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19 비전담 의료진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Healthcare Workers Not Dedicated to COVID-19 Treat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도란

Advisor
유명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코로나19의료종사자직무 스트레스보상인력 정책COVID-19Health WorkforceOccupational StressFinancial CompensationHuman Resource Managemen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8. 유명순.
Abstract
의사와 간호사를 포함하는 의료인력의 규모, 구성, 분포와 같은 요소는 한 국가가 구축한 보건의료체계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기본 지표이다. 또한 보건의료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의료인력의 배치, 업무 훈련, 참여 증진과 같은 관리 방안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코로나19 의료 대응과 관련하여 전담 병상, 전담 병원, 전담 인력 등 코로나19 전담 정책의 이면(裏面)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여기에서 전담은 전문적으로 맡거나 혼자서 담당한다는 專擔의 의미로, 영어로는 dedicated, 즉 전념(專念)을 뜻하는 단어에 해당한다. 이런 전담의 담론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실제 병원 종사 의료인력의 일-역할에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를 다룬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명 코로나19 비(非)전담 의료진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전담과 비전담 의료진 사이에 업무 경험과 고충 차이가 있었는지 확인하고, 비전담 의료진이 팬데믹 하에서 담당했던 병원 조직 내의 역할과 경험하였던 고충, 환경의 문제를 탐색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에는 설문지를 사용한 양적 연구, 심층인터뷰로 진행하는 질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참여 대상자는 2022년 3월에 경기도 소재의 1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었던 의사와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 107명이었으며,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코로나19 전담 의료진 해당 여부와 과거의 코로나19 관련 업무 경험, 현재의 업무 상황과 인식, 업무 고충, 코로나19 장기화 대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후, 비전담 의료진으로 분류된 참여자 중 희망자 14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22일부터 5월 25일까지 일대일 심층면담을 시행하였다.
양적 자료의 분석은 코로나19 치료 업무를 경험한 그룹, 코로나19 대응 업무의 경험이 있는 그룹, 코로나19 치료나 대응 업무를 경험한 적이 없는 그룹으로 하위집단을 구분하여, t-test, ANOVA와 사후 분석 또는 빈도 분석으로 업무 경험과 고충에 대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Braun & Clarke, 2006)을 통해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 코로나19 치료 업무 그룹은 인력과 보상, 심리적 지지에 대한 충족도가 높았고, 코로나19 치료, 대응 업무 경험이 없었던 그룹은 현재의 의료인력 운영 체계에 대한 한계와 불안을 느끼는 비율이 타 그룹 대비 높았다. 코로나19 장기화 대책 항목에 대하여는 모든 그룹에서 '지속 가능하고 현실적인 보상 체제 마련'과 '임의성을 탈피한 인력 대책'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질적 자료 분석 결과, 최종 두 개의 주제가 확인되었다. 첫째 주제는 코로나19 전담 명명으로 발생하는 업무 소외로, 코로나19 전담이라는 틀로 인해 인력 충원과 보상 등의 문제에서 비전담 의료진이 소외를 경험하였으며 비전담 의료진의 입장에서 느끼는 업무적, 심리적 고충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른 하나로는 업무 지지에 필요한 자원 공급의 미비, 수시로 변경되는 진료 지침 등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나타난 병원 조직 내 환경과 체계의 문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비전담 의료진에게도 적합한 물질적 보상과 정신적 지지를 통한 인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코로나19와 관련된 인력에만 보상금을 지급하는 정책이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 소진을 불러올 수 있고, 코로나19 관련 업무 수행과 관계없이 모든 의료진에게 심리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 둘째, 미래 감염병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확립함으로써 물자, 시설, 행정 인력 공급을 총괄하여 관리하며 효율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게 하되, 의사 결정 과정에 다양한 입장의 의견을 반영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1개 종합병원 의사, 간호사 직군만 연구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참여자의 숫자도 적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화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한 코로나19 비전담 의료인력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level of the healthcare system established by a country can be identified through factors such as the siz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he health workforce, including doctors and nurses. In addi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in the health organization, such as staffing, training, and participation,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operate the healthcare system efficiently.
This study intends to look at the hidden side of the "COVID-19 dedicated" policy of Korea, which includes running dedicated beds, dedicated hospitals, and hiring dedicated personnel. The key word is dedicated. Dedicated to COVID-19 patients means the healthcare workers are fixed to care only for COVID-19 patients. The concept of dedicated to COVID-19 patients has been the top priority in the healthcare system of the country over the past few years, yet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that critically evaluated the aftermath.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refore healthcare workers not dedicated to COVID-19 patients,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It is first to check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and work distress between COVID-19 dedicated and not dedicated healthcare workers. Next to be explored are the details of work and emotional distress of not dedicated healthcare workers within the hospital organization, and also environmental problems that they encountered during the pandemic.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For this, a quantitative research using questionnaires comes first and then qualitative research follows wit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here were 107 participants in the survey, including doctors and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in March 2022.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whether they are currently medical staff dedicated to COVID-19, and then past work experiences related to COVID-19, current work conditions and perceptions, work distress, and opinions on preparing for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14 applicants among the participants classified as not dedicated healthcare workers an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22 to May 25, 2022.
For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group that experienced COVID-19 treatment work, a group that had experience in COVID-19 response work, and a group that had never experienced COVID-19 treatment or response work. According to these classification criteria,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r t-test, ANOVA, and post hoc analysis. For analyzing qualitative data, thematic analysis was used(Braun & Clarke, 2006).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COVID-19 treatment work group appeared to be relatively satisfied with manpower, financial compensation, and psychological support, and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in COVID-19 treatment or response work had a higher rate of recognizing limitations and feeling anxious about the current HRM policy than other groups. In terms of measures for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all groups had the most demand for a sustainable and realistic system for financial compensation and continuous manpower planning.
2 main them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matic analysis. The first main theme was work alienation provoked by the concept of dedicated to COVID-19 patients. It was found that not dedicated healthcare workers experienced alienation in issues such as recruitment and financial compensation, as well as occupational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second main theme was the problematic work environment and system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highlighted by the COVID-19 pandemic, such as a lack of material or administrative resource supply and frequently changing guidelin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cognition through financial compensation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not dedicated healthcare workers is necessary. This is in line with the finding of previous studies, which found that the policy of financial compensation confined to dedicated healthcare workers can lead to relative deprivation and exhaustion and that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for all healthcare workers regardless of dedi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upply of goods,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personnel, and to efficiently deliver information, but to find ways to reflect opinions from different position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y establishing a system that can consistently respond to future infectious disease crises.
There are limitations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in only one general hospital and also the subject was restricted to doctors and nurses, causing a lack of generalizability.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is relatively small.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not dedicated healthcare workers with experience in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presenting evidence for future HRM policy establishment or improvem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7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