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음악적 소재의 운용 방법과 어법적 특징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sical Material and Compositional Techniques : Focusing on Taeho Kims 《Decalcomanie》, 《Division》, 《Requiem for Shadow》, and 《Beyond Images》
김태호의 《Decalcomanie》, 《분열》, 《Requiem for Shadow》, 《Beyond Images》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상직-
dc.contributor.author김태호-
dc.date.accessioned2023-11-20T04:42:23Z-
dc.date.available2023-11-20T04:42:23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914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708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4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8. 전상직.-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작곡 기법적 측면에서 본인의 작품을 개괄하여 음악적 소재의 운용 방법과 이에 따른 어법적 특징에 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정 소재를 주요하게 활용한 《Decalcomanie》, 《분열》, 음향 소재를 주요하게 활용한 《Requiem for Shadow》, 《Beyond Images》의 음악적 의도와 각 작품별 중심 소재의 특징, 화성적•음향적 특성을 밝혔다.
《Decalcomanie》에서 여섯 개의 단편들을 구성하는 음고 동기(pitch motive)는 주제적으로 활용되는 음정 구조로서 핵심적 소재로 작용한다. 《분열》 역시 특정 음정 소재가 곡의 전반적인 수직•수평적 음정 구조에 적용되며, 이는 시어의 음악적 동기화를 통한 선율, 기악에서의 동기적 활용에서 드러난다. 또한 음향적 변용이 제재(題材)로 작용하는 《Requiem for Shadow》에서 부분별 중심화음 간의 화음 구성음정의 확대는 서로 다른 음향적 특성을 갖는 각 부분에 화성적 연관성을 부여함으로써 화성 소재 운용의 구조적 합리성을 확보한다. 다채로운 선(線)의 표현이 주가 되는 《Beyond Images》에서의 다양한 음향 효과는 선율의 음향적 장식과 정취를 표현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works of the author himself, Taeho Kim, focusing on his compositional techniques, and by that aim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his musical language resulting from the usage of musical materials. Defined are the musical intentions, the character of the main materials, and the features of the harmony and timbre of the following pieces: 《Decalcomanie》 and 《Division》, both mainly utilizing pitch materials, and 《Requiem for Shadow》 and 《Beyond Images》, both mainly utilizing timbral materials.
In 《Decalcomanie》, the pitch motives that constitute the six fragments, which are the interval structure utilized thematically, function as the central material of the piece. 《Division》 applies certain interval materials to the interval structure, horizontal and vertical, of the piece in general; they emerge from the melodies constructed from the motivization of poetic words, and utilization of motives in the instrumental parts. In 《Requiem for Shadow》, which adopts timbral transfiguration as its main material, the expansion of the compositional intervals of the chords secures the structural logic of the utilization of harmonic materials by providing harmonic relation between sections each with the timbral features that differ according to the section they belong. In 《Beyond Images》, comprised chiefly of expression of diverse melodic lines, various timbral effects portray the timbal embellishments of melodies and their atmospher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작품 분석)
1. 《Decalcomanie》에서의 음고 동기(pitch motive)의 운용 3
1.1. 《Decalcomanie》의 소재 3
1.2. 음고 동기(pitch motive)에 의한 여섯 개의 단편 5
1.2.1. 단편 A의 운용 5
1.2.2. 단편 B, B′의 운용 6
1.2.3. 단편 C의 운용 8
1.2.4. 단편 D의 운용 8
1.2.5. 단편 E의 운용 10
1.2.6. 단편별 비교 11
1.3. 단편 A, B, B′에 의한 화성 11
1.4. 단편 D의 음향적 활용 15
2. 《분열》에서의 텍스트와 음악적 요소의 상관관계 18
2.1. 《분열》의 소재 18
2.2. 해석과 재구성을 통한 시의 운용 18
2.2.1. 《꽃나무》와 《거울》의 구조적 해석 18
2.2.2. 두 텍스트의 재구성 21
2.2.2.1. 문장의 재배열 21
2.2.2.2. 시구의 변형 22
2.3. 시의 음악적 구현 28
2.3.1. 시어의 음악적 동기화 28
2.3.2. 선율을 통한 시어•시구 간의 대응 30
2.3.3. 기악에서의 동기적 활용 33
2.3.3.1. 화성적 활용 33
2.3.3.2. 음향적 활용 36
2.4. 화성적 특성 39
2.4.1. 전과(轉過)적 화음 39
2.4.2. 음향적 측면에서의 화음 운용 44
3. 《Requiem for Shadow》에서의 음향적 변용 46
3.1. 《Requiem for Shadow》의 소재 46
3.2. 그레고리오 성가의 인용 47
3.3. 음향적 변용을 통한 선율 49
3.3.1. 음향과 텍스트의 관계 49
3.3.2. 부분별 음향적 특성과 선율 운용 방법 51
3.3.2.1. Introitus: Requiem aeternam 51
3.3.2.2. Kyrie eleison 53
3.3.2.3. Sequentia – Dies irae 55
3.3.2.4. Sequentia – Tuba mirum 57
3.3.2.5. Communio - Lux aeterna 58
3.4. 화성의 구조적 기능 60
4. 《Beyond Images》에서 나타나는 선(線)의 표현 62
4.1. 《Beyond Images》의 소재 62
4.2. 악기의 운용 방법 63
4.3. 음향적 특성 66
4.3.1. 선율의 운용 67
4.3.1.1. 헤테로포니의 짜임새 67
4.3.1.2. 페달 효과 69
4.3.2. 음향의 구조적 활용 70
4.3.3. 정취의 표현을 위한 특수주법의 활용 72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dc.format.extent7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음고 동기-
dc.subject텍스트와 음악-
dc.subject화성의 구조적 기능-
dc.subject음향의 구조적 활용-
dc.subject.ddc780-
dc.title음악적 소재의 운용 방법과 어법적 특징에 대한 고찰-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sical Material and Compositional Techniques : Focusing on Taeho Kims 《Decalcomanie》, 《Division》, 《Requiem for Shadow》, and 《Beyond Image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Taeho Kim-
dc.contributor.department음악대학 음악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8-
dc.title.subtitle김태호의 《Decalcomanie》, 《분열》, 《Requiem for Shadow》, 《Beyond Images》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작곡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914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50▲000000000058▲00000017914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