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려 충렬왕대 개경의 재건과 十字街 중심의 공간적 재편 : Spatial Reorganization around the Crossroad(十字街) Area during the Goryeo Chungnyeol Er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유빈

Advisor
정요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개경충렬왕十字街 일대移御궁궐 운영官府 배치도시 재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3. 8. 정요근.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reorganization that occurred in the Crossroad(十字街) area during the Goryeo Chungnyeol era, focusing on the extensive reconstruction of Gaegyeong after the devastating Mongol invasions. Following the reconstruction, the main palace (本闕)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ceremonial space, while the Crossroad area emerged as the new central residential space for the Goryeo royal family. As a result, the Crossroad area surpassed its previous status as a bustling commercial district, becoming the epicenter of governmental operations within Gaegyeong.
The Mongol invasions led to the decline of the primary residence of the Goryeo royal family, the main palace (本闕). Subsequent financial difficulties, coupled with a weakened central authority, delayed restoration efforts for Gaegyeong. Consequently, the main palace's functions were limited to ceremonial events, and the king's residence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were relocated to the historically significant Crossroad (十字街) area , which served as a vital commercial hub and transportation nexus in Gaegyeong. Gradually, the main palace's significance as a governing space diminished as it shifted its focus towards ceremonial functions.
During the Goryeo Chungnyeol era, when Gaegyeong reconstruction was in full swing, the main palace's reduced role with its ceremonial functions persisted. The king's primary residence during this time was the Sapan-Palace (沙坂宮), the former residence of King Wonjong. Additionally, the Sunyeong-Palace (壽寧宮) underwent significant reconstruction to accommodate the Great Princess of Qi (齊國大長公主, Jeguk daejang gongju) at the heart of the Crossroad area. Consequently, the central residential space of the Goryeo monarchs solidifi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apital since the Mongol invasions, with the Sunyeong-Palace also assuming a representative role for Goryeo in diplomatic relations.
Upon completion of the Great Hall (大殿) in Sunyeong-Palace, King Chungnyeol officially moved there. The Palace not only became the residence of the imperial princesses but also served as the king's abode, where routine administrative affairs were conducted. As the Palace partially absorbed the functions of the main palace, the Crossroad area gradually replaced it as the central administrative space within Gaegyeong.
Furthermore, the Residences of Bureaucrats and temples within Gaegyeong played auxiliary roles in the monarch's governance. As the central governing spaces formed outside the main palace (本闕), the residences of the officials became significant auxiliary spaces for the king.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splendid official residences in close proximity to the king's activity area. Additionally, while the temples in and around Gegyeong retained their original locations, those situ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apital assumed new functions and statuses. The evolution of the capital of Goryeo around the Crossroad area was symbolized by the tower Yangnu (涼樓), representing the new center of the city.
As the central residential space of the Goryeo royal family solidified around the Crossroad(十字街) area , major government institutions underwent reorganization. Core government agencies, previously situated in the main palace to cater to the king's needs, experienced extensive rearrangement when the main palace lost its status as the king's primary residence. Key bureaucrats and institutions were relocated to the Crossroad area for the king's convenience. Additionally, the serving (侍奉) and guarding (侍衛)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assisting the monarch in governance and protection gradually grew in size. This expansion was inevitable as the king's residence was situated outside the dual walls of the capital and the royal palace.
본 논문은 몽골과의 전쟁으로 소실된 개경 재건이 본격화된 고려 충렬왕대 十字街를 중심으로 공간적 재편이 이루어졌음을 살펴본 것이다. 개경 환도 이후 본궐은 의례 공간으로 축소되어 가는 한편, 십자가 일대는 새로운 고려 왕실의 중심 거주공간으로 부상하였다. 그 결과 십자가 일대는 번화가의 위상을 넘어 개경 내 국정운영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몽골과의 전쟁으로 고려 왕실의 주요 거주공간인 본궐은 황폐해졌다. 개경 환도 이후 이어진 열악한 재정적 상황은 100년간 이어진 무신집권기가 종식되고도 대대적인 본궐 복원을 지체시켰다. 본궐은 의례 행사를 위한 공간만이 활성화되는 한편, 국왕의 거주·정무공간은 일찍부터 개경의 중요한 상업공간이자 교통의 요충지였던 십자가 일대에 마련되었다. 시기적 부침은 있더라도 항상 정국운영의 중심에 있던 본궐은 점차 의례공간으로 그 기능이 축소되어 갔다.
의례공간으로 축소된 본궐은 개경 재건이 본격화된 충렬왕대에도 그대로 계승되었다. 재위 전반 국왕의 주 거주처는 上王의 거주 궁궐이던 沙坂宮으로 이어지고, 고려에 下嫁한 齊國大長公主의 생활을 위한 수령궁(죽판궁)이 십자가 중심부에 상당한 규모로 증축되었다. 이로써 개경 환도 이래 본궐 바깥으로 이동한 고려 왕실의 중심 거주공간은 개경 중앙부로 굳어지게 되었고, 수령궁은 본궐을 대신해 외교의 중심 공간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충렬왕 12년 수령궁에 大殿이 완공되는 시점과 맞물려 수령궁은 제국대장공주뿐 아니라 국왕의 거처가 되었다. 이제 수령궁은 군주의 일상적인 정무가 행해지는 공간의 의미까지 더해지면서, 대전이 王宮正殿의 기능까지 일부 흡수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십자가 공간은 본궐을 대신해 개경 내 국정운영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해갔다.
충렬왕은 수령궁을 중심 궁궐로 운영해나가면서, 私第와 寺院에 빈번히 移御하며 그곳을 보조적 통치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정국운영의 중심 공간이 본궐 바깥에 형성되어가는 과정에서, 관료 혹은 왕실 구성원의 사적 공간도 본격적으로 군주의 보조공간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군주의 활동 반경과 그리 멀지 않은 개경 시내에 화려한 저택이 조영되는 관행으로 이어졌다.
한편, 충렬왕대 개경 일대의 사원들은 기존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 와중에, 개경 중심부에 자리한 사원의 기능과 위상은 이전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특히 원 황실을 위한 축성의식과 같은 정례적인 대규모 국가 행사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개경 중심부의 사원이 중요하게 기능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개경은 고려 왕실의 주요 거주공간이 된 십자가를 중축으로 하여 변화를 맞이해가고 있었고, 그 중심에 높이 세워진 涼樓는 개경의 중심을 상징하였다.
고려국왕의 통치 활동공간이 십자가 일대로 집중되면서, 官府의 재편과 함께 주요 廳舍의 배치 구도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본궐의 핵심 관부를 비롯한 近侍 기구는 기능상 국왕 편의에 맞게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궐이 국왕의 주 거주처로서 기능을 상실하면서, 황성 안팎 관청거리의 청사들은 점차 그 기능이 축소되어 갔다. 반면, 이 무렵 중추적 관부들은 다시금 국왕 편의에 맞게 십자가 일대로 집중되었다. 이와 함께 국왕 근거리에서 군주 통치를 보좌하는 侍奉기구와 신변을 보호하는 侍衛기구는 점차 비대해져 갔다. 정국운영의 중심 공간이 궁성·황성 이중의 성곽 바깥에 마련된 상황에서 근시 기구의 확대는 필연적인 결과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1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23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