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팩트체크 뉴스의 검증 방식과 판정 결과 일치 여부가 이용자의 판단 변화와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Verification Method and Correspondence of Result of Fact-check News on Users Changes and Level of Confidence in Judg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하연

Advisor
이준환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팩트체크교차 검증판정 결과 일치 여부사실성 판단 변화판단 확신 정도언론사 신뢰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4. 2. 이준환.
Abstract
최근의 미디어 환경에서는 허위 정보나 주장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하나의 통합된 팩트체크 방식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에도, 팩트체킹의 검증 방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차 검증에 초점을 맞추고, 팩트체킹의 검증 및 판정 방식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한다. 교차 검증이 팩트체크 현장에서 적잖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조사한 연구가 상당히 드물다는 점에서 그 이용자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역시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팩트체크 검증 방식(단일 검증 vs 교차 검증)과 판정 결과 일치 여부(일치 vs 불일치)에 따른 이용자의 판단 변화,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를 실증적으로 검토했다. 또한, 언론사에 대한 신뢰도의 조절 효과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단일 검증(신뢰 조건 vs 불신 조건), 판정이 일치하는 경우(신뢰 조합 조건 vs 혼합 조합 조건 vs 불신 조합 조건)와 불일치하는 경우(신뢰 조합 조건 vs 혼합 조합 조건 vs 불신 조합 조건)의 교차 검증을 포함한 총 8개 조건에 피험자 내 설계를 적용한 온라인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단일 검증 상황에서 언론사의 판정과 이용자의 기존 판단이 유사할수록 이용자의 판단 변화는 더 적게 나타났고,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는 더 높았다. 다만, 이 효과는 개별 언론사의 신뢰도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판정이 일치하는 교차 검증 상황에서도, 언론사의 판정과 이용자의 기존 판단이 유사할수록 이용자의 판단 변화는 더 적게,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판정이 일치하는 교차 검증이 단일 검증에 비해 이용자의 판단 변화와 확신 정도에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해석됐다. 교차 검증에 참여하는 언론사의 신뢰도 조합도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교차 검증 상황에서 판정의 일치와 불일치를 비교할 때, 이용자의 판단 변화와 확신 정도의 변화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주목할 점은, 판정이 불일치하는 교차 검증 상황에서 신뢰도가 높은 언론사의 판정과 이용자의 기존 판단이 유사할수록 이용자의 판단 변화는 더 감소하고, 나아가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는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차 검증의 이용자 효과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교차 검증이라는 설계의 실제적인 영향력을 검토했다. 그 과정에서 이용자 효과와 관련한 심리적 기제를 기반으로 한 가설을 설정하고 변인 간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데 집중했다. 이는 검증 및 판정 결과 제공 방식의 측면에서 팩트체크 뉴스의 이용자 효과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적인 논의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misinformation or false claims are repeatedly appearing in the modern media environment. Despite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fact-check method to respond to this issue,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fact-checking verification method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focus on cross-verification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fact-checking verification and judgment methods on the users. Although cross-verification frequently occurs to some degree in fact-checking sites, given that only a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investigated such a matter, the need for a study on the user effect is also raised. Thus,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changes in user judgment and level of confidence in judgment according to the fact-check verification method (single verification vs. cross verification) and the correspondence of judgment result (correspondence vs. discrepancy). Moreover, the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iability of the press. For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with a within-subjects design for a total of 8 conditions, including the cross-verification of single verification (trust vs. distrust), case in which judgment result corresponds (trust combination vs. mixed combination vs. distrust combination) and the case of discrepancy (trust combination vs. mixed combination vs. distrust combin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e single verification setting, there were fewer changes in the user judgment as the press judgment and existing judgment of the users are similar. It had a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judgment. However, this effect was not controlled by the reliability of the individual press. In the setting where the judgment of cross-verification corresponds, as the press judgment and existing judgment of the users are similar, there were fewer changes in the user judgment and a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judgment. However, it is interpreted that cross-verification with corresponding judgment had fewer chances to influence the changes of the user judgment and level of confidence further than single-verification. The reliability combination of the press participating in the cross-verific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Meanwhile, in the cross-verification setting, when comparing the correspondence and discrepancy of the judgment, the changes in user judgment and the level of confid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cross-verification setting where the judgment is discrepant, the changes in the user judgment decrease as the judgment of highly reliable press and the existing judgment of the users are similar. Moreover, the level of confidence in the judgment increases.
This study recognized the necessity to look into the user effect of cross-verification. By having an in-depth examination, the study examined the actual influence of cross-verification design. In the process, the study formulated a hypothesis based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related to user effect. It also focused 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user effect of fact-check news in terms of the method of providing verification and judgment results,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productive discuss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107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29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