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종교 사회의 긴장과 공존: 공적 영역에서의 종교 : Conflict and Co-existence in the Multi-religious Society: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현종

Issue Date
2014
Publisher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Citation
종교와 문화, Vol.26, pp. 73-98
Keywords
정치와 종교공적 영역독립적 근원세속성정교분리Politics and ReligionPublic SphereIndependent SourceSecularityNon-establishment
Abstract
한국 사회는 다종교사회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사회 가운데 하나이다. 2005년 센서스 결과에 의하면 종교를 가진 사람이 53.3%, 갖지 않은 사람이 46.7%로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종교를 가진 사람들 중에서도 불교를 비롯한 전통 종교의 비율이 23.9%, 기독교가 개신교와 가톨릭을 합쳐서 29.3%의 비율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국장과 같은 국가 의식의 종교 의례에는 불교 승려, 가톨릭 신부, 개신교 목사가 함께 참여하며, 군의 군종 장교도 다양한 종교적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다종교 사회의 상황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경우 문화에 다양성을 제공하여, 새로운 창조적 문화를 창조할 수 있지만, 부정적으로 작용할 경우 사회통합ㅂ에 현저한 장해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 사례는 최근 공직자 종교 차별에 관한 일련의 법규 및 제도화 과정에서 불거진 바 있으며, 특히 이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불교와 보수적 개신교의 대립은 현재 종교평화법과 소위종자연 사태로 이어져 왔다. 종교의 사회적 역할은 사회적 변화와 함께 달라진다. 보우마(G. D. Bouma)와 링(R. Ling)은 산업사회와 소비사회를 구분하면서, 이에 따른 종교의 역할, 혹은 종교의 다양성의 영향을 분석한다. 이에 의하면, 산업 사회에서 종교는 전통적으로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화의 동기를 제공해 왔다. 일찍이 뒤르껭(E. Durkheim)은 산업 사회에서 종교적 다양성은 사회적 응집력을 손상시키고, 사회적으로 통합적인 의미를 제공하는 종교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즉, 산업사회에서 종교적 다양성은 신앙과 사회적 유대감에 부정적 영향을 낳을 수 있고, 다양한 종교의 궁극적 가치에 대한 경쟁과 논쟁은 삶을 지배하고 사회적 유대를 제공하는 종교의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소비사회에서의 종교는, 사사화(privatzation)되면서 산업사회와는 다르게 작용한다. 보우마와 링에 의하면 사회적 제도들이 종교적 다양성에 의해 영향 받는 정도는 1) 제도가 세속화된 정도, 2)종교의 강제/의무성의 문제, 3) 사회적 기대 및 인정된 가치와의 충돌 등에 의존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종교적 다양성이 긍정적 측면에서 오히려 다양한 문화를 통합하고, 다양한 세계를 경험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즉, 산업 사회와 달리 소비 사회에서는 종교적 다양성이 반드시 부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osition of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religion in modern society. First, I examined the different views of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between Robert Audi and Nicholas Wolterstoff. In this controversy, Audi takes a more liberal position to limit the role of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Wolterstoff takes a more religious-oriented position to embrace religious diversity. Next, I examined the relation types between state and religion according to Monika Wohlrab-Sahr and Marian Burchardt. These types are: 1) a type for individual liberty (USA), 2) a type for balancing/pacifying religious diversity (The Netherlands), 3) a type for social/nation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France and Turkey) and 4) a type for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functional domains. After I looked into exemplary nations of the each type, I additionally examined the cases of Indonesia and Singapore which have legislation which limit missionary work. Both Nations can be categorized as a mixed type of the second and third types, Among these types, the first type is closer to Audis position, whereas the second one is closer to Wolterstoff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s about religion in many countries in the 20th century were closer to Audi's position than to Wolterstoffs. because they have limited or excluded as much as possible the role of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or have pursued the wait and see model. However, in the consumer society according to Bouma and Ling. religion can be rather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diverse identity and cultural integration. This importance can be identified as change in the Netherlands with the rise of Islam, and a weakening of secularism in Turkey. J. Habermas, a famous German sociologist, also has changed his position regarding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from a more liberal position to a more religious one, To accomplish a pluralistic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attitude is needed that ones own faith including secular rationality is not absolute and that one is willing to listen to the other great religious traditions.
ISSN
1976-7900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3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