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rocessing Changes in Three Levels of Mental Representations of Korean EFL Readers during Repeated Reading and Narrow Reading of L2 Narrative Texts : 한국인 EFL 학습자가 제2언어 이야기체 글에 대해 반복읽기와 좁혀읽기를 하는 동안 형성하는 세 층위의 정신 표상에 대한 처리과정 변화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류지수

Advisor
이병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2020. 2. 이병민.
Abstract
담화 이해의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 이론적 모델(van Dijk & Kintsch, 1983)에 따르면, 글을 읽고 이해할 때 세 층위의 정신 표상 (표면 형태, 텍스트 모형, 상황 모형)에 대해 처리하게 된다. 표면 형태에 대한 표상에서는 텍스트에서 명시적으로 사용된 단어나 통사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텍스트 모형 수준에서는 아이디어 단위, 즉 명제들을 논리 정연한 방식으로 묶는다. 상황 모형 수준에서는 독자가 텍스트 모형 표상에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을 통합시켜서 텍스트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을 머릿속으로 그릴 수 있게 된다.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인 이해란 일관성 있는 상황 모형을 형성하는 것이다(Johnson-Laird, 1983; Kintsch, 1988). 모국어 독자들이 상황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자동적인 과정이라는 것이 수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하지만 제2언어 능숙도가 높지 않은 많은 제2언어 독자들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Choi, 2017; Takaki, 2010, 2011). 글을 읽는 주된 목적이 성공적으로 이해를 하기 위한 것이며(Raskinski, 2006) 이는 상황 모형 처리의 결과임을 고려해볼 때, 능숙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독자에 대해 상황 모형 처리를 촉진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많은 연구자들에 따르면, 성공적인 이해를 막는 주요한 장애물은 하위층위 과정을 처리하는 낮은 효율이다(Laberge & Samuels, 1974). 즉, 하위층위 과정을 처리하는 데 많은 자원이 소실되어 상위층위 처리과정을 위한 자원이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해와 연관되는 상위층위 처리과정으로 자원이 분배되기 위해서는 하위층위 처리과정의 자동화가 요구된다. 이는 글을 반복적으로 읽음으로 가능하다고 알려져 왔다(Laberge & Samuels, 1974; Rasinski & Samuels, 2011; Samuels, 1979, 1997).
반복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반복 읽기와 좁혀 읽기 연구로 진행되어져 왔다. 반복 읽기는 모국어와 제2언어 상황 모두에서 이뤄졌으며 같은 텍스트를 여러 번 읽는 것으로 정의되고, 좁혀 읽기는 주로 제2언어 상황에서 연구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언어적인 변화가 있는 특정 주제에 대한 유사한 글을 연속적으로 읽는 것으로 정의된다. 두 종류의 반복(RR에서의 완전한 반복과 NR에서의 부분적 반복 모두)이 독해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 보고가 되어 왔다(e.g., Chang & Millett, 2013; Gorsuch & Taguchi, 2008; Gorsuch & Taguchi, 2010 for RR; Cho, Ahn, & Krashen, 2005; Kang, 2015; Kim, 2015 for NR).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읽기에서 수반되는 다양한 과정에 대한 확고한 이해가 없이, 즉 견고한 이론적 틀이 없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주로 단락 읽기 시간이나 오프라인으로 일반적인 이해를 측정하는 문제들과 같은 척도들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측정 방식들은 RR과 NR를 통해 읽기의 다양한 과정들이 어떻게 잠재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에는 정교하지 않다. RR과 NR이 다양한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욱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전체 단락 읽기 시간의 변화가 아닌, 세 층위의 처리과정 각각에 대한 처리과정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읽기 과정을 세 층위로 구분한 것은 담화 이론을 설명하는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적 모델(van Dijk & Kintsch, 1983)에 따른 것이다.
각 층위의 표상에 대한 처리 과정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방법론적 틀로써 자원 할당 접근법(resource allocation approach)을 채택하였다(Graesser & Riha, 1984; Haberlandt & Graesser, 1985). 이 접근법의 주요 가정은 다양한 읽기 과정 각각은 시간을 요구하며, 읽은 시간은 다양한 읽기 처리 과정의 인지 부하 정도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자들은 세 층위의 처리과정에 핵심적인 여러 변인들을 선정하고 추출된 문장 읽기 시간에 대해 이러한 변인들을 예측 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가 이러한 처리 과정 각각에 대해 투자한 자원의 양을 알 수 있었다.
앞서 기술된 연구 부족에 기반하여, 현재 연구에서는 RR과 NR사이의 표면 형태, 텍스트 모형, 상황 모형에 대한 처리과정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읽기란 세 층위의 처리를 수반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는 van Dijk와 Kintsch(1983)의 담화 이해 모형을 이론적 틀로, 자원 할당 접근법을 방법론적 틀로 사용하였다.
