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 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Critical Essay Writing for Reflective Think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지혜

Advisor
김종철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평적 에세이성찰적 사고자기이해대상 이해대상 해석대상 적용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3. 8. 김종철.
Abstract
본 연구는 성찰적 사고의 개념과 기제를 밝히고,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critical essay)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평적 에세이는 대상에 대한 주관적 이해와 평가를 근거와 함께 서술하되, 자기의 경험과 사고를 중심에 둔 글쓰기이다. 이러한 비평적 에세이의 쓰기의 장르적 특성은 대상을 통한 자기이해라는 성찰적 사고의 본질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본고는 학습자가 자신의 비평적 에세이 쓰기를 통해 성찰적 사고를 어떻게 수행해 나가는가를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성찰적 사고란 주체가 대상 및 대상과의 관계를 가치에 비추어 이해하고 해석하는 의미 구성 과정을 통해 자기이해에 이르는 사고로 정의된다. 특히 내면적 돌아보기로서의 반성(反省)과 달리, 성찰적 사고는 대상 이해를 통해 새로운 자기이해를 실현함으로써 그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비평적 에세이는 대상에 대한 반응을 진솔하게 표현하되,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글의 설득력과 타당성을 획득하며, 이것이 자기화로 이어지는 글이라는 점에서 성찰적 사고 수행에 적합한 글쓰기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 쓰기는 대상 이해가 자기이해로 이어지는 세 단계의 과정을 거쳐 수행된다. 하나는 주체가 초점화하여 대상을 인식하며 대상의 의미를 파악하는 지향적 인식에 따른 대상 이해 단계이고, 다른 하나는 물음과 응답의 대화를 통해 대상 이해를 자신에게 적극적으로 견인해오는 대화적 관계 중심의 대상 해석 단계이며, 대상과 자신의 지평이 어떤 구조로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고민하고 자신에게 의미하는 바를 결정하는 의미 구조 형성을 통한 대상 적용 단계이다. 단, 대상 이해와 대상 해석과 대상 적용은 그 단계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총체적으로 수행되어 성찰적 사고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찰적 사고가 경험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사고라는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비평적 에세이를 수집하여 학습자들이 구체적으로 자신이 직면한 생활 세계 속에서 성찰적 사고를 수행해가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이해의 경우 인식 초점에 따라 그 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가치를 중심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지향점을 마련한 학습자도 있었으나 맥락이나 요소 중심의 표면적 인식에 머문 학습자도 있었다. 대상 해석의 경우 대상과 주체의 관계 구도에 따라 그 양상을 살펴본 결과, 상호주도적 관계를 통해 대상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나름대로 이를 설명하려는 노력을 통해 적절하게 대상 이해를 자기이해로 견인해 오기도 하였으나 자기 우위적 응답에 머물거나 대상을 모방적으로 수용하는 데 그친 학습자도 있었다. 대상 적용의 경우 개별 경험들 간의 의미 구성 논리에 따라 그 양상을 분석한 결과, 연역적 구조, 유추적 구조, 귀납적 구조 등의 다양한 논리 구조를 통해 자기와 연결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한 학습자도 있었으나, 구조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의미를 재인하는 수준에 머문 학습자도 있었다.
이러한 실제 학습자의 수행 자료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검토하여 지향적 가치로서의 대상 이해, 주체적 물음을 통한 대상 해석, 새로운 자기이해를 위한 대상 적용으로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고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 쓰기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학습자가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를 쓰기 위해 필요한 경험적 지식을 각 기제별로 제시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주체적 대상 인식을 통해 주제를 구성하기 위해 동질성에 근거한 인식 범주 모색, 거리두기를 통한 가치의 형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소통적 관계를 고려해 해석의 설득력을 확보하기 위해 물음-응답을 통한 관계의 재구성, 관계 설정에 내재된 전제 파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경험의 통합을 통해 주체적으로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경험 간 상호 조회를 통한 의미역의 확장, 동료 협의를 통한 입체적 시각 확보를 제안하였다.
성찰적 사고의 개념을 마련하고 이를 작문 교육의 내용으로 설정하려는 이 연구는, 실제 학습자의 성장과 관련되는 본질적 문제를 탐구하였다는 점과 비평적 에세이 쓰기라는 학습자의 수행 과정 속에서 성찰적 사고의 형성을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동으로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성찰적 사고가 쓰기뿐만 아니라 삶의 제 국면에 전이되어 학습자의 깊이 있는 이해와 가치 있는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mechanism of reflective thinking and ways to utilize a critical essay writing as an instrument in promoting reflective thinking. A critical essay is a writing described as having a subjective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of object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and analys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critical essay writing is a close connection on realizations of ones reflective thinking in which its is a result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objects. This study is focus on how one establishes reflective thinking through critical essay writing.
Reflective thinking is a process of formatting ones thoughts through self-understanding,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of a relation between self and objects based on ones own value. The critical essay writing expresses ones honest reaction to experiences or situations and reaches to its own conclusion through self-persuasion and validation. So the critical essay writing is an appropriate method in reflective thinking. Its used based on object comprehension by ones cognitive thinking. It is performed object-comprehension by intentional cognition, object-interpretation by conversational relation, object-application by meaning structure formatting setting of relationship, and meaning construction.
Considering that reflective thinking is the thinking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that learners perform in their everyday life by collecting the critical essay of learners. This study finds that reflective thinking is formed when the learners are looking for the normative orientation, search for the source of the behavior of characters or try to reconstitute them. Students can perceive values resolve around objects in object-cognition to have an intention point to themselves, but cognitive thinking only constituents or forms context on the surface level. Secondly, they can set a communicating relationship to draw subject understanding upon themselves, but are a merely self-centered answer or derivatively accepting object. Thirdly, they can compose salutatory meaning with deduction, induction and examples, but are merely recognition of contents of the text instead of making full use of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ypes of these reflective thinking, this study designs the educational plan for learners to form the reflective thinking by writing critical essay in the writing education. To do this, first, this study searches the priority and process through the principal of consultation writing's instruction. Also, it suggests the empirical knowledge being needed to form the reflective thinking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 process and the ways to apply it.
This study arranges the concepts of reflective thinking and sets it up as the content of writing educ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ssential problem involved in the growth of learners and the formation of reflective thinking is arranged as the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in the learners' performance when they write critical essay writing. Furthermore, it has its meanings because the reflective thinking through this process is shifted into the aspects of real life. So it promotes the growth and thoughtful understanding and valuable growth.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8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