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작가의 수행적 경험과 그 구조에 대한 연구 : The Artist's Performative Experience and Its Structure: Based on the Researcher's Artworks
본 연구자의 작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이용덕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미술학과, 2024. 2. 이용덕.
- Abstract
- 본 논문은 오늘날 창작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수행적 경험과 그 구조에 대한 연구로, 작업이 경험을 이행한 주체의 상태를 전환하는 하나의 실천이 될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체 흔적을 남기는 행위를 통해 스스로의 전환을 유도해 나고자 하는 본 연 구자의 작품을 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사 및 철학적 사례를 바탕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상호관계성을 중시하는 현대의 풍토는 과거의 권위적이었던 작가의 위치에 도전하며 관객의 지위를 신장시켜 나가면서, 작품 또한 작가로부터 만들어져 관객에게 전달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주체들의 호흡으로 완성되는 독립적인 사건으로 변환해 왔다. 하지만 작품 제작 혹은 실행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개입되는 창작자의 경험을 작품의 핵심으로 파악한 본 연구자의 경우, 관객을 전제로 하는 예술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들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자의 작업을 바탕으로 창작자의 관점에서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반추해 봄으로써 예술이 창작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피력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작업이 삶에 대한 실천적 경험으로 작동할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존재의 한계 상황에 대해 확인하고, 이를 벗어나는 방편으로서 예술을 제안한 오토 랑크의 창조적 의지 심리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예술의 치유적인 힘이 이를 이행하는 주체의 상태 변화, 즉 전환에 있음을 이해하고, 예술을 통한 문제 상황에 대한 반복적인 노출을 통해 고통이 극복될 수 있음을 트라우마를 극복한 예술가들의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둘째, 미술사에서 나타난 신체적 경험의 등장 배경과 전개 과정에 대해 확인하였다. 미술사에서 신체와 행위의 출현을 계기로 예술이 표현성으로부터 벗어나게 된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그중에서도 특히 주체의 경험이 작품의 전면에 등장하며 삶과 예술의 경계에 도전하던 1960년대 개념적 신체 미술이 지닌 실천성에 주목하였다. 또한 70년대 이후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신체 미술 및 퍼포먼스 흐름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자의 작업과 관련된 신체적 경험 및 수행에 대한 동시대적인 고찰을 진행할 발판을 마련하였다.
셋째, 예술이 삶의 영역으로 환원하여 미학의 범주를 확장시키는 요인으로서 경험을 이해하고,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의 예술가를 위한 예술과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토대로 경험이 다시금 일상의 영역으로 회귀하여 삶과 예술의 연속성을 회복시키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넷째, 예술적 경험에 내재한 수행적 경험의 성질과 그 구조에 대하여 이를 이행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행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틀을 새로이 제시하고, 기존에 변수의 문제로 간주하였던 수행의 개념을 설정값이 지닌 불확정성의 문제로 치환해 볼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행의 과정에서 마주하는 전환의 역할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 봄으로써 본 연구자의 작업에서 전환이 가진 의미와 전환을 통한 예술의 성찰과 치유, 실천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다섯째, 창작자의 고유한 경험이 신체 흔적으로 작품에 표현되는 방법에 대해 본 연구자의 작업과의 연관성을 고려해 캐스팅 몰드를 활용한 작업 방식과 작가가 직접 수행한 물성적인 퍼포먼스가 갖는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캐스팅 몰드를 활용하여 표피의 흔적을 남긴 사례로는 안토니 곰리와 하이디 부허의 작품들을 분석하였고, 작가 본인이 참여하여 행위의 흔적을 남긴 퍼포먼스 사례로는 이건용과 브루스 나우만의 예를 들어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연구 작품들을 두 절에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 절은 캐스팅 몰드를 사용해 표피의 흔적을 뜬 작품들로 탈각 된 인체 표피를 통해 신체의 물리적 경계에 대해 탐구하거나(6.1.1) 공간의 껍질을 떠내어 흔적으로 남겨진 중첩된 시간을 기억하고자 한 작품들(6.1.2)을 소개하였다. 반면, 두 번째 절에서는 수행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는 퍼포먼스 작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위태로운 상황을 설정하고 수행함으로써 불안정한 삶의 파편에 대한 흔적을 남기거나(6.2.1) 그 과정에서 마주하는 위협적인 고통과 이를 감내하려는 의지 사이의 긴장관계가 담긴 흔적(6.2.2)을 통해 실존의 과정을 구체화 함으로써 행위를 매개로 경험되는 실존의 성질과 이를 경험해 나가는 본 연구자의 태도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논문은 작품 속 신체 흔적을 동반한 수행적 경험과 그 가치에 대한 연구로, 현대미술에서 경험이 차지하는 역할에 대해 환기하고, 예술의 가치를 창작자의 관점에서 확보할 기회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수행적 경험, 수행, 전환, 불확정성, 변수, 설정값, 신체 흔적
학 번 : 2019-3007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otion of performative experience and its structure through contemporary lense of creators. It analyzes the possibility that work can be a practice that transforms the state of the subject who has implemented the experience. The paper focuses on the researchers works to instigate self-transformation through the deliberate act of leaving bodily traces. Diverse examples from art history and philosophy related to performance are drawn upon to support and illustrate these works.
