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란인 학습자의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학습 과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cesses of Learning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of Iranian Learners : Grounded Theory Approach
근거이론적 접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민병곤
- Issue Date
- 2025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 ; 이란인 학습자 ; 근거이론 ; 글쓰기 ; 글쓰기 어려움
- 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25. 2. 민병곤.
- Abstract
- Academic writing is essential for higher education learners, but existing studies primarily focus on Chinese learners, leaving gaps in understanding learners experiences from other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addresses these gaps by examining the unique challenges Iranian learners face, mainly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while incorporating the role of technology in the writing process. Using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0, 1998), the research comprehensively analyzes these challenges, the strategies learners use to overcome them, and a robust framework through integrating a conditional matrix and formalized hypothetical boundaries. Using purposive sampling to ensure diverse experiences, the study examined 30 Iranian 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graduate programs at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possess high Korean proficiency (TOPIK levels 5 or 6) and have 3 to 9 years of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rom July 2023 to September 2024, adhering to ethical standards. Employing grounded theory, the coding process identified 61 concepts, which were grouped into 29 subcategories and 13 broader categories. Axial coding analyzed relationships between categories, while selective coding integrated the findings into a cohesive theoretical framework. The analysis was further enriched by incorporating a conditional matrix and formalized hypothetical boundarie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contextual factors and learner strategies.
The findings reveal significant cognitive and affective challenges shaping learners academic writing experiences. Cognitive issues, such as difficulties in organizing arguments, limited exposure to academic genres, and struggles with logical structuring, exacerbate affective challenges like frustration, helplessness, and anxiety, which hinder confidence and performance. Causal conditions, including limited proficiency in academic Korean and in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directly obstruct writing development, while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unfamiliar academic cultures and institutional barriers, indirectly add to these challenges. Technology plays a pivotal role, supporting learners with tools like grammar checkers and introducing risks such as overreliance, misinformation, and shallow learning. These interconnected factors collectively intensify the complexities of academic writing.
Mediating conditions, such as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coping strategies. Personality traits, including motivations and attitudes, affect learners engagement, ranging from proactive to passive, while institutional support varies in specificity, from direct guidance to indirect assistance. These conditions shape the strategies learners adopt, such as independent learning (ranging from proactive self-initiated plans to reactive responses), utilizing external resources (e.g., engaging with the academic community, collaborating with Korean friends, and taking classes at the Writing Education Center), and emotion regulation to manage stress and frustration. These strategies gradually improved learners academic writing skills and formed the foundation for analyzing distinct stages in their writing development.
The process analysis identified four stages in Iranian learners academic writing development, each reflecting unique aspects of their learning journey and specific challenges linked to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In the Initial Confusion Stage, learners faced disorientation due to unfamiliar academic environments, inadequate preparation, and limited exposure to Korean academic norms, with heightened difficulty adapting to new rhetorical expectations. The Frustration and Crisis Stage involved heightened anxiety, cognitive barriers, and overreliance on digital tools, which created dependency as learners struggled to balance technological support with mastering academic conventions. In the Adaptation Stage, learners adopted proactive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techniques driven by persever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to overcome systemic barriers. Finally, the achievement stage was marked by proficiency, confidence, and a growth-oriented mindset, enabling learners to effectively navigate academic writing while leveraging their cultural and educational strengths. These stages were not linear, as learners revisited earlier phases to refine their skills when faced with new challenges.
The developmental stages form the framework of the conditional matrix, categorizing learners challenges and strategies based on contextual severity and engagement levels. This framework provides insights into navigating academic writing complexity and informs targeted interventions. It emphasizes the need for language instructors to integrate traditional and technology-mediated methods alongside institutional reforms like improved writing center access and targeted workshops to support diverse learners effectively.
This study analyzes cognitive and emotional challenges in academic writing by examining the role of technological dependencies, such as access to tools, digital literacy, and overreliance on software, and how these factors interact with Iranian learners difficulties. Bridging traditional language learning frameworks with a technology-driven educational context offer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digital innovations shape learners experiences.
