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교 과학 우수아의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지구온난화 관련 의사 결정 학습의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for Decision-Making about Global Warming Issu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선영-
dc.contributor.author최승언-
dc.creator최승언-
dc.date.accessioned2013-10-28T01:03:34Z-
dc.date.available2013-10-28T01:03:3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citation영재교육연구 Vol.23 No.4, pp. 567-592-
dc.identifier.issn1598-833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3781-
dc.description.abstract효과적인 SSI 관련 의사결정 학습 방법의 모색을 위하여, 중학교 과학 우수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와 관련한 논쟁 상황을 주제로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을 진행하였다.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의사결정 학습은 ① 교사가 제시하는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주도적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② 협동학습을 통해 찬성과 반대의 주 장과 근거를 공유하며, ③ 마지막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의사결정과정을 정리하는 것을 강조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의사결정 글쓰기를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구온난화 관련 논쟁 상황의 분 석 및 설명을 교사 강의로 진행한 그룹 A, 분석 자료를 정리하여 교사가 제공하고 소그룹 토의 와 프리젠테이션 과정을 진행한 그룹 B를 대조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세 그룹의 수업 후 ① 학생들의 의사결정 선택의 결과, ② 학생들의 의사결정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의 수준, ③ 반성적 사고의 수준, ④ 과학의 본성을 포함한 과학적 정보의 활용 수준을 비교하였 다. 그 결과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이 학생들의 정보에 기반한 의사 결정, 보다 높은 수준의 논증구조, 보다 높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 과학적 정보에 대한 평가 및 해석,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학습의 결과, 학생들은 관련된 과학적 정보에 기반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의미있는 의사결 정에 도달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eaching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Issues(SSI) in science classroom. So we carried out new teaching and learning trial for decision-making about Global Warming issues. Our new trial focused on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in decision-making about SSI. And our participants were science gifted or science high-achieved students in middle school. We analysed students' written decision-making of the last process in our new trial. We can find our instruction made progress in informed decision-making, structure of argumentation, reflective thinking stage, using the scientific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s a result,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in decision-making on SSI leads students to the meaningful decision-making scientifically.-
dc.language.isokoen
dc.publisher한국영재학회en
dc.subject사회과학en
dc.subjectSSI-
dc.subject의사결정-
dc.subject자기주도학습-
dc.subjectSocio-Scientific Issues-
dc.subjectDecision-Making-
dc.subjectSelf-Directed Learning-
dc.title중학교 과학 우수아의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지구온난화 관련 의사 결정 학습의 효과en
dc.title.alternativeThe Effectiven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for
Decision-Making about Global Warming Issues
-
dc.typeArticle-
dc.author.alternativeKo, Sun-young-
dc.author.alternativeChoe, Seung-urn-
dc.identifier.doi10.9722/JGTE.2013.23.4.567-
dc.citation.journaltitle영재교육연구-
dc.description.srndOAIID:oai:osos.snu.ac.kr:snu2013-01/102/0000001728/2-
dc.description.srndSEQ:2-
dc.description.srndPERF_CD:SNU2013-01-
dc.description.srndEVAL_ITEM_CD:102-
dc.description.srndUSER_ID:0000001728-
dc.description.srndADJUST_YN:N-
dc.description.srndEMP_ID:A004819-
dc.description.srndDEPT_CD:721-
dc.description.srndCITE_RATE:0-
dc.description.srndFILENAME:첨부된 내역이 없습니다.-
dc.description.srndDEPT_NM:지구과학교육과-
dc.description.srndEMAIL:suchoe@snu.ac.kr-
dc.description.srndSCOPUS_YN:N-
dc.description.srndCONFIRM:Y-
dc.identifier.srnd2013-01/102/0000001728/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