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poetry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poetic reveri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효정

Advisor
강민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적 몽상시 읽기 교육오독몽상상상내적 영역질료적 상상력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3. 8. 강민규.
Abstract
This study believes that poetry reading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imaginative activities of learner who reads poetry qualitatively transforming the empirical properties of an object. As a concept that can explain these,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poetic reverie and aimed to project poetry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poetic reverie.
In this study, the need for the concept of reverie was derived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on learners imagination in poetry education and discussions on the distance between signifier and signified, and misreading in literary language. The concept of reverie is included in the concept of imagination discussed in existing poetry education. However, in the existing poetry education, there is an aspect of paying attention to the imaginative activities of learners when the path of imagination suggested by the text is relatively specific. In other words, imaginative activities in which learners voluntarily activate various associations related to poetry or give deep value to the poetic objects and qualitatively transform the internal have been relatively less dealt with, and the abundant possibilities of poetry reading that can occur in this regard also have not been noticed. In this regard,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Gaston Bachelards discussion of imagination and conceptualizes reverie as an imaginative activity of seeing an object as not fixed in form but as capable of transforming its material and dynamic properties, and qualitatively transforming the object including its surroundings, by giving subjective value to the internal area of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can be said to be a process in which the imagination of the poet, which is contained in the text, and of the reader meet each other, influence each other, and produce dynamic meaning.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activity of reverie in poetry reading education becomes a valuable literary experience only when it goes through a dialogue with poetry text, and sets the concept of poetic reverie as the ability to reverie and make meaning of reverie in a dialogue with poetry text. Then, Based on Bachelards discussion of imagination, the structure of poetic reverie was presented as detecting the formal ambiguity of the poetic object based on the formal imagination, projecting subjective values into the internal area of the poetic object and dynamizing it, realizing the meaning of reverie through dialogue with poetry text.
The aspects of poetry reading of leaner focused on poetic reverie were categorized as follows by linking the structure of poetic reverie and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poetry reception data. First, the associativ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ormal ambiguity of the poetic object appeared as detecting the formal ambiguity of the poetic object, searching for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based on formal similarities, free association of images and composition of meaning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mal associations by learners and their level of meaning. Seco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area of the poetic object and the value, and the dynamization of the object appeared as the evocation tactile qualities of the object and the association of images, the metaphorical projection of specific values into the internal area of the object, and the endowment of dynamic quality to the boundary and the surrounding area of ​​the object, depending on the learner's level of giving value to the invisible qualities of the object and the internal area of it. Third, the figuration and meaning realization of reverie through dialogue with text appeared as the figuration of reverie based on the context of the text, realizing the meaning of reverie through dialogue with the tex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is a process of making meaning with a detailed awareness of the language expression of the entire poem text. Lastly, the problem situations and causes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learners' poetic reverie were analyzed as failure to detect the formal ambiguity of the poetic object due to rationalistic attitude, inactivation of reverie due to failure to control the aesthetic distance to the poetic object, and failure to dialogue with the text due to lack of confidence in the content of reverie.
Through analysis, the content of poetry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poetic reverie were suggested as delaying the figuration of the poetic object through familiarity with ambiguity, setting the direction of reverie through the use of metaphor, and motivating learners to have dialogue with the text. As specific methods for this, the provision of visual materials to delay the figuration of the object, becoming and microscopic experience for imaginative perception of the internal area of the object, the use of guides for dialogue with the text, and activation of dialogue in the classroom based on questions and interpretations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oetry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poetic reverie can promote learner-centered imaginative thinking, expand the learners' involvement in the language of poetry, and enhance their ability to creatively realize the meaning of poetry.