총 91명의 영어를 외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인 중/상급 독자들은 반복 읽기와 좁혀 읽기 조건에 무작위로 배정되었고, 네 개의 세션을 완수하였다. 각 세션은 세 개의 글을 연달아 읽고 그에 해당하는 서면 회상 검사(recall)를 수반한다. 자원 할당 분석방법(resource allocation approach)을 사용하여 독자의 문장 읽기 시간들을 15개의 텍스트 지수를 이용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이 텍스트 지수들은 각각 표면 형태(surface form), 텍스트 모형(textbase), 혹은 상황모형을 반영하고 있다. 각 읽기마다, 그리고 각 개인마다 수집된 표준화된 회귀계수들에 대해 삼원배치 혼합 분산분석 혹은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읽기 조건(반복읽기, 좁혀읽기), 횟수(1, 2, 3)와 능숙도(중급, 상급)에 따라 세 층위의 정신적 표상에 대하여 처리과정의 변화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면 형태 처리의 경우, 전반적인 자원 할당은 숙련도에 크게 관련이 없었다. 또한, 반복읽기 조건에서 독자들은 매번 반복할 때마다 투자하는 자원의 양이 상당히 감소하였는데 반하여, 좁혀 읽기 조건의 독자들은 처음 읽었을 때에 비하여 두 번째 읽었을 때는 상당히 감소하였지만 세 번째 읽을 때는 두 번째와 유사한 정도의 많은 자원을 할당하였다. 텍스트 모형 처리의 경우, 전반적 자원 할당이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복 읽기 조건의 독자들은 세 번에 걸쳐 읽는 동안 낮은 수준의 자원을 지속적으로 할당하였다. 반면, 좁혀 읽기 조건의 독자는 처음 읽을 때에 비하여 두 번째 읽을 때 두 배 이상의 자원을 할당하였고, 세 번째 읽을 때는 상당한 양이 감소하였다.
상황 모형에 대한 자원 할당을 살펴보면 처음과 두 번째 읽었을 때 중급자에 비해 상급자가 훨씬 더 많은 양을 할당하지만 세 번째의 경우엔 큰 차이가 없었다. 좁혀 읽기 조건의 독자는 세 번의 읽기 동안 많은 자원을 지속적으로 할당하나, 반복 읽기에서는 상황 모형 처리를 훨씬 덜 하였다. 이렇게 반복 읽기 조건에 비하여 좁혀 읽기 조건에서 훨씬 더 많은 자원을 상황 모형을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양상은 중상급 독자 모두에게 나타났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점은, 상급자의 경우에는 두 반복 조건 간 유의한 차이 없이 많은 양의 자원을 상황 모형 처리를 하는 데 사용한 반면, 중급자의 경우에는 반복 읽기 조건에서는 상황 모형 처리를 거의 하지 않으나 좁혀 읽기 조건에서 훨씬 더 많은 양의 자원을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제2언어 읽기에 대한 몇 가지 이론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반복하여 읽는 것은 독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제2언어 교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반복읽기를 통해 하위층위 과정들에 대한 처리 과정이 빨라지고 그에 따른 자동화로 이어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중상급 독자 모두에게 발견되지만 반복읽기를 통한 상황 모형처리로의 자원 재분배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상급 독자들에게만 국한된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기존 연구 토대를 확장하고 있다. 하위층위와 상위층위 처리 기술의 균형 잡힌 발달을 위해서는, 독자들은, 특히 능숙도가 낮은 경우, 좁혀 읽기 조건에서와 같이 어느 정도 언어적인 변화를 포함하는 유사한 글을 연달아 읽음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현재 연구에서 반복으로 인하여 얻어지는 효과들을 설명하기 위해 널리 언급되는 두 이론적 모델(i.e., 자동화이론[Laberge & Samuels, 1974]과 상황-종속적 표상 모델[Raney, 2003])에 대하여 재고해보아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Reading comprehension involves processing three levels of mental representations: surface form, textbase and situation model, according to a widely accepted model of discourse comprehension (van Dijk & Kintsch, 1983). Surface form representations include individual words and syntactic structures which were explicitly used in the text. At the textbase representations, readers group idea units (or propositions), which can be derivable from the text, in a coherent manner. At the situation model representations, readers incorporate their prior knowledge with the textbase representations, thereby drawing a mental image of what the text is
about.
Research has shown that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is to form a coherent situation model (Johnson-Laird, 1983; Kintsch, 1988) and that situation model construction is a normal, automatic process in L1 readers (Gernsbacher, 1990) whereas many L2 readers without relatively high L2 proficiency may have difficulty in monitoring situational changes (Choi, 2017; Takaki, 2010, 2011). As the major purpose of reading is successful comprehension (Rasinski, 2006) which is the product of situation model processing,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promote situation model processing for less proficient readers.
