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고구술법을 통한 번역과정 연구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Think-Aloud Protocol (TAP)-Based Study of Chinese-into-Korean Translation Proce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길류

Advisor
민현식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8. 8. 민현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중-한 번 역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사례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번역과정 을 관찰하고 번역과정에 나타난 학습자의 양상과 그들의 번역물을 대조·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번역과정에 흔히 겪은 문제점과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번역능력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외국어교육에서 번역교 육의 위상을 논하고 학부 번역교육의 목표를 다시 설정하였다. 그 다음에는 전문 번역가의 번역과정과 번역능력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 고 인지적 번역과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델을 바탕으로 학부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 연구는 총 9주에 걸쳐 6명의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 로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번역과정 양상을 자세히 살피기 위해 본고 에서는 사전설문지 조사, 사고구술실험, 회상보고, 사후인터뷰의 활 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진행하면서 귀납적으로 추출한 학습자 의 번역과정 양상 논의의 결과, 과정 중심 번역교육과 학습자 중심 번역교육의 필요함이 드러난다. 결과 중심 번역교육의 한계에 벗어 나고 번역을 수행하는 주체인 학습자에 집중하여 학습자의 번역능력 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하여야 한다. 연구 참여자의 번역과정에 대한 관찰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와의 사후인터뷰에서 밝혔듯이 중-한 번역에 대한 두려움으로 학습자는 중-한 번역 수업에 대한 기대치가 크지만, 기존의 번역교육은 그들의 학습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 것이었다. 이는 전통적인 교사 중심 번역교육과 결과 중심 번역교육의 문제점으로부터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교사 중심 과 결과 중심의 번역교육에 탈피하여 학습자 중심 및 과정 중심의 번역교육으로 교수·학습법을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연구 참 여자들이 모두 중국어 모어 화자로 높은 중국어 이해능력과 고급 한 국어 학습자로 우수한 한국어 표현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번역을 진 행할 때 학습자 머릿속에 있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문화 지식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연계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양상이 나타 났다. 따라서 중-한 번역 교육을 진행할 때 한국어 언어문화 지식이 아닌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문화 대조 지식을 가르쳐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이 번역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어느 정도 갖추었지만 이는 역시 부족하고 번역 실천으로 적용하는 능력이 부족했다.

따라서 번 역 교육에서 번역 이론의 학습과 번역 실천을 병행할 수 있는 활동 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 Ⅲ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중국 내 한국어 대학 한국어학과의 중-한 번역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을 마련하였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5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