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교 미술교육의 목적으로서 예술가-되기의 의미와 가치 : The Meaning and Value of Becoming-Artist as the Purpose of School Art Education: Focusing on Deleuzes concept of becoming
들뢰즈의 '-되기' 개념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연희

Advisor
김형숙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들뢰즈-되기예술가-되기미술 그리고 교육학생 행위주체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2023. 8. 김형숙.
Abstract
예술이 존재하면서, 예술가와 감상자는 각자의 역할에 알맞은 교육을 받아왔다(Efland, 1990/1996, p. 1). 예부터 미술교육의 목적은 미술을 위한 교육(education of art)/미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art)으로 이분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목적의 양극화가 미술과 교육의 조화를 통해 발현되는 미술교육의 힘을 저해한다는 데 문제의식을 둔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목적의 이분법을 극복하는 미술교육의 목적을 질 들뢰즈의 철학을 활용하여 예술가-되기(becoming-artist)로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이며,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 들뢰즈의 저서들을 분석하여 -되기 개념의 틀을 사이, 만남, 생성 중심으로 구축한다. Ⅲ장에서는 예술가-되기의 의미를 예술가-되기의 전제: 보통학생과 예술가 사이, 예술가-되기의 방법: 보통학생과 예술가의 만남, 예술가-되기의 양상: 보통학생과 예술가 모두의 생성 중심으로 제안한다. Ⅳ장에서는 예술가-되기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예술가-되기의 교육적 힘을 조명하며, 예술가-되기의 교수·학습 접근을 정리한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되기가 사이에서의 만남을 통한 창조적 생성이라면, 예술가-되기는 보통학생과 예술가 사이에서 보통학생과 예술가의 만남을 통한 보통학생과 예술가 모두의 창조적 생성이다.
사이는 보통학생/예술가의 이질성, 배타성을 말한다. 우리는 모두 이미 예술가라고 하지만 교육 현장에는 잘 그리고 잘 만드는 사람이라는 예술가의 관념이 잔재하며, 미술계에서는 보통사람의 미술/예술가의 미술의 층위를 구분한다. 또한 전문 예술인 되기를 희망하지 않는 보통학생의 삶과 필요는 학교 안팎, 교육과정상에서 미술교육의 소외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예술가-되기를 논하는 것은 보통학생과 예술가의 사이를 좁힐 수 없는 거리가 아닌, 창조적 생성이 일어날 잠재성의 장(場)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다.
만남은 미술교육을 통한 보통학생과 예술가의 만남을 말한다. 이질적인 항들의 관계 맺음인 -되기로부터 보통학생과 예술가의 만남의 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 보통학생은 특이자(Anomal) 예술가와 마주침으로써, 자신에게 잠재하는 예술가의 정동(affect)을 깨워, 보통학생과 예술가의 신체가 섞이는 함입(involution)을 체험하며, 보다 예술적 존재로 변용(affection)한다. 보통학생과 예술가의 만남의 핵심은 두 무리의 분간 불가능한 지대(a zone of indiscernibility) 구성에 있다. -되기는 두 항이 탈영토화하여 서로의 존재 능력, 행동 능력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제3의 지대를 형성할 때 일어난다. 보통학생과 예술가의 분간 불가능한 지대는 보통학생/예술가, 보통학생의 일(감상, 소비)/예술가의 일(창작, 생산), 보통학생을 위한 미술교육/예술가를 위한 미술교육과 같은 구별짓기로부터 마주치기, 실험하기에로 주의를 환기한다.
생성은 예술가-되기를 통해 보통학생과 예술가 모두에게 일어나는 창조적 변화를 말한다. -되기는 서로의 모방, 재현이 아니라, 사이에서의 만남을 통해 이전과 다른 자신이 되는 과정이다. 보통학생은 예술가-되기라는 옷 입은 반복을 통해 차이 자체를 드러내며, 전보다 예술적인 존재가 되어간다. 예술가는 보통학생들의 다양한 의미 만들기와 함께 다시 읽히고 쓰이며, 미술계에 의해 코드화된 예술가로부터 도주선을 그린다. 이를 통해 보통학생과 예술가는 위/아래, 중심/주변으로 분간되지 않고, 공생, 공감하는 리좀적 생태계를 구성한다.
본 연구는 예술가-되기의 사례로 TAB(Teaching for Artistic Behavior)을 소개한다. TAB은 성인 예술가의 일에서 비롯된 예술적 행동(artistic behavior)을 기반으로 하는 미술교육 접근법이다. TAB의 세 문장의 교육과정(the Three-Sentence-Curriculum)은 TAB의 핵심 철학과 원칙이 담긴 것으로, 보통학생이 예술가-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첫 번째 문장의 성인 예술가의 일은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마주칠 수 있는 예술가의 역량을, 이로부터 도출된 예술적 행동은 예술가와 만나 학생들이 현실화할 수 있는 잠재력, 즉 변용의 목록을 보여준다.
-되기 개념에 근거할 때 예술가-되기의 교육적 힘은 되는 항이 다양한 보통학생이기에, 되려는 항이 예술가이기에 현실화하는 잠재력에 주목해야 한다. 되는 항이 다양한 보통학생이기에, TAB에서 학생들은 동일한 예술가의 역량과 마주쳐도 저마다 상이한 창의적, 예술적 과정을 정립한다. 또한 되려는 항이 예술가이기에, TAB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 안에 내재하는 의지적, 계획적, 도전적, 실험적, 성찰적, 사회적 잠재력을 현실화한다.