Research suggests that the major bottleneck of successful comprehension is low efficiency in lower-level processes (Laberge & Samuels, 1974). That is, resources are used up for lower level processes and few resources are available for higher-level processes. Accordingly, automatizing of the lower level processes is essential for freeing resources to be shifted for higher-level processes (related to comprehension); this has been purported to be achievable through repetition of a passage (Laberge & Samuels, 1974; Rasinski & Samuels, 2011; Samuels, 1979).
A number of studies in repetition have been conducted in the form of Repeated Reading (RR; in both L1 and L2; defined as reading the same text more than once) and Narrow Reading (NR; primarily in L2 contexts; reading a series of similar texts on a certain topic with some linguistic variation). Positive effects of both types of repetition (both full repetition as in RR and partial repetition as in NR) have been reported (e.g., Chang & Millett, 2013; Gorsuch & Taguchi, 2008; Gorsuch & Taguchi, 2010 for RR; Cho, Ahn, & Krashen, 2005; Kang, 2015; Kim, 2015 for NR). However, previous studies were primarily conducted without a firm understanding of what kinds of processes are involved in reading (i.e., lack of a sound theoretical framework). These studies mainly employed crude measures for comprehension such as passage reading time and/or off-line general
comprehension questions, which may not be sensitive enough to explore how different reading processes are affected by RR and NR in a potentially different manner. A possibly more systematic examination of effects of RR versus NR on different reading processes would involve looking into processing changes in each of the three levels of processing (i.e. surface form, textbase and situation model) separately, instead of changes in overall reading time; this three-level separation of reading processes is predicated upon the most widely accepted theoretical model of discourse comprehension (van Dijk & Kintsch, 1983).
To examine processing changes in each level of representations, the resource allocation approach was used a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e.g., Graesser & Riha, 1984; Haberlandt & Graesser, 1985). One of the primary assumptions is that each of the various reading processes requires time and reading time can reflect the cognitive load of the reading processes. Researchers using this approach regressed sentence reading times onto several variables important for surface form, textbase and situation model processing. In this way, they could extract readers differential resource allocation (as reflected in reading time allocation) to each of these processes while statistically controlling the remaining variables.
Driven by the aforementioned research gaps, the current study compared processing changes between RR and NR in terms of the surface form, textbase and situation model, by drawing upon van Dijk and Kintschs (1983) discourse comprehension model—which assumes that reading involves three levels of processing—for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resource allocation approach for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A total of 91 Korean EFL reader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proficiency levels were randomly distributed either to the NR or RR condition. They completed four sessions, each session involving reading three texts along with respective written recalls on each reading. Using the resource allocation approach, their sentence reading times were regressed on 15 textual indices, each reflecting either surface form, textbase, or situation model processing. The collected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entered into a series of three-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or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o examine processing changes in three levels of representations as a function of reading condition (RR, NR), trial (1, 2, 3) and proficiency (intermediate, advanc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resource allocation to surface form processing was not considerably different between proficiency levels. Also, in the RR condition, the readers allocated a decreasing amount of resources with each repetition whereas those in the NR condition reduced resources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trial but devoted as many resources on the third reading as on the second reading. As for textbase processing, overall resource alloc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roficiency levels. Those in the RR condition consistently allocated low levels of resources to textbase processing over the three readings while those in the NR condition more than doubled resource allocation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reading, followed by a substantial reduction on the third.
Resource allocation to situation model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advanced than intermediate readers on the first and second readings but not on the third. While those in the NR condition allocated many resources over the three trials, those in the RR condition had a considerable reduction in resource allocation to situation model processing over the trials. The trend of greater resources allocated in the NR than the RR condition was shared by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readers. However also note that intermediate readers allocated
significantly greater amount of resources in the NR condition whereas they hardly allocated resources to the RR condition, while advanced readers allocated high levels of resources to situation model processing both in the NR and RR conditions.
The current dissertation projects several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L2 reading. Repetition is a widely used technique in L2 classrooms to foster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extends the existing research base by showing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Repeated Reading on resource redistribution to situation model processing are exclusively limited to advanced readers while its positive effects on faster processing and its consequential automatization of lower-level processes are observed for both groups of reader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lower-level and higher-level skills, readers, particularly of lower proficiency levels, may benefit from reading a series of similar texts with slight linguistic variation (as in the NR con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two theoretical models (i.e., the Automaticity Theory [Laberge & Samuels, 1974] and the context-dependent representation model [Raney, 2003]) commonly invoked for explaining the repetition effects be revisited.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54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6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