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박경리 전후소설의 아프레걸 재현 연구 :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Park Kyung-ris Postwar Nove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양양

Advisor
방민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박경리전후소설아프레걸낭만적 사랑희생양청년-여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8. 방민호.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Apres-girl in Park Kyung-ris postwar novels in the category of genderized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analyze short and long novels published in the 1950s and 1960s by Park Kyung-ri, focusing on the fact that post-war still belongs to the post-war 1960s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Labor is scarce, especially after the Korean War, due to the death and disappearance of men. Korean men try to dominate women by attaching the symbol Apres-Girl to women who engage in social activities to regain their damaged subjectivity and return to the position of domination. In Park Kyung-ris postwar novels, female characters were described as characters that were the opposite of pure figures. These characters appear as unfaithful, wandering women who commit adultery or have relationships with multiple men. These women are often expelled from Korean society or have tragic endings, and return to their traditional family appearance. This may seem to be consistent with the social discourse on women at the time, but the problem is that the author gave an overly fixed image to female characters. For example, there are innocent, wise women, or extremely self-indulgent women. Even women who adapt well to and obey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seem to have the energy of compromise, revolution, obedience and rebellion. Therefore, we have no choice but to think about why women are shaped like this.
Chapter 2 of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Apres-Girl felt social demands through romantic love. The narrative of romantic love is a characteristic of Park Kyung-ris novel, and the author reveals that she discovers the ills and oppression hidden behind romantic love through the process of describing womens fantasies and fantasies about romantic love. Park Kyung-ri exposes and criticizes snobbery postwar society and humans through their eyes.
In Chapter 3, Park Kyung-ri explores the way Saint and Witch exist in the novel and the meaning of Magical of Witch emphasized by the author. Park Kyung-ri reveals the double standard of women in the society of the time due to the confrontation between women who are subordinate to traditional gender norms and women who are not. The writer obscures the line between the saint and the witch by emphasizing that the witchs magical body also exists. Post-war society tries to return to a male-centered society by excluding women who are not subordinate to traditional gender norms through Afregal discourse. In this sense, the witch is a Byron-style hero who challenges social norms and a victim of male-centered social violence.
Chapter 4 examines the changes in Afghanistan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Park Kyung-ri shows the changes of women around the 1960s through female characters that are not at all tied to social demands such as Joo Sil in The Field at Sunset and Soo Ok in Pasi. These women are not criticized for the post-war Apres-Girl discourse, but are the subjects of interrogation of the modernity represented by young people and men without being included in the existing order. These women dream of a new world through interrogation and questioning of modernity.
본고는 박경리 전후 소설을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의 범주에서 박경리의 전후 소설에 아프레걸 표상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에 본고는 전후는 4·19혁명 이후의 1960년대도 여전히 전후에 속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어 박경리 1950-1960년대에 발표한 단·장편소설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전쟁 이후 특히 남성의 사망과 실종 때문에 노동력 부족하다. 한국 남성들은 자신이 훼손된 주체성을 되찾고 지배하는 자리에 되돌아가기 위해 사회활동을 하는 여성에게 아프레걸이라는 기호를 붙이고 여성의 정조와 순결을 강조하여 여성을 지배하려고 한다. 박경리는 전후 소설에서 여성 인물을 순결한 형상과 정반대인 캐릭터로 묘사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불륜을 저지르거나 여러 남자와 관계를 맺는, 가정에 충실하지 않은, 방랑적인 여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여성들은 종종 한국 사회에서 추방당하거나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며, 전통적인 가정 모습으로 돌아가기도 한다. 이는 당시 여성에 대한 사회적인 담론과 부합하는 내용으로 보일 수 있는데, 그러나 문제는 작가가 여성 인물에게 지나치게 고정된 이미지를 부여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순결한 현모양처형 여성이나 극도로 방종한 여성 등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가부장적인 가정 제도에 잘 적응하고 순종하는 여성까지도, 타협과 혁명, 순종과 반항의 에너지를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여자들이 왜 이렇게 형상화되어 있는지에 대해 고민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논문의 제2장에서 아프레걸이 낭만적 사랑을 통해 사회적 요구를 느끼게 된 과정을 살펴본다. 낭만적 사랑 서사는 박경리 소설의 특징인데 작가는 여성 인물들이 낭만적 사랑에 빠져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보다는 이런 낭만적 사랑에 대한 여성들의 환상과 로망을 묘사하는 과정을 통해 낭만적인 사랑의 이면에 숨겨진 병폐와 자신에 대한 억압을 발견한다는 것을 드러낸다. 박경리는 그녀들의 시선을 통해서 속물적인 전후 사회와 인간을 폭로하고 비판한다.
3장에서는 박경리가 소설에서 성녀와 마녀의 존재 방식과 작가가 강조하는 마녀의 마성의 의미를 탐구한다. 박경리는 전통적인 성 규범에 종속하는 여성(성녀)과 그렇지 않은 여성(마녀)의 대립으로 당대 사회가 여성에 대한 이중잣대를 폭로한다. 작가는 성녀의 몸에도 마녀의 마성이 있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성녀와 마녀의 경계선을 모호하게 한다. 전후 사회는 아프레걸 담론을 통해 전통적인 성 규범에 종속하지 않는 여자를 배제함으로써 남성 중심 사회에 되돌아가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마녀는 사회 규범을 도전하는 바이런식 영웅이자 남성 중심 사회 폭력의 희생양이다.
4장에서는 4·19혁명 이후 아프레걸의 변화를 살펴본다. 박경리는 󰡔노을 진 들녘󰡕의 주실이나 󰡔파시󰡕의 수옥 같은 사회적인 요구와 아예 얽매이지 않는 여성 인물을 통해 60년대 전후 여성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여성들은 전후 아프레걸 담론 때문에 비판받은 대상이 아니라 기존 질서에 포섭되지 않은 채 청년-남성이 대표하는 근대성을 심문하는 주체가 된다. 이 여성들이 근대성에 대한 심문과 질의를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꿈을 펼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0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7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