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애인 적응형 의류 온라인 수선을 위한 UX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UX Design for Online Alterations of Adaptive Cloth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Individuals with Brain Lesions
- 뇌병변장애인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정민

Advisor
이장섭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적응형 의류뇌병변장애인UX 디자인참여적 디자인사용자 경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3. 8. 이장섭.
Abstract
본 연구는 신체 활동이 제한적인 뇌병변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보호자가 경험하는 적응형 의류수선 서비스의 오프라인 수선 상담 과정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UX 디자인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뇌병변장애인을 포함하여 탈착의 수행에 불편함을 겪는 장애인은 기성 의류의 한계를 경험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장애인의 신체적 특징에 맞춰 의류를 개조 및 수선하는 적응형 의류의 개념이 등장하였지만, 적응형 의류 수선 서비스 이용에 필수적인 대면 상담 과정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저하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응형 의류 수선 서비스의 대면 상담 과정을 분석하고 온라인 수선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여 뇌병변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먼저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이해관계를 파악하고, 이해관계자들과의 인터뷰 및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수선 상담 과정에 대한 사용자 경험(UX)을 설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적응형 의류 수선 서비스의 GUI 및 최종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및 사용성 테스트의 대상은 장애인을 위한 의류 수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울시 보조기기서남센터의 보조공학사와 서비스를 이용하는 뇌병변장애인의 보호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적응형 의류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사례조사이다. 먼저 적응형 의류와 뇌병변장애인에 대한 문헌 연구를 살펴보고, 척수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의류수선 경험에 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뇌병변장애인의 신체적 특징에 맞는 개조 의류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연구 대상의 범위를 좁힐 수 있었다. 또한 참여적 디자인에 관한 문헌 연구와 적응형 의류 수선에 관한 사례 조사를 통해 오프라인 의류 수선 서비스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UX 디자인 연구 방향을 확립하였다.

두 번째는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한 사용자 경험 설계이다. 의류 수선 서비스를 경험한 수선 상담사와 뇌병변장애인의 보호자를 중심으로 인터뷰 및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적응형 의류 수선 서비스 과정을 분석하고 대면 상담 과정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적응형 의류 수선 서비스의 상담 과정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6단계로 구성된 사용자 경험 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는 온라인 적응형 의류 수선 서비스의 GUI 디자인 및 최종 프로토타입 제작이다. 사용자와 의류 정보를 수집하고 맞춤 수선 방법을 제안하는 6단계의 서비스 진행 과정을 시각화한 GUI 제안하여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감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촬영을 통해 의류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기술적 전제를 기반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최종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현시점에서 유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복지기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설계 맥락에 중점을 두기 위해 세부적인 선택옵션을 제한하였다는 점과 연구 결과물의 적용 가능성이 의류 수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복지기관으로 한정되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적응형 수선 서비스 진행에 필수적인 대면 상담 과정을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거동이 불편한 이들을 위한 비대면 수선 서비스 아이디어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 사례와의 협업을 통해 현실성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물이 적응형 의류 수선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가능성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s to propose a user experience (UX) design that transforms the traditional offline mending consultation process of an adaptive clothing repair service, catering to individuals with brain lesions and limited physical activity, into an online platform.

People with disabilities, including those with brain lesions, face challenges in dressing and undressing with ready-made clothing, leading to the emergence of "adaptive clothing" to cater to their specific needs. However, the face-to-face consultation process for accessing adaptive clothing repair services creates accessibility issues for users with limited mobil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xisting face-to-face consultation process of the adaptive clothing repair service and propose an online alternative service in order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individuals with brain lesions. The research begins by identifying stakeholders' interests and designing the UX of the mending consultation process through interviews and usability tests. Subsequently, the study conducts research to develop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final prototype for the online adaptive clothing repair service. The participants for the interviews and usability tests include assistive technology engineers from the Seou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and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brain lesions who utilize the service.

The study comprises three main parts..

Firstly,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on adaptive clothing and people with brain lesions are conducted, alongside interviews with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with clothing modificat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adaptive clothing tailored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leading to the narrowing down of the study scope. Additionally, limitations of adaptive clothing repair services are identified, guiding the direction of UX design research through participatory design literature studies and adaptive clothing repair case studies.

Secondly, user experience design is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interviews and usability tests involving mending counselors and caregivers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who have availed clothing repair service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adaptive clothing repair service, various issues in the face-to-face consultation process are identified, ultimately leading to a six-step user experience design plan for transitioning the consultation process online.

Lastly, the study presents the GUI design and final prototype of the online adaptive clothing repair service. The proposed GUI visualizes the six-step service process, collecting user and clothing information, and suggesting personalized repair methods to alleviate the user's psychological burden. A mobile application is developed based on the technical premise of automatically analyzing clothing through photography, with a focus on applying it to disability welfare organizations providing similar services.

Despite certain limitations, such as the limited focus on detailed options in the user experience design context, and the applicability of findings primarily to welfare organizations catering to disabled individuals,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value. By proposing a non-face-to-face repair service for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the study addresses the essential role of face-to-face consultation in adaptive repair services, while also presenting opportunities for the expansion of adaptive clothing repair services through practical considerations and real-case collaborat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3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3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