이러한 예술가-되기의 사례가 갖는 교육적 힘은 학생 행위주체성(student agency)과 공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TAB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교육적 힘을 마거릿 본(Vaughn, 2021)의 학생 행위주체성의 세 차원과 연결한다. TAB은 보통학생을 예술가로 위치 지우고 교실을 스튜디오로 만듦으로써 학생들에게 잠재하는 활동적, 의도적 내적 성향을 깨우고(성향적 차원),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작업 전체를 통제하고 방해 속에서도 끈기 있게 작업하게 하며(동기적 차원), 예술을 통해 협력, 연대하고, 학교 및 사회 맥락에서 협상, 상호작용하게 한다(위치적 차원). 특별히 예술가-되기의 학생 행위주체성이 갖는 특징으로 주목할 만한 것은 학생이 예술가-되는 과정에서 성향적, 동기적 차원이 자연스럽게 발현된다는 점, 이를 위해서는 예술가로서의 학생, 스튜디오로서의 교실과 같이 보통학생이 예술가의 영역과 마주칠 수 있는 맥락, 즉 기회의 조성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예술가-되기의 교수·학습 접근을 미술 그리고 교육(Art ET Education)으로 정리한다. 미술 그리고 교육(Art ET Education)은 미술(Art)과 교육(Education)을 들뢰즈의 그리고(ET), 곧 -되기의 결합 방식으로 연결한 것이다. 이는 미술과 교육이 자신의 영토로부터 탈주하여 서로의 할 수 있음을 증대하는 방식으로 관계 맺는 것을 말한다. 미술교육의 목적의 양극화는 미술을 교육에, 교육을 미술에 포섭하려는 데서 발생한다. 예술가-되기를 지향하는 미술교육은 미술을 교육으로 교육을 미술로 겪어내게 하며, 언제나 미술과 교육의 사이에서 창조적 생성을 도모한다.
끝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목적에 대해 다시 또 깊이 사유할 장(場)을 마련한다. 또한 예술가-되기라는 새로운 개념은 하나의 기호로서 교육 현장에서 새로운 실천을 촉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일정 한계를 갖는다. 그리하여 후속 연구로 예술(가)-되기, 미술 그리고 교육의 정교화와 이에 기반한 교육적 실천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purpose of art education that overcomes the dichotomy of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using Deleuzes philosophy: becoming-artist. As education of art/education through art becomes polarized, the unique power of art education, which can be realized through the harmony of art and education, is being hindered. Deleuzes concept of becoming provides the third passage for thinking about the harmony of art and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meaning of becoming-artist as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2) What is the educational power of becoming-artist?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In chapter Ⅱ, Deleuzes becoming is outlined, focusing on three keywords: between, encounter, creation. In chapter Ⅲ, the meaning of becoming-artist is proposed, focusing on Premise of becoming-artist: Between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Method of becoming-artist: Encounter of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Aspect of becoming-artist: Creation of both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In chapter Ⅳ, a case of becoming-artist is introduced and the educational power of becoming-artist is found in it. Finally, this study propose the teaching-learning approach of becoming-arti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ecoming is creative creation through the encounter in between. Based on this, becoming-artist can be creative creation through the encounter between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To be more specific, Between means the space in-between caused by territorialization(artist/the ordinary). Artists define their identity as professionals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ordinary people and amateur artists. Ordinary students are oppressed by the modern idea of artists and students who do not want to major art alienate art classes. However, becoming-artist does not regard this distance as that cannot be narrowed down, but as a field of potential for creative creation.
Encounter means the conjunction of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in art education. From the concept of becoming, which enables heterogeneous relations, elements of encounter can be derived: Anomal, affect, involution, affection. By encountering Anomal artists, ordinary students awaken affect of artists in them, experience involution by mixing their bodies with the artists, and realize affection by becoming more artistic. Ultimately, the encounter of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seeks to form a zone of indiscernibility of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In this third zone, artist/the ordinary, practice of artist(create, produce)/practice of the ordinary(appreciate, consume), art education for the artist/art education for the ordinary are all indiscernable. By encountering and experimenting instead of distinguishing, they can escape from their own territory(fixed identity) and become different from what they are used to be.
Creation means the creative changes those occur to both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through becoming-artist. Ordinary students become more artistic than before. Artists can be re-read and re-written with ordinary students diverse meaning makings. Also artists can exist more freely and do their artworks in creative ways escaping from institutional art(ist). At this time, ordinary students and artists form a rhizome where they coexist and sympathize, increasing each others competences to exist and act.
In this study, TAB(Teaching for Artistic Behavior) is introduced as a case of becoming-artist. The Three-Sentence-Curriculum of TAB shows the competences of artists those students can encounter and the potentials those students can realize in art education. In detail, students can realize eager, intentional, experimental, courageous, reflective, social potentials inherent in them.
The educational power of TAB resonates with student agency. So this study connect it with Margaret Vaughn(2021)s three dimensions of student agency. By positioning ordinary students as artists and turning the classroom into a studio, TAB awakens the active, intentional inner disposition in students(dispositional dimension), empowers them to take control of their own artmakings(motivational dimension), and to interact and negotiate in school and social contexts(positional dimension). Particularly, Student agency in becoming-artist shows that dispositional and motivational dimensions are naturally expressed in the process of becoming-artist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contexts(opportunities) where students can encounter artists.
Finally, this study propose the teaching-learning approach of becoming-artist: Art ET Education. It is a concept which connect art and education with Deleuzes ET. It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ducation in a way that increases each others competences to exist and act. The polarization of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arises from trying to capture art to education or education to art. Art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becoming-artist seeks to creative creation in between art and education, rather than using art as a tool for education and vice versa.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s below:
This study provides a place to think deeply again about the harmony between art and education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becoming-artist is expected to trigger new practic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s a sign. Nevertheless, this study has certain limitations in that it is an introductory discussion. Therefore, as a follow-up study, elaboration of becoming-art(ist) and Art ET Education with educational practices is requir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3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6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