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무형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Work Types and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MZ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s (X generation, baby boom generation)
MZ세대 및 기성세대(X세대,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효원

Advisor
정광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근무형태직무만족도MZ세대기성세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3. 8. 정광호.
Abstract
In today's competitive job market, characterized by high unemployment rates, even securing a position in the public sector, including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public enterprises, is a challenging task. However, an increasing number of new employees, including those in public institutions, leave their jobs before completing five years of service. This phenomenon leads to additional costs and time spent on recruitment, training, and filling the vacant positions, as well as increased expenses associated with alternative work arrangements for remaining staff. The unique work arrangements in the railway transportation industry, such as shift work and job rotation,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are predicted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of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 (KORAI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chieve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ly,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influences of job satisfaction across various work arrangements, considering work arrange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not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is categorized into job content satisfaction, promo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satisfaction, based on the core research subject of the MZ generation, focusing on fairness, rationality, and the degree of compensation.
Secondly,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job content satisfaction, promo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satisfaction) among different generations and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Specifically, the study compares the MZ generation with the X generation and Baby Boomer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irdl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the extent of their impact on job satisfaction when work arrangements and generations are combined. The study focuses on the MZ generation, which will play a central role in future public enterprises, comparing their job satisfaction in performing regular work arrangements and non-standard flexible work arrangements (such as shift work and job rot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two types of work arrangements: regular work arrangements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3-shift, 2-shift, night shift, job rotation, and flexible work schedule), and three generations (MZ generation, X generation, and Baby Boomers). Interaction terms are add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resulting from the combination of generation and work arrangement. The dependent variables are categorized into job content satisfaction, promo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satisfaction, representing satisfaction levels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job, fairness in promotion procedures and evaluations, and adequacy of compensation compared to job responsibilities, respectively. To ensu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position, job classification, and length of employment are controlled. Additionally, leadership, welfare level, and job autonomy, which are recogniz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in previous studies on job satisfaction, a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For empirical analysis, a sample of 360 employees, representing all positions and gender ratios in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 was selected us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survey items were adapted from the "Survey of Public Servants' Working Condition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o measure job satisfaction.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mong group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the differences and influences of job satisfaction observed in specific groups.
In the analysi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mong different work formats, except for compensatio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content satisfaction and promotion process satisfaction. Compared to regular fixed-hour work, employees under irregular flexible work schedules showed lower levels of job content satisfaction and promotion process satisfaction. However, in terms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effect among Generation X and Baby Boomers, who are the older generations, indicating that they value the total amount of salar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compared to regular fixed-hour work, result in higher levels of holiday work, night shifts, and overtime, leading to higher overall wag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mong gener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job content satisfaction, promo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satisfaction using analysis of variance based on the effects of increasing age and tenure as found in previous studies, the older generation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newer generations. Additionally, even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MZ generation as the referenc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lder generations and previous generations. The higher the gener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stronger the positive effect.
La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work formats and generation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hich focused on the MZ generation, showed that when the MZ generation was under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their job content satisfaction and promotion process satisfaction were lower compared to MZ generation employees who were not under flexible work schedules. This indicates that the MZ generation prefers regular fixed-hour work, starting at 09:00 and ending at 18:00, rather than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that involve continuous shifts.
In conclusion, employees under flexible work schedules, corresponding to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 showed lower overall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under regular fixed-hour work. This suggests the need for personnel management measures to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new generation, MZ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centives that motivate them and implement rational personnel management policies to address promotion-related concerns. Developing career types that bring out their abilities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through system enhancements are also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in terms of compensation. These finding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implementing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MZ gen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

Key words: type of work, generation MZ, job content satisfaction, promotion fairness satisfaction, remuneration satisfaction, Korea Railroad Corporation
Student Number : 2022-2576
청년의 취업난이 심각한 오늘날 취업시장에서 공공부문의 입사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도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의 입사라는 취업의 목표를 달성하고도 입사 후 채 5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직을 선택하는 신규직원들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신규직원들이 퇴직과 이직을 통해 이탈함에 따라 다시 부족한 인원에 대하여 채용과 교육을 시행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신규채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지출뿐만 아니라, 근무인원의 공백에 따른 대체 근무 투입 등으로 인건비 지출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MZ세대라고 하는 신규세대의 특성과 국가 철도망을 운영하는 K공사의 교대 및 교번 근무 등과 같은 철도운송업의 특수한 근무형태가 직원들의 직무만족도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어 K공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각 근무형태별로 나타나는 직무만족도의 차이와 영향력을 분석함으로 기존 직무만족도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근무형태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때 직무만족도는 본 연구에서 핵심적 연구대상인 MZ세대의 특성에 기인하여 공정성과 합리성 그리고 보상의 정도를 직무만족도에서 직무내용만족도, 승진공정성만족도, 보수만족도로 그 만족의 범위를 특정하고 구분하였다.