The prevailing cultural emphasis on interrelationships challenges the traditional authority of the author and elevates the audiences status, casting works as independent events resulting from collaborative efforts rather than exclusive authorship. However, for this researcher, who positions the creators experience at the core of the work, fundamental questions arise regarding art presupposing an audience. Consequently, this study is conducted, drawing upon the researchers work, to articulate the impact of art on the creator by reflec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the work from the creators perspective.
Firstly, the investigation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artwork functioning as a practical life experience, delving into Otto Ranks psychology of creative will, identifying existential limitations, and proposing art as a means of transcending them. Acknowledging that the healing power of art lie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performing subject, the paper provides examples of artists overcoming trauma through exposure to problematic situations in their artistic endeavors.
Secondly, the study affirms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trajectory of physical experience in art history, tracing the departure from expressiveness with the emergence of the body and action.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 practicality of conceptual body art in the 1960s, challenging the demarcation between life and art. Additionally, by scrutinizing the continuity of body art and performance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this study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contemporary considerations of physical experiences related to the researcher's work.
Thirdly, experience is construed as a factor integrating art into the realm of life, expanding the category of aesthetics. The paper explores Friedrich Nietzsches art for artists and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experience reintegrates into everyday life, restoring continuity between life and art.
Fourthly, the investigation delves into the intricacies of performative experience within the realm of contemporary artistic creation. The study,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plementing subject, introduces a novel framework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performativity. Departing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performance as a variable-laden challenge, the paper advocates for a conceptual shift, framing it as a problem rooted in the uncertainty of set values. By emphasizing the role of transition experienced in the performative process, the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reflection, curing, and practice in art through transitional phases.
Fifth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searchers work and the expression of the creators unique experience through body tra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method using casting molds and the physical performance by the artist are scrutinized. Works by Antony Gormley and Heidi Bucher that left epidermal traces using casting molds, as well as performances by Lee Kun-yong and Bruce Nauman, are analyzed, building upon previous research.
Lastly, based on the preceding arguments, the researchers works are dissected into two sections for detailed analysis. The first section explores the physical boundaries of the body through peeled human epidermis (6.1.1) or investigates overlapping time left as a trace by excavating the shell of space. The works intended for remembrance are introduced (6.1.2). In the second section, the paper explicates performance works retaining traces of performance. Consequently, by orchestrating and executing precarious situations, the artist leaves traces of the fragments of an unstable life (6.2.1) or the tension between threatening pain in the process and the will to endure it (6.2.2). The paper elucidates the process of existence, describing the nature of existence experienced through action and the researchers attitude toward it.
In conclusion, this paper constitute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experience and value of physical traces in artworks. Its significance lies in drawing attention to the role of experience in contemporary art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value of art from the creators perspective.
Keywords : performative experience, practice, transition, uncertainty, variable, set-value, body trace
Student Number : 2019-30074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