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xploring the Role of Prosody in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Oral Reading Fluency : 한국인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읽기 유창성에서 운율적 자질의 역할에 관한 탐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지선

Advisor
이병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2 reading prosodytext reading efficiencyoral reading fluencyspectrographic analysisreading comprehensionreading assessmentsecond language reading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23. 8. 이병민.
Abstract
읽기 속도, 정확성, 표현력으로 정의되는 읽기 유창성은 읽기 이해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정보처리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더불어 상당수의 실험연구 결과로 읽기 유창성은 연구자들과 교육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모국어와 제2언어 교육에서 다양한 수업 방법이 개발되고 수업에 이용되었으며, 읽기 유창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 도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도구들은 읽기 속도와 중요성만을 측정하고, 읽기 유창성의 중요한 요인인 운율적 특성을 제외한 것에 대해 끊임없는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읽기의 운율적 특성은 휴지, 억양, 리듬 등과 같이 읽기 낭독의 음악적 특성을 일컫는다. 선행연구들은 읽기에 능숙하고 유창할수록 읽기 낭독이 좀 더 부드럽고 구어와 비슷하며, 단어를 더듬거리며 읽지 않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읽기의 운율적 특성은 처리되는 정보를 작동 기억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거나, 의미 처리를 위한 인지적 비계 역할을 하며 읽기 이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razier et al., 2006). 비록 지금까지 읽기의 운율적 특성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행해지지는 않았지만, 모국어의 읽기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읽기 유창성과 이해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점차 인정받고 있다.
제2언어 연구에서도 읽기 유창성은 읽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상당히 많은 연구로 인해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의 관계도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운율적 특성은 읽기 연구에 있어서 간과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율적 요소들이 제2언어 읽기에서 하는 다양한 역할을 탐구하였다. 첫째로, 학습자의 유창성 수준에 따라 운율적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구하였다. 둘째로, 모국어 읽기 연구에서 규정된 읽기 유창성의 정의가 제2언어 상황에도 적용되는지, 즉, 읽기 유창성이 읽기 속도와 정확성 그리고 운율적 특성으로 구성된 단일한 구인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읽기의 운율적 특성과 이해 능력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영어를 외국어로 사용하는 총 90명의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단어 읽기 능력, 텍스트 읽기 능력, 그리고 읽기 이해 평가를 받았으며, 운율적 요소들은 학생들이 읽기 낭독을 녹음한 후, 이를 스펙트로그래프 분석을 통해 추출하였다. Praat과 같은 음성분석 도구를 사용한 스펙트로그램의 분석은, 소리 파형의 시각 그래프를 만들어 다양한 운율적 특성의 식별과 측정이 가능하며, 정확하고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 문장 내 휴지의 빈도, 문장 내 휴지의 총길이, 비문법적 휴지의 빈도, 문장 사이의 휴지 길이, 전반적인 억양 곡선, 문장 말미에서 억양의 변화, 이렇게 총 6개의 운율적 특성이 추출되었으며 추후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분석 방법으로 일원 분산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휴지와 관련된 변인, 즉, 문장 내 휴지 빈도, 문장 내 휴지 길이, 비문법적 휴지의 빈도는 유창성의 정도에 따라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전반적인 억양곡선은 유창성의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억양곡선은 한국인 제2 언어 학습자들의 유창성과는 관계없이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문장 말미에서의 억양 변화와 문장 간 휴지의 길이는 상위 학습자만 유의미하게 변별되어, 이러한 차이는 단어와 문장의 읽기 유창성이 충분히 발달해야 분명해진다는 사실을 나타냈다.
읽기 유창성의 정의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맥락과 마찬가지로 제2 언어 읽기 상황에서도 이 구인이 정확성, 속도, 운율적 특성을 하위 요인으로 가지는 다면적이지만 단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운율적 요소들이 단어 읽기 능력과 읽기 이해에서 매개 역할을 하며, 읽기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텍스트 읽기 효율성이 먼저 분석에 투입될 시 운율적 요소는 읽기 이해에 있어서 의미 있는 예측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텍스트 읽기 효율성과 운율적 요소가 공유하는 분산이 크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들 변수의 투입 순서를 바꾸어 다시 위계적 회귀 분석을 한 결과 텍스트 읽기 효율성과 운율적 요소 모두 읽기 이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수임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제2 언어 읽기 수업에 있어서 중요한 교육적 함의를 지닌다. 연구의 결과는 운율적 요인의 발달이 제2 언어 읽기 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교사들은 함께 소리내어 읽기나, 반복 읽기와 같은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여 제2 언어 학습자들이 읽기 유창성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운율적 요인들이 단어 읽기 능력과 읽기 이해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읽기 유창성 척도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발달을 측정하고 이를 평가에 반영할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선행연구처럼, 본 연구의 결과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읽기 유창성 척도를 개발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제2 언어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 능력을 촉진하기 위해 읽기 유창성, 특히 운율적 요소를 수업과 평가에 통합하는 더 포괄적인 접근을 재고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
Oral reading fluency (ORF), defined as the ability to read text accurately, quickly, and expressively, is considered a crucial skill for reading comprehension success. Founded on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and numerous empirical studies, ORF has drawn much attention from reading researchers and educators. Given its significance, various interven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the classroom, alongside numerous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ORF in both first language (L1) and second language (L2) contexts. However, there has been ongoing criticism of ORF assessment tools for their exclusive focus on measuring reading accuracy and rate, while neglecting the critical component of reading prosody.
