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국 행정법상 '실질적 증거 심사'(substantial evidence test)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bstantial evidence test in the U.S. administrative law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정훈-
dc.contributor.author추효진-
dc.date.accessioned2017-07-19T03:31:01Z-
dc.date.available2017-07-19T03:31:01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950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58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행정법 전공, 2013. 2. 박정훈.-
dc.description.abstract행정소송에서 행정청의 행위에 대해 어떠한 기준을 들이대어 그것의 위법성 여부를 판단할 것인지의 문제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사법심사기준의 문제는 우리 행정소송의 큰 과제중 하나인 본안판단의 부담 문제와 직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근원적으로는 입법-행정-사법간의 권력분립의 문제와 그 맥이 닿아 있다. 또한 이는 공법과 사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존재한다면 소송 과정에서 이러한 차이점이 어떠한 방식으로 현출되어야 하는지의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다시 행정소송의 장기화라는 당면 과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행정법은 미국 행정절차법 제706조와 같은 행정소송 특유의 심사기준에 대한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며, 실무적으로는 법원이 모든 증거를 판단하고 법원의 판단으로 행정청의 판단을 대체하는 소위 전면적 재심사를 그 기본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행정소송이 급증하고 법관은 부족한 작금의 현실에서, 본안판단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많은 행정사건들이 본안에 들어가 보지도 못하고 각하되고 있는 것이 우리의 아픈 현실이다. 또한 행정청 역시 이러한 연유로 우리 행정절차법의 입법취지에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인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는 등 미흡한 관행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행정의 충분한 권한과 그에 따른 책임이라는 이상이 잘 구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선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리와는 또 다른 행정법적 문화를 지닌 타국의 법과 제도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시사점을 얻어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 행정법에서의 사법심사 방법의 하나인 실질적 증거 심사(substantial evidence test)를 미국 행정소송에서의 심사방식과 그 근저에 깔린 행정청에 대한 존중의 정신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실질적 증거 심사가 미국 행정법 내에서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고찰하도록 하겠다.
괴테는 외국어를 배움으로써 비로소 모국어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 바 있다. 괴테의 말이 함의하는 바와 같이,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우리 행정소송에서의 심사방식과는 상이한 미국의 심사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심사기준들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행정법에서의 현행의 심사기준은 어떠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지 더욱 명료하게 이해하고 나아가 관련 문제를 파악하며 이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실질적 증거 심사, 상소심 심사모델, 행정에 대한 존중, 사법심사기준, 심사강도, 행정절차법, 미국 행정법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연구의 목적 1
연구의 범위 3

제1장 실질적 증거 심사의 의의 및 발전과정 5
제1절 행정소송의 심사방식 일반 6
제2절 미국 행정소송의 상소심 모델 8
Ⅰ. 도입 배경 9
1. 정치적ㆍ사회적 배경 9
2. 사법부의 업무 과중 10
Ⅱ. 도입 과정 및 내용 12
1. 도입과정 12
(1) 헵번법의 입법과 이를 둘러싼 의회의 논란 13
(2) 헵번법 입법 이후의 법원의 변화와 상소심 심사모델의 탄생 14
2. 상소심 모델의 내용 16
Ⅲ. 상소심 심사모델 도입의 효과 18
제3절 실질적 증거 심사의 제도적 전제 : 미국 행정절차의 특수성 20
Ⅰ. 역사적ㆍ문화적 배경 21
1. 법의 지배와 사법국가의 전통 21
2. 적법절차의 원칙 23
Ⅱ. 행정절차에서의 사법절차 준용 25
1. 행정법판사 25
2. 재판유사의 청문절차 27
3. 불복과 행정청의 결정 28
제4절 미국 행정절차법 제706조와 심사기준 29
Ⅰ. 미국 행정절차법 제706조의 내용과 의미 30
Ⅱ. 미국 행정법에서의 심사기준 32
1. 자의․전단 심사 33
2. 실질적 증거 심사 34
3. 명백한 오류 심사 35
4. 전면적 재심사 35

제2장 실질적 증거 심사의 적용 대상과 범위 37
제1절 사실문제와 법률문제 38
Ⅰ. 사실문제와 법률문제 구별의 모호성 38
Ⅱ. 법률문제와 사실문제 구분의 탄력성 : 심사강도 문제로의 치환 40
1. 대표적인 사례 : Federal Trade Commission v. Gratz 판결 41
2. 영향 42
Ⅲ. 판단의 우월성에 대한 기준 설정의 부적절성 44
제2절 법률문제 심사에서의 실질적 증거 45
Ⅰ. 실질적 증거 심사의 적용 대상에 대한 전통적 견해 46
Ⅱ. 전통적 심사기준에 대한 수정이론 48
1. 엄격심사원칙 49
(1) 기존의 자의․전단 심사 49
(2) Overton Park 판결과 엄격심사의 도입 50
(3) 평가 : 자의․전단 심사의 실질적 증거 심사로의 접근 52
2. 셰브론 존중원칙 53
(1) 행정청의 법률해석에 대한 기존의 견해와 문제점 54
(2) 셰브론 존중원칙의 내용 58
(3) 평가 60
Ⅲ. 소결 61

제3장 실질적 증거 심사 제도의 영향 62
제1절 행정청의 전문성 및 신중성 제고 62
Ⅰ. 행정청의 기록작성 의무의 강화 63
1. Universal Camera Corp. v. NLRB 판결 64
(1) Universal Camera 판결 이전의 상황 64
(2) Universal Camera 판결과 전체 기록에 근거한 판단의 의미 66
2. Citizens to Pres. Overton Park v. Volpe 판결 68
Ⅱ. 행정청의 이유제시 의무의 강화 71
1. Palavra v.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Service 판결 72
2. 유사 판결들과 법원의 입장 74
제2절 법원 업무부담 경감과 적정 심사강도의 확보 76
Ⅰ. 법원의 업무부담 경감 78
Ⅱ. 행정에 대한 유의미한 통제수단으로서 적정 심사강도 확보 80
1. 심사범위의 확대 80
2. 합리성 심사의 심사강도 82

제4장 한국 행정법에의 시사점 86
제1절 행정구제 기간 장기화 문제에의 시사점 86
1. 한국에서의 행정구제의 장기화 문제 87
(1) 행정결정과 행정심판 혹은 행정소송 간의 복심제적 구조 87
(2) 행정소송에서의 원처분주의와 행정심판의 무용화 88
(3) 행정소송에서의 3심제의 도입 89
2. 실질적 증거 심사와 상소심 심사모델의 시사점 90
제2절 본안판단의 부담 문제에의 시사점 92
1. 한국에서의 본안판단의 부담 문제 92
2. 실질적 증거 심사와 상소심 심사모델의 시사점 94
제3절 현행 행정절차에의 시사점 95
1. 우리나라의 행정절차와 문제점 96
2. 실질적 증거 심사와 미국 행정절차법의 시사점 97

제5장 요약 및 결론 99
제1절 요약 99
제2절 결론 101

참고문헌 10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902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실질적 증거 심사-
dc.subject상소심 심사모델-
dc.subject행정에 대한 존중-
dc.subject사법심사 기준-
dc.subject심사강도-
dc.subject행정절차법-
dc.subject미국 행정법-
dc.subject.ddc340-
dc.title미국 행정법상 '실질적 증거 심사'(substantial evidence test)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ubstantial evidence test in the U.S. administrative law-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o, Hyo J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i, 110-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