This study introduces a novel approach to analyzing academic writing challenges by integrating conditional matrices and hypothetical boundaries. Addressing the unique challenges Iranian learners face in Korean universities fills critical gaps in existing research.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learner-centered approaches, institutional support, and balanced technological integration to improve academic writing educa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broader discourse on international learners and puts the groundwork for explor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학문 목적 글쓰기는 고등 교육 학습자에게 필수적이지만, 기존 연구는 주로 중국인 학습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다른 언어적 및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에 공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이란인 학습자들이 직면한 독특한 어려움, 특히 언어적 및 문화적 장벽을 조사하고, 글쓰기 과정에서 기술의 역할을 분석에 통합한다. 또한 근거이론(Strauss & Corbin, 1990, 1998)을 사용하여 이러한 어려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제공하며, 이란인 학습자들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과 조건 매트릭스,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 진술의 통합을 통해 구축된 강력한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경험의 수집을 위해 목적 표집을 사용하여 한국 대학원에 재학 중인 30명의 이란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참여자는 높은 한국어 능력(TOPIK 5급 또는 6급)을 보유하고 있으며, 3년에서 9년 사이의 언어 학습 경험을 가진 자들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2023년 7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진행된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였다.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코딩 과정에서 61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29개의 하위 범주와 13개의 더 넓은 범주로 그룹화되었다. 축 코딩을 통해 범주 간 관계를 분석하였고, 선택 코딩을 통해 연구 결과를 일관된 이론적 틀로 통합하였다. 또한 더욱 풍부한 분석을 위해 조건 매트릭스와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 진술을 통합하여 맥락적 요소와 학습자 전략 간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란인 학습자들의 학문 목적 글쓰기 경험을 형성하는 중요한 인지적 및 정서적 어려움을 보여 준다. 주장 조직의 어려움, 학문적 장르에 대한 제한된 노출, 논리적 구조화의 어려움과 같은 인지적 문제는 좌절감, 무력감, 불안과 같은 정서적 어려움을 악화시켜, 결국 자신감을 저하시키고 성과를 방해한다. 학문적 한국어 능력 부족과 충분한 배경지식 부족과 같은 인과적 조건은 글쓰기 발전을 직접적으로 방해하며, 낯선 학문적 문화와 제도적 장벽과 같은 맥락적 조건은 이러한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더한다. 기술은 문법 검사기와 같은 도구로써 학습자들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나친 의존, 잘못된 정보, 피상적인 학습과 같은 위험도 초래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된 요소들은 학문적 글쓰기의 복잡성을 총체적으로 심화시킨다.
중재적 조건인 성격 특성과 제도적 지원은 대응 전략의 효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동기나 태도와 같은 성격 특성은 학습자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적극적 참여에서 수동적 참여까지 다양하다. 한편, 제도적 지원은 구체성에 따라 다르며, 직접적인 지도에서 간접적인 지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조건은 이란인 학습자들이 채택하는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독립적 학습(적극적인 자발적 계획에서 반응적인 대응까지 다양함), 외부 자원 활용(학문 공동체와의 교류, 한국 친구들과의 협력, 글쓰기 교육 센터에서의 수업 수강 등), 그리고 스트레스와 좌절감을 관리하기 위한 감정 조절 등이 있다. 이러한 전략들은 학습자들의 학문 목적 글쓰기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켰으며, 글쓰기 발전의 각 단계를 분석하는 기초를 형성했다.
과정 분석을 통해 이란인 학습자들의 학문 목적 글쓰기 발전에서 네 가지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단계에는 학습 여정에서의 독특한 측면과 언어적 및 문화적 배경에 관련된 특정 도전 과제가 나타났다. 초기 혼란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낯선 학문적 환경, 부족한 준비, 한국 학문 규범에 대한 제한된 노출로 인해 방향을 잃었으며, 새로운 장르적 기대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위기 및 좌절 단계에서는 불안감이 증대되고, 인지적 장애물과 디지털 도구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나타났으며, 학습자들은 기술적 지원과 학문적 규범의 습득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전략적 적응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체계적인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인내심과 자기 조절 기법, 내재적 동기에서 비롯된 적극적인 전략을 채택했다. 마지막으로, 성취 단계는 능력, 자신감, 성장 지향적인 사고방식으로 특징 지어지며, 이란인 학습자들이 학문 목적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탐색하면서 자신의 문화적 및 교육적 강점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단계는 선형적이지 않았으며, 학습자들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때 이전 단계를 다시 거쳐 자신의 기술을 다듬었다.
발달 단계에서는 맥락적 심각도와 참여 수준에 따라 학습자들의 도전 과제와 전략을 분류함으로써, 조건 매트릭스의 틀을 형성하였다. 이 틀은 학문 목적 글쓰기의 복잡성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통찰과 목표 지향적 개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언어 교수들이 전통적인 방법과 기술 매개 방법을 통합하고, 글쓰기 센터 접근성 개선 및 목표 지향적 워크숍과 같은 제도적 개선을 통해 다양한 학습자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학문 목적 글쓰기에서의 인지적 및 정서적 도전 과제를 분석하며, 도구 접근, 디지털 리터러시, 소프트웨어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같은 기술적 의존성이 이란인 학습자들의 어려움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본다. 전통적인 언어 학습 체계와 기술 중심의 교육 환경을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혁신이 학습자들의 경험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조건 매트릭스와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 진술을 통합하여 학문 목적 글쓰기 도전 과제를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또한 한국 대학에서 이란 학습자들이 직면한 독특한 도전 과제를 다루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의 중요한 공백을 채울 수 있다. 연구 결과의 경우, 학습자 중심의 접근 방식, 제도적 지원, 그리고 균형 잡힌 기술 통합이 학문 목적 글쓰기 교육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제 학습자에 대한 더 넓은 담론에 기여하며,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탐구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