Reading prosody refers to the melodic quality of oral reading such as tempo, pauses, pitch, and rhythm. Research has shown that as readers become more proficient and fluent in reading, their oral reading becomes smoother and more speech-like, progressing from a word-by-word, hesitant manner to a more fluid style.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reading prosody has been underscored as it plays a critical role in reading comprehension by holding information being processed in working memory or acting as a cognitive scaffold for semantic processing (Frazier et al., 2006). Even though little is known about reading prosody so far, a growing body of research has shown that reading prosod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ORF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L1 reading.
In the L2 context, ORF also has been increasingly establishing itself as a legitimate component of reading skill, and evidence has been accumulated suggesting it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the research of reading prosody is at the beginning stage in the L2 contex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roles reading prosody plays in L2 reading. First, it examin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reading prosody features differing according to fluency skill. Second, this research sought to evaluate the supposition regarding the characterization of ORF, specifically assessing whether the combined factors of reading accuracy and rate (i.e., text reading efficiency) and reading prosody can be considered a single construct, known as ORF. Additionally, the investigation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reading prosody in accounting for reading comprehension.
A total of 9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ents were subjected to a battery of reading assessments to evaluate their decoding skills, text reading efficiency (TRE), and reading comprehension. To examine and measure reading prosody features, spectrographic analysis was employed as the methodology. By employing a speech sound wave analysis tool such as Praat (Boersma & Weenink, 2023), the visuo-graphic representation of sound waveform was generated. The observation of this spectrogram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nd extract various prosodic features.
As a result of spectrographic analyses, six features of reading prosody were extracted: intrasentential pause ratio (IntraP_ratio), intrasentential pause duration (IntraP_duration), ungrammatical pause ratio (UGP_ratio), intersentential pause ratio (InterP_ratio), overall intonation contour (Pitch_SD), and pitch changes at the sentence-final position (Pitch_SF). These features were subsequently analyzed using a series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or a series of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s.
The study found that pause-related variables such as IntraP_ratio, IntraP_duration, and UGP_ratio were distinctively different among students with different fluency skills, indicating that these variables may be indicative of a students level of fluency.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Pitch_SD did not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fluency level, suggesting that the overall pitch pattern may remain similar across Korean L2 readers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fluency. Meanwhile, significant variations in pitch changes at the sentence-final position and pause duration across sentences were only evident among higher fluency groups, indicating that these changes primarily manifest among L2 readers who have attained a sufficient level of decoding and fluen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eading prosody and TRE align and contribute to the unified construct of ORF. However, among reading prosody features, only pause-related variables were indicative of ORF.
Lastly,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reading prosody plays a crucial role in predicting reading comprehension by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decoding skills and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the results indicate that reading prosody did not account for additional vari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beyond TRE, especially when TRE was given priority in the order of entry in the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When anothe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prosody and TRE, a substantial overlap of these variables was detected, suggesting that the effect of reading prosody on reading comprehension would be masked if TRE is entered before reading prosody factors. In fact, when reading prosody was given priority in the order of the entry in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o remain significant alongside TRE.
The current dissertation has important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L2 reading instruc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reading prosody is critical for enhancing L2 reading proficiency. L2 teachers should consider incorporating activities that explicitly address reading prosody, such as choral reading or repeated reading, into their instruction to help L2 learners improve their ORF. Given the mediating role of reading proso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oding skills and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ors are encouraged to integrate ORF monitoring activities using the ORF scale into their assessment protocols. The current studys outcomes can be leverage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ORF scale as in previous studies.
Overa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L2 reading instruction that targets ORF, especially reading prosody to promote efficient and effective reading comprehension in L2 learner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6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6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