본 연구는 시 읽기 교육이 시의 언어를 통해 환기되는 대상의 경험적인 성질을 질적으로 변형하며 시를 읽는 학습자의 상상 활동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 시적 몽상의 개념을 도입하여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상상에 대한 기존 연구들과, 문학 언어에서 기표와 기의의 멀어짐 및 오독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여 몽상 개념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몽상의 개념은 기존 시 교육에서 논의된 상상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지만, 기존 시 교육에서는 텍스트가 제안하는 상상의 경로가 비교적 구체적인 경우에서의 학습자의 상상 활동에 주목해온 면이 있다. 즉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상을 활성화하거나, 경험적인 대상에 깊은 가치를 부여하며 그 내부를 질적으로 변형하는 상상 활동은 상대적으로 덜 다루어져 왔으며, 이와 관련해 일어날 수 있는 풍부한 시 읽기의 가능성 역시 주목받지 못한 면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바슐라르의 상상력 논의에 주목해 몽상의 개념을 어떤 대상을 형태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물질적‧운동적 특성을 변형할 수 있는 것으로 보며, 대상의 내밀한 영역에 대한 주관적 가치 부여를 통해 대상 및 그를 둘러싼 배경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상상의 활동으로 개념화하였다.
한편 시 읽기 과정은 텍스트에 내포된 시인의 상상력과 독자의 상상력이 서로 만나 영향을 주고받으며 역동적인 의미를 산출해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 읽기 교육에서 몽상의 활동은 시 텍스트와의 대화를 거칠 때 비로소 가치 있는 문학 경험이 된다고 보고, 시적 몽상의 개념을 시 텍스트와의 대화 속에서 몽상하며 그것을 의미화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바슐라르의 상상력 논의에 근거하여 시적 몽상의 구조를 형태적 상상에 기반한 시적 대상의 형태적 모호성 감지, 시적 대상의 내부 영역에 대한 주관적 가치의 투사와 대상의 역동화, 시 텍스트와의 대화를 통한 몽상의 의미화로 제시하였다.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의 양상의 경우, 시적 몽상의 구조와 학습자의 시 수용물 분석을 연계하여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첫째, 시적 대상의 형태적 모호함 감지에 따른 대상 관계의 연상적 탐색은 학습자의 형태적인 연상의 유무 및 그 의미화 수준에 따라 시적 대상의 형태적 모호함 감지, 형태적 유사성에 기반한 대상 관계의 탐색, 이미지의 자유 연상과 의미 구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적 대상의 내부 영역과 가치의 결부 및 대상의 역동화는 대상의 비가시적인 특성 및 내부 영역에 대한 학습자의 가치 부여 또는 몰입 정도에 따라 촉각적 특성 환기와 이미지의 연상, 대상의 내부에 대한 가치의 은유적 투사, 대상의 경계선과 주변 영역에 대한 운동성 부여로 나타났다. 셋째, 텍스트와의 대화를 통한 몽상의 형상화 및 의미화는 시 텍스트 전체의 언어 표현을 세밀하게 의식하며 의미화하는 과정의 유무에 따라 텍스트의 맥락에 기반한 몽상의 형상화, 텍스트와의 대화를 통한 몽상의 의미화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시적 몽상 과정에서 일어난 문제 상황과 원인의 경우 합리주의적 태도로 인한 시적 대상의 형태적 모호함 감지 실패, 시적 대상에 대한 심미적 거리 조절 실패에 따른 몽상의 비활성화, 몽상 내용에 대한 자신감의 부족으로 인한 텍스트와의 대화 실패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의 교육 내용으로 친모호성을 통한 시적 대상의 형태 형성 지연, 은유의 활용을 통한 몽상의 방향 설정, 텍스트와의 대화를 위한 동기화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으로 대상의 형태 형성 지연을 위한 시각 자료의 제공, 사물 내부의 상상적 지각을 위한 되기와 현미경 체험, 텍스트와의 대화 가이드 활용, 질문 및 해석 기반의 교실 내 대화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상상적 사고를 추동하고, 시의 언어에 대한 학습자의 관여를 확대하여 텍스트의 창조적 의미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3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4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