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언어교육원)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Volume 09 Number 1/2 (1973)
國語 數詞量句의 統辭 機能에 대하여
- Authors
- Issue Date
- 1973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 Citation
- 어학연구, Vol.9 No.1, pp. 46-63
- Abstract
- 國語는, 진작부터 지적되어 온 것처럼 어떤 名詞의 數졸을 표시하는 말이 그 名詞뒤에 놓이는 독특한 構造의 표현방식을 가지고 있다 . 예를 들면,
(1) 여 학생 다섯 이 祝歌를 불렀다.
(2) 나는 장미 일곱 송이를 샀다.
(3) 포도 한 판에 설탕 세 근만 타세요.
등에서 「여학생 다섯」 「장미 일공송이」 「포도 한판」 동의 표현방식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선 일찍이 Ramstedt(l959 : 59)도 눈을 울려, 英語 같으면 five horses, two books라고 할 것을 한국어는 horses five heads, books two volumes와 같은 독특한 표현을 쓴다고 지적한 바 있지만 이 構造는 확실히 한국어의 한 특정척인 構造임에 틀림없다.
- ISSN
- 0254-4474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