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육 연구 : A Study on Refusal Speech Act of In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request and suggestion
요청과 제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비자이쿠마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Indian Korean learnersspeech act educationrefusal speech actstrategiescross-cultureface-threatening actpragmatic failuresrole playfollow-up interviewt-testf-test.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4. 2. 민병곤.
Abstract
본 연구는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거절 화행 사용 양상과 화용적 실패 양상을 조사·분석한 후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상생활 중 요청이나 제안을 받는 상황에서, 거절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해나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모어와 목표어 의 언어 문화적 차이 때문에 화용적 실패를 초래할 가능성이 더욱 높다. 특히 한국인들은 거절할 때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언어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거절 화행 수행 시 어려움을 겪고 의도 치 않은 오해를 살 수도 있다. 그러나 인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거절 화행 전략과 화용적 실패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과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실제 거절 화행 양상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적절한 교수 활동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주요 내용을 장별로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 부분 에서 한국어 거절 화행 관련 연구, 한국어 화용적 실패 관련 연구, 외국어 교 육에서의 거절 화행 관련 연구 그리고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 육 관련 연구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제반 이론들을 다루었는데 우선 화행적 능력과 화용적 실패와 거절 화행의 특성 및 영향 변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거절 화 행은 본질적으로 청자의 체면을 손상하는 특성을 지니므로 체면을 보호하기 위 한 다양한 전략과 기제들이 수반됨을 밝혔다. 또한 기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 어와 다른 언어의 거절 화행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청자의 사회적 지위 및 숙 달도에 따라, 성별에 따라 거절의 내용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거절 전략의 틀은 Beebe et al.(1990)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중심 교수 학습과 역할극 중심 교수 학습으로 거절 화행의 교수 학습 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를 위한 방법을 소개했다. 실험 도구는 6개의 역할극으로, 3개 는 요청상황, 3개는 초대 상황으로 설정했으며, 요청자나 초대자의 사회적 지위 와 숙달도 그리고 성별에 따라 구성했다. 실험 대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KNS) 40명, 인도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IKAL) 10명, 인도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IKIL) 20명, 그리고 인도인 모어 화자(IHS) 20명, 총 9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방법 으로는 역할극과 사후 인터뷰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역할극을 통해서 두 집단의 대화를 녹음하고 전사하였다. 전사된 자 료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도구를 설정했는데 본 연구에서 거절 화행의 양상과 전략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정 및 분산 분석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거절 전략을 파악 하여 직접 거절, 간접 거절 그리고 부가 표현으로 설정했다. Ⅳ장에서는 전사 자료를 거절 화행 전략 사용 및 화용적 실패 양상으로 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거절 화행 전략의 측면에서 집 단별 거절 전략 결합 유형을 살펴본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인도인 고급 한 국어 학습자의 경우, 요청과 제안 상황에서 전반적으로 1차, 2차까지 거절하면 서 사과 표현, 이유 설명, 그리고 미래 약속의 간접 거절 전략을 사용했 다 하지만, 인도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IKIL)와 인도인 힌디어 모어 화자(IHS) 의 경우에는 주로 직접 거절 전략을 사용했다. 이는 인도인 중급 학습자가 한 국인 모어 화자에게 거절할 때, 모국어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숙 달도에 따라 IKAL 집단은 한국에서 1년 이상 생활한 적이 있어서 화행 거절 전략과 한국 사회에 대한 지식이 있기 때문에 한국인 모어 화자에게 거절할 때, IKIL 집단보다 더 적절한 거절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 별에 따른 결과는 양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질적으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화용적 실패의 경우, 전체 분석 대화에서 총 35회의 화용적 실패 상황이 식별되었다. 그 중 IKIL 집단에서 25회의 화용적 실패가 발생했고, IKAL 집단에서 10회의 화용적 실패가 발견되었다. 이 중 IKIL 집단에서 발생 한 화용적 실패 상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면, 화용 언어적 문제의 경우 존대법 의 부적절한 사용에서 나타나는 실패가 13회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관례어 가 7회, 그리고 호칭이 5회 순이었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에서 보완해야 할 점과 활용 방안 을 간략히 논해 보았다. 먼저 거절 화행 전략과 화용적 실패 사용 양상을 분석 하였다. 거절 전략 유형별, 유도 화행, 사회적 지위, 숙달도를 변인으로 하여 한국인 모어 화자,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와 인도인 모어 화자가 각 상황에서 어떤 거절 전략과 화용적 실패를 사용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결과를 정리하 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역할극을 활용한 거절 전략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Ⅵ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의의 및 한 계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거절 화행 전략 및 화용 적 실패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도인 중급 한국어 학습 자를 위한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주요어: 한국어 교육,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 화행 교육, 거절 화행 전략, 화용적 실패, 고맥락, 저맥락, 의사소통, 체면 위협 행위, t-검정 및 분산 분석, 역할극, 사후 인터뷰. * 학번: 2013-31335
This study examines the utilization of Korean refusal strategies and analyzes the challenges faced by India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understanding refusal strategies and choosing appropriate words in formal communication is crucial for language learners to prevent miscommunications and conflicts.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particular, undergo the possibility of pragmatic failure is higher due to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nativ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Notably, native Koreans often express refusal indirectly, presenting challenges for learners with diverse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in performing the Korean refusal speech act. This difficulty may lead to unintended misunderstandings and communication breakdowns.
