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s of AI Chatbot-Based Instruction on the Learning of English Adjectival Transitive Resultative Construction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한국인 고등학생의 영어 형용사 타동결과구문 학습에서의 인공지능 챗봇 기반 교수의 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낙훈

Advisor
김기택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nglish transitive resultative construction, AI chatbot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corrective feedback,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English syntax, Korean syntax, 영어 타동결과구문, 외국어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 교정적 피드백, 외국어 교수, 영어 통사론, 한국어 통사론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22.2. 김기택.
Abstract
English adjectival transitive resultative constructions (VtR) are notoriously challenging for Korean L2 English learners due to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ences from their L1 counterparts. To deal with such a complex structure, like English adjectival VtR, Korean L2 English learners need instructional interventions, including explicit instructions and corrective feedback on the target structure.

Human instructors are virtually incapable of offering adequate corrective feedback, as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from a human teacher to hundreds of students requires excessive time and effort. To deal with the practicality problems faced by human instructors in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numerous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tbot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foreign language learners with corrective feedback on par with human teachers. Regrettably, many currently available AI chatbots remain underdeveloped. In addition, no prior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orrective feedback offered by an AI chatbot, a human instructor, or additional explicit instruction via video material.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corrective feedback from an AI chatbot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adjectival VtR. Also,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corrective feedback generated by the AI chatbot enables Korean L2 English learners to expand their constructional repertoire beyond instructed adjectival VtR to uninstructed prepositional VtR. To investigate these issues, text-based Facebook Messenger AI chatbot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effectiveness of the AI chatbots corrective feedback was compared with that of a human instructor and with additional video materia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ree instruction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The instructional groups included a chatbot group, a human group, and a video group. All learners in the three instructional groups watched a 5-minute explicit instruction video on the form and meaning pairings of the adjectival VtR in English. After that,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preferences for instructional types. The learner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instructional procedures with corrective feedback from a text-based AI chatbot, a human instructor, or additional explicit instruction using a 15-minute video. Moreover, they took part in three testing sessions, which included a pretest, an immediate posttest, and a delayed posttest. The control group students were not instructed, and only participated in the three testing sessions.

Two tasks were used for each test session: an acceptability judgment task (AJT) and an elicited writing task (EWT). The AJT tested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instructed adjectival VtR and uninstructed prepositional VtR. The EWT examined the correct production of instructed adjectival VtR and uninstructed prepositional VtR.

The results of the AJT revealed that the instructional treatment (e.g., corrective feedback from the AI chatbot or a human instructor, or additional explicit instruction from the video material) was marginally more effective at improving the comprehension of adjectival VtR than was the case with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instructional treatment on the adjectival VtR failed in the generalization to prepositional VtR which was not overtly instructed. In the EWT, the participants in the corrective feedback groups (e.g., the chatbot and human groups) show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rrect production of the instructed adjectival VtR more so than those in the video and control groups. Furthermore, the chatbot group learn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oduction of uninstructed prepositional VtR compared to any other group participa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atbot-based instruction can help Korean high school L2 English learners comprehend and produce complex linguistic structures—namely, adjectival and prepositional VtR. Moreover, the current study has major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principled frameworks for implementing AI chatbot-based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영어 형용사 타동결과구문(English Adjectival Transitive Resultative Construction)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에게 모국어의 대응 구문이 갖는 의미 통사론적 차이로 인해 학습하기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영어 형용사 타동결과구문과 같은 복잡한 구문을 학습하기 위해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에게는 목표 구조에 대한 명시적 교수와 교정적 피드백을 포함한 교수 처치가 요구된다.

수백 명의 학습자들에게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인간 교사가 적절한 양의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할 때 직면하는 이러한 실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인간 교사와 유사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수많은 인공 지능(AI) 챗봇이 개발되었다. 유감스럽게도, 현재 사용 가능한 많은 외국어 학습용 인공지능 챗봇은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않은 상태에 남아있으며, 인공지능 챗봇의 교정적 피드백이 갖는 교수효과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에 초점을 두어,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챗봇의 교정적 피드백이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형용사 타동결과구문의 이해와 생성에 미치는 교수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수 효과가 언어적으로 관련된 다른 영어 구문의 학습에도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실에서 직접 가르치지 않았던 구문인 영어 전치사 타동결과구문(English Prepositional Transitive Resultative Construction)의 학습 양상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메시지 기반의 페이스북 메신저에서 구동되는 인공지능 챗봇을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챗봇의 교수효과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네 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세 개의 교수 집단에는 교수처치가 적용되었고, 한 개의 통제 집단에서는 교수처치가 적용되지 않았다. 교수처치가 적용된 세 개의 집단은 챗봇그룹, 인간그룹, 영상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영어로 된 형용사 타동결과구문의 형태와 의미 쌍에 대한 5분 길이의 학습 비디오를 시청함으로써 명시적 교수 처치를 받았다. 또한 비디오를 시청한 후 세 그룹의 학습자들은 교재를 통해 제공되는 언어연습자료를 해결하는 과업에 참여하였다. 다음으로 세 집단(챗봇그룹, 인간그룹, 영상그룹)은 다음과 같은 추가적 교수처치를 받았다: 챗봇그룹 학습자들은 교재 활동과 관련된 텍스트 기반 인공지능 챗봇과의 대화에 참여함으로써 오류에 대한 교정적 피드백을 받았다. 인간그룹 학습자들은 교재활동을 완수한 내용을 인간 교사에게 전송하고, 이에 대한 교정적 피드백을 받았다. 영상그룹 학습자들은 교재활동을 완수한 후 이에 대한 15분의 추가적인 명시적 교수자료를 영상으로 시청하였다. 학습자의 교수효과는 사전시험, 사후시험 및 지연 사후시험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통제 집단 학생들은 교수처치 없이 세 번의 시험에만 참여하였다.

세 차례의 시험에서는 수용성판단과제(AJT)와 유도작문과제(EWT)의 두 가지 과제가 사용되었다. 수용성판단과제를 통하여, 교수된 영어 형용사 타동결과구문과 지시되지 않은 영어 전치사 타동결과구문 대한 참가자의 이해도를 측정하였다. 유도작문과제를 통하여 교수된 영어 형용사 타동결과구문과 지시되지 않은 영어 전치사 타동결과구문을 참여자가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수용성판단과제의 경우, 교수처치가 적용된 세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형용사 타동결과구문의 이해도 향상에 약간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형용사 타동결과구문에 대한 교수적처치는 교수되지 않은 전치사 타동결과구문으로의 학습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유도작문과제의 경우, 인공지능 챗봇이나 인간 교사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 피드백 그룹의 참가자가 영상그룹 및 통제집단의 참가자보다 형용사 타동결과구문의 올바른 생성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동일한 교수 효과가 전치사 타동결과구문의 학습에서도 관측되어, 형용사 타동결과구문의 학습이 전치사 타동결과구문의 학습에 일반화가 일어났다.

본 연구는 인간 교사가 직면해야 하는 실용성 문제를 극복하고, 인공지능 챗봇이 한국인 고등학교 L2 영어 학습자가 형용사 및 전치사 타동결과구문과 같은 복잡한 언어 구조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데에 인간 교사와 비견될 정도로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인공지능 챗봇 기반 외국어 교육의 실제적 사례 및 효과를 선도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124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0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