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태원 참사'에 대한 주요 언론사 보도의 프레임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types of framing in major media coverage of the 'Itaewon traged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editorials in major daily newspapers
주요 일간지 논설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난샘

Advisor
임도빈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이태원 참사언론 프레임귀납적 프레임 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3. 8. 임도빈.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ductively identify the framing of media editorials on the 'Itaewon tragedy' and analyze them by media outlet, media orientation, and before and after the national investigation. To this end, we collected editorials from six media outlets (Kyunghyang Shinmun, Hankyoreh,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and Hankook Ilbo) that were reported for about 100 days from October 29, 2022, when the Itaewon tragedy occurred, to February 9, 2023, when the impeachment charges against Minister of the Interior and Safety Lee Sang-min were voted on, to determine 144 editorials for the study, and derived 37 thematic statements by topic function. Based on thi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nd as a result, three clusters were derived, which were reorganized into a narrative structure to derive the final media frame.
Frame 1 is 'Urge to build a safety management manual to prevent accidents'.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take necessary measures for the safety of its citizens even when there is no organizer, so the content of this frame calls for a safety management manual or guidelines to be prepared as soon as possible to prevent such accidents from happening again.
Frame 2 is the "Need for a national investigation and special prosecutor to find out the truth and punish those responsible" frame. The government has tried to avoid responsibility for the disaster, but it is argued that a national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clarify the truth and the ruling party should participate, and a special prosecutor should be considered to punish those responsible.
Frame 3 is the 'Unsuccessful investigations leading to impeachment, national investigation, and dismissal proposal' frame. The investigation into the disaster was stalled and ended with the 'exoneration of the top brass,' the national investigation, which began with difficulty, went round in circles and ended without results, and the proposal to dismiss was rejected by the president. In the end, this led to an unprecedented situation in the history of the Constitution, when an impeachment bill was passed against the Minister of the Interior and Safety.
Based on the above frames,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frames by media outlets, but all three fram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The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frames by media outlet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in frame 1, conservative media outlets mentioned the frame twice as much as liberal media outlets. In frame 2, the liberal media, which has a different partisanship from the conservative administration, utilized the frame more than three times more. These results are analyzed to indicate the partisanship of the Korean media. Frame 3 is an inclusive frame and was mentioned slightly more by liberal media,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frames 1 and 2.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frames before and after the National Security Investigation, frame 1 was mainly mentioned before the National Security Investigation as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frame that highlighted the government's poor response and broken reporting system at the beginning of the investigation. Frame 2 is a frame that calls for a national investigation and a special prosecutor, and its frequency naturally decreased after the national investigation and was higher before the national investigation. Frame 3 is a comprehensive frame, but it appeared more frequently after the National Security Investigation because most of the thematic statements were issues that emerged after the National Security Investigation.
This study is an inductive media frame study on the 'Itaewon tragedy'. It can be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subsequent frame studies.
In addition, various methods were applied to conduct cluster analysis. First, we used hierarchical clustering to derive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s through dendrograms, then cluster plot analysis to check for good clustering, and finally K-means clustering analysis to confirm the topic statements included in the three clusters. This methodolog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media frame studies.
본 연구는 이태원 참사에 대한 언론사 사설기사를 대상으로 실제로 어떤 프레임을 구성하여 참사에 대한 보도를 하고 있는지 귀납적으로 확인하고, 언론사별, 언론사의 성향별, 국정조사 전후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2022년 10월 29일부터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가 의결된 2023년 2월 9일까지 약 100일간 보도된 6개 언론사(경향신문, 한겨레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의 사설기사를 수집하여 연구대상 144개의 사설기사를 확정하고 이에 대하여 주제함수별로 37개의 주제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군집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3가지 군집이 도출되었고, 이를 이야기 구조로 재구성하여 최종 언론 프레임으로 도출하였다.
프레임1은 인재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매뉴얼 구축 촉구 프레임이다. 정부는 주최자가 없는 경우에도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하므로 이러한 사고가 재발되지 않도록 안전관리 매뉴얼이나 지침을 서둘러 마련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이 프레임의 내용이다.
프레임2는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위한 국정조사 및 특검 필요 프레임이다. 정부는 참사 책임을 면피하고자 하였으나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국정조사가 필요하고 여당도 동참함이 마땅하며, 책임자 처벌을 위해서 특검 도입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이다.
프레임3은 탄핵소추로 이어진 성과 없는 수사, 국정조사, 해임건의안 프레임이다. 참사에 대한 수사는 지지부진하다 윗선 무혐의로 끝났고, 어렵게 시작된 국정조사 역시 공전을 거듭하다 성과없이 기간을 마쳤으며, 해임건의안 역시 대통령의 거부로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결국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는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기에 이르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위에서 도출한 프레임을 토대로 언론사별 프레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으나, 3가지 프레임 모두 유의수준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어서 언론사 성향별 프레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연구결과를 시행한 결과, 프레임1에서는 보수 성향 언론사가 진보 성향 언론사보다 해당 프레임을 2배 정도 더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임2에서는 보수 정권과 다른 정파성을 가진 진보 언론에서 해당 프레임을 3배 이상 더 활용하였다. 이런 결과는 우리나라 언론의 정파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된다. 프레임3은 포괄적 프레임으로 진보언론이 조금 더 언급하였으나 앞선 프레임1과 프레임2에 비해 비교적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조사 전후로 프레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프레임1은 수사 초기에 정부의 부실대응과 무너진 보고체계가 드더나며 부각된 제도개선 프레임으로 국정조사 전에 주로 언급되었다. 프레임2는 국정조사와 특검을 요구하는 프레임으로 국정조사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빈도가 급감하여 국정조사 전의 빈도가 높았다. 프레임3은 포괄적 프레임이긴 하나 대부분의 주제진술문이 국정조사 이후에 나타난 이슈들이므로 국정조사 이후에 더 자주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태원 참사에 대한 귀납적 언론 프레임 연구이다. 후속 프레임 연구시 본 논문이 하나의 출발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군집분석을 시행함에 있어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계층적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덴드로그램을 통해 최적 군집수를 도출한 후, cluster plot(군집구성) 분석을 통해 군집화가 잘 되는지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K-means 군집분석 등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3개의 군집에 포함된 주제진술문을 확정하였다. 향후 언론 프레임 연구시 방법론으로 참고할 수 있겠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1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3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