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nalysis of the Paradox of The Enhancement of 2018 CESEDA French Immigration Law : 2018년 프랑스 이민법 강화의 역설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재원

Advisor
한정훈
Issue Date
2025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Immigration PolicyLegislative AnalysisAdministrative Efficienc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25. 2. 한정훈.
Abstract
This study critically assesses the 2018 reforms made in the French Code of Entry and Residence of Foreigners and of the Right of Asylum,
more precisely, their effects on immigration management in France. These were, in essence, designed to shore up anti-migration measures
while, ironically, the post-reform inflow of immigrants into the country has shown substantial growth. Fueled by this research evidence, which draws on official data, and accounts of immigration given by the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the paper contrasts the new legal measures with the former provisions, particularly the implementation strengths of their enforcement."

The analysis detects some administrative inefficiencies as responsible for keeping the success of these reforms in a way that led to this shift. This paradox of stricter laws and higher immigration also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wrongly matched policy objectives and administrative
capacity. This matter has to be resolved not only if we want to control the influx of immigrants better but also if we want to keep the
immigration process coherent and effective.

The research puts forward ideas on policy change and structural reform as a way of gap bridging to the administrative regime. The particular
policy that is the focus of the notes has to do with a mind change in policies with a view to better administration thus achieving sound
immigration governance as per the new challenges ahead. The rethinking is more practical in the sense that it provides not only the wrong
directions of the actual trends but also the directions of the security of the governance in the immigration area.
프랑스의 2018년 CESEDA 개혁은 이민 통제를 강화하고자 하는 법적 개정임에도 불구하고, 법적 목표와 실제 실행 간의 현저한 격차를 드러내며 이민자 유입을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하는 역설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CESEDA 법안의 주요 조항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입법 의도와 행정적 적용 과정에서 발생한 실행력 부족
문제를 실증 자료와 함께 검토하고자 하였다.

프랑스의 상원과 국회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나, 각기 다른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었다. 상원은 법적 구조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행정적
개혁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실질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었다. 반면, 국회는 입법 개선과 함께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구조적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이민 시스템의 일관성과 실효성 강화를 위해 양자의 통합적 접근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입법과 행정 간의 괴리로 인해 CESEDA 개혁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역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프랑스의 이민 정책이 단순한 법 개정으로는 한계를 극복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이민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법적 틀의 강화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강력한 행정 시스템이 통합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본 연구는 제시하고자 하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22021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92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