둘째, 세대별로 나타나는 직무만족도(직무내용만족도, 승진공정성만족도, 보수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여, 신규세대와 기성세대에서 얼마만큼의 차이가 발생하며 그 영향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관심 연구대상인 MZ세대를 기준으로 기성세대인 X세대와 베이비붐세대를 비교하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뤘다.
셋째, 근무형태와 세대가 결합하였을 때, 직무만족도(직무내용만족도, 승진공정성만족도, 보수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며, 이것이 얼마만큼의 영향을 가지고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했다. 무엇보다 향후 공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세대가 되는 MZ세대가 통상적인 통상일근(09시∼18시) 근무를 수행할 경우와 변칙적인 교대근무제(교대 및 교번 근무 등)를 수행할 때 주목하여 두 집단 간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독립변수는 통상일근제와 교대근무제(3조2교대, 4조2교대, 야간격일제, 교번근무제, 기타근무) 2가지 유형과 각 세대(MZ세대, X세대, 베이비붐세대)는 3가지로 구성하고, 일종의 세대와 근무형태간 결합을 통한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항을 독립변수로 추가시켰다. 종속변수는 직무만족도의 범주에서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도인 직무내용만족도와 승진의 공정한 절차 및 평가 등을 측정하는 승진공정성만족도, 급여 등 직무 대비 보상의 적정성을 나타내는 보수만족도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변수 간 관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성별, 학력, 결혼여부, 직급, 직렬, 근속연수 등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제하였고, 기존의 선행 직무만족도와 관련한 연구에서 주요 영향요인으로 다뤄지는 리더십, 복지수준, 업무자율성 또한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표본은 K공사 임직원의 직급 및 성별의 비율을 고려하여 계층층화추출법으로 K공사 본사와 지역본부에 근무하는 전체 직급에 해당하는 임직원 36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때 설문문항은 한국행정연구원의 「공직생활 실태조사」의 직무만족도 측정문항을 활용하였다. 종합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산분석을 통해 집단별 변수의 차이를 검증하고, 변수 간 관계와 특정 집단에서 나타나는 직무만족도의 차이와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 근무형태별 직무만족도는 보수만족도를 제외하고 차이가 존재했으며 직무내용만족도와 승진공정성만족도에 교대근무는 (-)부적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일근제에 비해 변칙적인 교대근무제의 근로자들의 직무내용만족도와 승진공정성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보수만족도의 경우 오히려 기성세대가 되는 X세대와 베이비붐세대에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성세대에는 급여의 총량이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급여 수준에 있어 교대근무제가 휴일근로, 야간근로, 초과근로의 발생으로 통상일근제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것이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각 세대별 직무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선행연구의 결과들에 상응하는 연령 및 근속연수의 증가 효과 등에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분산분석을 통한 세대별 직무내용만족도와 승진공정성만족도, 보수만족도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성세대가 신규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 MZ세대를 준거집단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도 기성세대와 이전 세대 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다. 세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지고 정(+)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각 근무형태별로 세대가 결합하여 나타나는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존재했고 본 연구의 가설인 MZ세대가 교대근무제에 해당하면 그렇지 않은 MZ세대의 근로자들에 비하여 직무내용만족도와 승진공정성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MZ세대는 교대근무와 같은 연속적인 근무형태를 갖는 교대근무제보다 09시 출근하여 18시 퇴근하는 통상일근제를 더 선호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K공사에서 교대근무제(3조2교대, 4조2교대, 야간격일제, 교번근무제, 기타근무)에 해당하는 근로자들이 전반적인 직무만족도가 통상일근제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의 근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인사운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할 수 있었다. 또 신규세대인 MZ세대를 고려하여 동기부여가 되는 인센티브를 탐색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보상의 측면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요소인 승진과 관련하여 승진적체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인사 운영의 방침과 이들의 역량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경력유형의 개발 등 인사제도의 종합적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주요어 : 근무형태, 통상일근제, 탄력적 근무제, MZ세대, X세대, 베이비붐세대 직무내용만족도, 승진공정성만족도, 보수만족도, K공사
학번 : 2022-25766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0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0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