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格物致知 개념의 연원
- Authors
- Issue Date
- 2001-12
- Publisher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Citation
- 奎章閣, Vol.24, pp. 119-136
- Abstract
- 『大學』의 格物致知개념은,천여년 동안 거의 주목받지 못하다가, 宋代의 程朱에 의해 불
교와 대비되는 유학적 학문 방법론으로 부각되면서 일약 집중적 관심 대 상이 되었다. 朱子는格을 至로 해석한 程子의 해석을 수용하고 발전시켜 격물치지를,
그 이치를 탐구하기 시작하여 마침내 뭇 사물의 모든 측면 〔表裹精粗〕 과 내 마음의 온전한
원 리 와 광대한 작용〔全體大用〕을 전부 깨닫는 활연관통의 경 지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풀
이했다. 그런데 格物致知補亡章 으로 대표되는 주자의 체계 적이고 세밀한 해석은 그 후 수
많은 학자들의 상이한 해석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것은 중국의 경우든 조선의
경우든 마찬가지였다. 격물치지의 의미에 대해 성리학자들은 물론이요 거의 모든 유학자들이 각인각색의 설을 제시한 셈이다.
- ISSN
- 1975-6283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규장각 (奎章閣) vol.24 (2001)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