, 의료비 지출 비율(자연로그)은 감소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의료비 지출 비율을 중심으로 논의할 수 있다. 만성질환이 없거나 1개 있는 노인 집단은 기초연금액이 높아질수록 의료비 지출 비율도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만성질환이 3개 이상부터는 기초연금액이 높아질수록 의료비 지출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만성질환을 3개 이상 가진 노인이 30만원 전액 기초연금을 받아 소득이 7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증가하여 의료비 지출 역시 7만원에서 9만원으로 증가해도 전체 의료비 지출 비율은 오히려 10%에서 9% 감소한다는 것이다. 즉, 그만큼 생활비 지출 비율(90%→91%)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집단은 이미 만성질환이 많기 때문에 앞선 자산 빈곤 집단과는 달리 의료비 지출을 유지하거나 높여야 하는 상황이지만 전체 소비지출 중 의료비 지출 비율은 낮아진다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만성질환이 많고 의료비 지출 비율이 높을수록 저소득층이며 의료비 지출 과부담일 가능성이 큰데 현재 기초연금액으로는 이 부분을 극복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종합하면 취약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자산 빈곤, 건강하지 못한 노인 집단에서는 기초연금액이 높아진 만큼 소득이 증가하여도 의료비 지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산 빈곤 집단, 만성질환이 많은 집단 모두 생활비 지출 또는 비율은 높아지지만 반대로 의료비 지출 금액 또는 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건강하지 못해 의료비 지출 비율을 유지하거나 높여야 함에도 경제적으로 취약하여 일상생활을 하는 것도 벅찬 노인 집단에서는 기초연금액이 안정된 생활을 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에 반해 비빈곤 집단, 건강한 노인 집단에서는 이론적 논의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여 효과 측면에서 차별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방식, 연금액 산정방식이 자산 빈곤 노인 집단과 만성질환이 많은 노인 집단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자산 빈곤 여부에 따른 기초연금액 차이는 월 1만원(연 13만원),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 집단과 3개 이상 있는 노인 집단 간 차이는 월 1.5만원(연 17만원)이지만, 순자산 차이는 1억 5천만원(약 7배),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과 3개 이상 노인 집단의 의료비 차이는 연간 월 6만원(연 78만원)으로 약 3배 이상 나타났기 때문이다. 기초연금액 차이가 각 빈곤 여부에 따른 의료비 지출 차이를 보완해주지 못하는 것이다. 이렇게 취약 계층 노인 집단은 의료비 지출뿐만 아니라 주거비 등 가구마다 필요한 지출을 기초연금으로 충당하지 못할 수 있으며, 반대로 건강하고 자산 비빈곤 집단에서는 기초연금을 본인들이 필요로 하거나 추가적인 소비지출에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차별적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기초연금 제도가 노년기 생활을 안정시켜주고 건강을 개선하는 데 절대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한정된 예산자원으로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는 점, 조금 더 필요한 노인에게 효율적으로 지급되어야 한다는 점, 수급 노인은 의료비 지출을 포함하여 필요한 지출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현행 기초연금 제도의 수급자 선정방식과 연금액 산정방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취약 계층 노인의 생활 개선을 위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에서 기초연금을 소득에서 제외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취약 노인 계층에 대한 기초연금액 부부감액을 제외하는 것도 하나의 정책적 대안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함의는 이론적 논의에서 살펴본 보편주의 복지정책과도 그 궤를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노인 빈곤율 수치에 얽매인 기초연금 제도가 아닌 보다 실질적으로 노인 삶에 스며들 수 있는 기초연금 제도가 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기초연금 수급 현황과 기초연금액에 따른 차별적 현상을 탐구하여 더욱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기초연금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는데 실질적 목적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이 기초연금 수급 목표‧수급자 선정방식‧연금액 산정방식 등과 관련하여 학술적 논의를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해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7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