This research focuses into the exploration of potential pragmatic challenges that may emerge from linguistic and cultural disparities between India and Korea,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Indians endeavoring to acquire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The study involves four participant groups: Korean Native Speakers (KS), Indian Korean Advanced Learners (IKAL), Indian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IKIL), and Indian Hindi Speakers (IHS).
The findings of the study identify a gap in empirical analysis and educational measures specifically tailored for Indian learners regarding refusal speech act strategies and pragmatic failures. In addressing this gap, the study aims to raise awareness of the challenges by examining real instances of rejection speech acts and proposes a comprehensive teaching and learning plan to effectively tackle these issues, thereby enhancing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problems by analyzing learners' actual rejection speech acts and prepare specific and appropriate teaching activities to address them. An overview of the main contents of the paper by chapter is as follows.
Chapter I outlin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For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considering of several key area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refusal speech acts, studies examining pragmatic failures in Korean communication, investigations into refusal speech acts with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ontexts, and research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ailored specifically for Indian learners of Korean.
Chapter Ⅱ deals with various theories necessary for this study. At first, speech act ability, pragmatic failur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variables of refusal speech acts were investigated. Our findings highlighted that refusal speech acts inherently possess the characteristic of potentially damaging the addressee's face, necessitating the use of various strategies to mitigate such effects. Additionally, the differences in rejection speech acts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were examined focusing on existing research,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sensitivity and rejection depending on the social status and proficiency of the listener and gender. Here, based on Beebe et al.'s (1990) theory the framework of refusal strategies was introduced. Finally,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refusal speech acts was discussed through communication-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and role-play-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Chapter III introduce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ool comprised six role-plays, with three set in request situations and three in invitation situations. Each scenario also considered the social status, proficiency level, and gender of the requester or inviter. Ninety participants took part in this study, including 40 Korean Native Speakers (KS), 10 Indian Korean Advanced Learners (IKAL), 20 Indian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IKIL), and 20 Indian Hindi Speakers (IHS).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both role play and post-interviews. The convers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rough role play. An analysis tool was set up to analyze the transcribed data.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program to verify whether the differences in the aspects and strategies of refusal speech a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apter IV,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ranscript data regarding the use of refusal speech act strategies and pragmatic failure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ly, when examining the combination of refusal strategies by group, it was observed that native Korean speakers and advanced Indian Korean learners generally employed an indirect rejection strategy while expressing apologies, providing explanations, and making future promises. In contrast, Indian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predominantly utilized a direct refusal strategy, resembling the approach of Indian Hindi speakers. This suggests that Indian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exhibit native language influences when refusing native Korean speakers.
A total of 35 pragmatic failure situations were identified in the analyzed conversations. Over time, 25 pragmatic failures occurred in the Indian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IKIL) group, and 10 pragmatic failures were found in the Indian Korean Advanced Learners (IKAL) group. A detailed analysis of the pragmatic failure situations in the IKIL group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 failures were attributed to the inappropriate use of honorifics (13 times), followed by issues related to conventional words (7 times) and titles (5 times).
In Chapter V,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here briefly discuss what needs to be improv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to utilize it. First, tried to analyze refusal speech act strategies and patterns of pragmatic failure. By using variables such as types of rejection strategies, induced speech acts, social status, and proficiency, the rejection strategies and pragmatic failures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were analyzed and compared. Moreover, results pertaining to In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Indian native speakers in various situations were summariz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goals and content of refusal speech act education for In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presented. Additionally,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rejection strategies was proposed using different role plays. In Chapter VI, the research contents are summarized,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re describe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specific analysis of refusal speech act strategies and pragmatic failure patterns for In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is analysis, a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Indian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is presen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08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19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