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폐산업 소재의 물성 변화 탐구를 통한 조형화 가능성 모색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esthetics through the changes in the material properties of waste industrial materia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동훈

Advisor
장성연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폐산업 소재물성 실험질감조형 대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3. 8. 장성연.
Abstract
산업 혁명 시대를 지나면서 석유 화학 산업 기반의 합성소재 개발과 성형 기술의 발달은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이너들에게는 형태적인 표현의 자유를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자연 분해되지 않는 합성소재의 특성상 꾸준히 환경에 미치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고 2000년대를 전후를 시작으로 디자인 분야에서도 국내외 유수 전시 및 학회를 통해 본격적으로 폐산업 소재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본 작품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친환경 산업의 측면이 아닌 디자이너로서 새로운 조형적 해석을 통해 소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자원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실험을 통해 발견한 소재의 특징이 반영된 작품 제작 방법을 바탕으로 물성 변화 탐구를 통한 조형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첫째,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폐산업 소재의 발생 사례를 찾고 둘째, 연구를 위해 일정량 이상 수집이 가능한 폐기물 수집처를 확보하였다. 셋째, 제작 방법 연구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폐산업 소재에서 보지 못했던 새로운 표면 질감과 형태에 따른 조형적 가능성을 각 차수 작품 연구를 통해 탐색하였다.

1차 작품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발견한 폐플라스틱 가루의 물성을 바탕으로 질감의 조형적 변화를 활용한 그릇 디자인, 정형적 판재와 비정형적 액체 상태가 만들어내는 조형적 대비를 활용한 가구를 제안하였다.
2차 작품 연구는 시간에 따른 표면 질감의 상태 변화를 통한 수납 제품 디자인, 표면 질감의 투명도를 활용한 조명 디자인을 하였는데 1차 작품에 비하여 조형적 대비가 두드러지지 않는 점과 소재 연구의 과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발견한 조형 요소의 재해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차 작품 연구에서는 유리와 불량 플라스틱 펠렛의 질감의 대비를 보여준 화병 디자인과 제작 방법을 달리한 건축 디자인을 모티브로 3D 프린팅을 활용한 데스크 용품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이는 폐플라스틱만을 사용하여 지속가능성의 관점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어나 조형 요소로써 소재의 가치를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었다.
4차 작품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또 다른 폐산업 소재인 버려지는 소파나 의자에서 수집한 스펀지를 통하여 새로운 물성을 발견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스펀지의 탄성이 만들어내는 조형적 대비를 활용한 가구와 누르는 압력으로 인한 비정형적 형태와 질감의 대비를 활용한 가구를 디자인하였다.

본 작품 연구는 소재의 물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사이의 다양한 조합과 변주를 통해 조형적 가능성을 발견하는 과정이었다. 폐산업 소재를 활용하여 실제 사용 가능하거나 소장할 수 있는 제품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소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고 물성의 상태 변화가 만들어내는 조형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연구자의 디자인 개념을 정의하여 향후 작품 활동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development of synthetic materials based on the petrochemical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molding technology not only enriched our lives but also gave designers formative freedom. However,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steadily pointed out due to the properties of synthetic materials that do not decompose in nature, and discussions have been held in the design field since the 2000s on the use of waste industrial materials through various pairs and academy conferenc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is problem can be expect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material and extend the life of resource use through a new aesthetic interpretation as a designer, not as an aspect of the eco-friendly indust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aesthetic possibilities created by changes in the state of physical properties based on the method of producing work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found through experiment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first, finding cases of waste industrial materials that have not received attention so far, and second, securing waste collection sites that can collect a certain amount for research. Third, based on research on production methods, the aesthetic possibilities according to new surface textures and shapes that have not been seen in waste industrial materials were explored through the study of each of works.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aste plastic powder discover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e first work, proposed a bowl design using an aesthetic change in texture, and furniture using an aesthetic contrast created by a formal-shaped plate and an amorphous liquid state.
The second work, used storage product design through changes in surface texture status over time and lighting design using transparency of surface texture, and it was found that the aesthetic contrast was not noticeable compared to the first work and the process of material research was not revealed enough.
The third work, proposed desk stationery products produced using 3D printing were designed with the motif of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And vases were designed with the contrast between glass and melted defective plastic pellets. Thes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value of materials as an aesthetic element, away from the stereotype that only waste plastic should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In the fourth work,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iscover new properties through sponges collected from discarded sofas or chairs, which are other waste industrial materials that occur in daily life. The furniture shows the aesthetic contrast with the amorphous shape and texture created by the pressure from the elasticity of the sponge.

This study was a process of discovering aesthetic possibilities through combinations and variations between shapes, textures, and colors based on understan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designed as products that can actually be used or collec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2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